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디아
보이기
(마운디아트리글로키노이데스에서 넘어옴)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목: | 택사목 |
| 과: | 마운디아과 Maundiaceae Nakai, 1943 |
| 속: | 마운디아속 Maundia F.Muell., 1858 |
| 종: | 마운디아 |
| 학명 | |
| Maundia triglochinoides | |
| F.Muell., 1858 | |
학명이명 | |
마운디아(maundia, 학명: Maundia triglochinoides 마운디아 트리글로키노이데스[*])는 택사목의 단형 과인 마운디아과(Maundia科, 학명: Maundiaceae 마운디아케아이[*])의 단형 속인 마운디아속(Maundia屬, 학명: Maundia 마운디아[*])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3][4][5] 과거에는 마운디아속을 지채과 아래에 분류하기도 했다.[4] 멸종 취약종이며,[6]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의 퀸즐랜드주 및 뉴사우스웨일스주이다.[2][7]
계통 분류
[편집]| 택사목 |
| ||||||||||||||||||||||||||||||||||||||||||||||||||||||||||||||||||||||||||||||
각주
[편집]- ↑ “Maundia triglochinoides F.Muell.” (영어). 《The Plant List》. 2012년 3월 23일.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Maundia triglochinoides F.Muell.” (영어).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 ↑ Nakai, Takenoshin. Chosakuronbun Mokuroku 213. 1943.
- ↑ 가 나 Mueller, Ferdinand Jacob Heinrich von. Fragmenta Phytographiæ Australiæ 1(1): 22-23. 1858.
- ↑ Dmitry D. Sokoloff, Sabine von Mering, Surrey W. L. Jacobs, & Margarita V. Remizowa. 2013. Morphology of Maundia supports its isolated phylogenetic position in the early-divergent monocot order Alismatale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3 (1),:12–45
- ↑ New South Wales government, Environment & Heritage, Maundia triglochinoides (a herb) - vulnerable species listing
- ↑ “Maundia triglochinoides F. Muell.” (영어). 《GRIN-Global Web v 1.10.5.0》. USDA. 2006년 5월 23일.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I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Volume 161, Issue 2, 2009, S. 105-121.
- ↑ Die Ordnung der Alismatales bei der APWebsite.
| 이 글은 외떡잎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