화성의과학대학교
표어 | Dream The Best, Be the First |
---|---|
건학이념 | 진리 · 창조 · 봉사 |
종류 | 사립 |
설립 | 2004년 4월 |
총장 | 김진영 |
설립자 | 이홍하 |
학교법인 | 신경학원 |
학부생 수 | 586명(2022년)[1] |
교직원 수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중앙로 400-5 |
웹사이트 | https://www.hsmu.ac.kr/ |
![]() |
화성의과학대학교(華城醫科學大學校, Hwasung Medi-Science University)는 경기도 화성시의 사립 대학이다.
연혁
[편집]2004년 4월, 학교법인 신경학원의 이홍하에 의하여 신경대학교가 설립되었다.[2] 이듬해 3월 4일, 개교하였다. 한때 학교법인이 경영 악화로 관선이사가 파견된 적이 있으며, 2021년 12월경 남촌의료재단에서 재정 기여자로 선정되며 정상화된 것으로 알려졌다.[3] 이어 2022년 9월 1일, 화성의과학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4]
한편, 2013년과 2014년 재정지원이 제한되었으며, 경영부실대학으로 선정되었다.[5][6] 2015년과 2016년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E등급을 받은 이력이 있다.[7][8] 2017년에도 이 평가 결과로 인한 재정 지원 제한 조치가 유지되었다.[9] 2018년 실시된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되었다.[10]
교육편제
[편집]화성의과학대학교는 단과대학 설치 없이 학부 과정을 편제하고 있다. 2022년 기준, 간호학과, 경찰행정학과, 사회복지보건학과, 뷰티아트케어학과,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경영학과, 의생명학과 등 8개 학과를 편제하고 학사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11]
대학원 등은 설립하고 있지 않다.
캠퍼스 풍경
[편집]화성의과학대학교는 경기도 소재 사립 대학으로, 남양읍에 위치한다. 학교 부지는 약 68,000m²로, 캠퍼스는 단 2동의 건물이 위치하며 서측으로 운동장을 볼 수 있다. 캠퍼스 북측으로 남양중앙로와 연결되어 캠퍼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캠퍼스 동부는 주거 시설이 위치하며, 남부와 서부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저명한 동문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화성의과학대학교 (2022). “화성의과학대학교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 서울.
- ↑ “연표”. 《화성의과학대학교》. 경기. 2022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윤병기 (2022년 3월 22일). “남촌의료재단 시화병원, 신경학원 정상화 추진 재정기여자로 선정”. 《후생신보》 (서울).
- ↑ 배지우 (2022년 9월 1일). “신경대, 의과학 특성화 '화성의과학대학교'로 새 출발”. 《교수신문》.
- ↑ 35개 사립대 재정지원제한·9개대 국가장학금도 제한, 연합뉴스, 2013년 8월 29일 작성.
- ↑ 학자금대출·국가장학금 못받는 경영부실 7개대 선정, 연합뉴스, 2014년 8월 29일 작성.
- ↑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교육부, 재정 지원 제한 "장학금까지 영향?"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15년 9월 1일 작성.
- ↑ 대학구조개혁평가 ‘부실’ 27개 대학 명단 발표···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제한, 경향신문, 2016년 9월 5일 작성.
- ↑ 이홍하 설립 4개大 모두 최하위…재정지원 전면 제한, 한국대학신문, 2017년 9월 4일 작성.
-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 ↑ 신경대학교. “신경대학교 - 전체학과소개”. 경기. 2021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화성의과학대학교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