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화 칼슘
보이기
	
	
(수산화칼슘에서 넘어옴)
| 이름 | |
|---|---|
| IUPAC 이름
 Calcium hydroxide 
 | |
별칭
  |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 ChEBI | |
| ChemSpider | |
| ECHA InfoCard | 100.013.762 | 
| EC 번호 | 
  | 
| E 번호 | E526 (산도 조절제, ...) | 
| 846915 | |
| KEGG | |
PubChem CID 
 | 
|
| RTECS 번호 |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Ca(OH)2 | |
| 몰 질량 | 74.093 g/mol | 
| 겉보기 | White powder | 
| 냄새 | Odorless | 
| 밀도 | 2.211 g/cm3, solid | 
| 녹는점 | 580 °C (1,076 °F; 853 K) (loses water, decomposes) | 
  | |
용해도곱 (Ksp)  
 | 
5.5×10−6 | 
| 용해도 | |
| 염기도 (pKb) | 1.37 (first OH−), 2.43 (second OH−)[1][2] | 
자화율 (χ) 
 | 
−22.0·10−6 cm3/mol | 
굴절률 (nD) 
 | 
1.574 | 
| 구조 | |
| Hexagonal, hP3[3] | |
| P3m1 No. 164 | |
a = 0.35853 nm, c = 0.4895 nm 
 | |
| 열화학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83 J·mol−1·K−1[4]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987 kJ·mol−1[4] | 
| 위험 |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5]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위험 | 
| H314, H318, H335, H402 | |
| P261, P280, P305+351+338 |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인화점 | Non-flammable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7340 mg/kg (oral, rat)  7300 mg/kg (mouse)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15 mg/m3 (total) 5 mg/m3 (resp.)[6] | 
REL (권장) 
 | 
TWA 5 mg/m3[6] | 
IDLH (직접적 위험) 
 | 
N.D.[6] | 
| 관련 화합물 | |
다른 양이온 
 | 
Magnesium hydroxide Strontium hydroxide Barium hydroxide  | 
관련 bases 
 | 
Calcium oxid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수산화 칼슘(영어: Calcium hydroxide)은 Ca(OH)2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이다. 소석회, 가성석회라고 불린다. 수산화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액 상에서 염기성을 띤다. 물에 잘 녹지는 않지만 이온화도(해리성)가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물에 녹은 수산화 칼슘은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
강한 염기성을 이용하여 소석회. 즉, 수산화 칼슘이 들어간 비료를 사용하여 산성화된 토양을 중화시키는데 사용한다.
제조법
[편집]탄화 칼슘 가수분해법
[편집]탄화 칼슘(CaC2)를 가수분해시키면 아세틸렌(C2H2)과 수산화 칼슘(Ca(OH)2)이 생성된다.
산화 칼슘 용해법
[편집]산화 칼슘(CaO)을 물과 반응시키면 물 분자 하나(H2O)와 반응하여 수산화 칼슘(Ca(OH)2)이 생성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ortierte Liste: pKb-Werte, nach Ordnungszahl sortiert. – Das Periodensystem online”.
 - ↑ ChemBuddy dissociation constants pKa and pKb
 - ↑ Petch, H. E. (1961). “The hydrogen positions in portlandite, Ca(OH)2, as indicated by the electron distribution”. 《Acta Crystallographica》 14 (9): 950–957. doi:10.1107/S0365110X61002771.
 - ↑ 가 나 Zumdahl, Steven S. (2009). 《Chemical Principles 6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A21쪽. ISBN 978-0-618-94690-7.
 - ↑ “MSDS Calcium hydroxide” (PDF). 2012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092”.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수산화 칼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