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투나잇
보이기
(러브 투나잇에서 넘어옴)
![]() | |
장르 | 예능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TV |
방송 기간 | 2002년 11월 6일 ~ 2003년 2월 5일 |
방송 시간 | 매주 수요일 밤 11시 5분 |
방송 시즌 | 1기 |
방송 횟수 | 11회 |
연출 | 김태성, 김태형 |
진행자 | 이홍렬, 김숙 (중도하차), 심현섭 (중도하차), 박성호 (중도하차), 이태식 (중도하차), 황승환 (중도하차) |
러브투나잇은 2002년 11월 6일부터 2003년 2월 5일까지 방송되었던 예능프로그램이다.[1][2][3][4][5][6][7][8][9][10][11][12]
결방
[편집]- 2002년 11월 13일 - 《정》 23회 ~ 24회 연속 편성
- 2002년 12월 18일 - 《별을 쏘다》 9~10회 연속 편성
- 2003년 1월 1일 - 신년특선영화 《매트릭스》편성[13]
코너 목록
[편집]- 말뚝박기
참조
[편집]- ↑ 윤여수 (2015년 9월 23일). “[스타 그때 이런 일이] ‘김혜수 플러스 유’ 첫 게스트 신동엽”. 스포츠동아.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주현진 (2002년 11월 6일). “개그맨도 세트플레이 시대”. 서울신문.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주현진 (2003년 1월 27일). “저질 프로그램 조기퇴출 잇따라/SBS ‘러브투나잇’ ‘깜짝 스토리랜드’ 종영”. 서울신문.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주현진 (2003년 1월 27일). “저질 프로그램 조기퇴출 잇따라/SBS ‘러브투나잇’ ‘깜짝 스토리랜드’ 종영”. 서울신문.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방송] SBS ‘깜짝! 스토리랜드’ ‘러브투나잇’ 조기종영”. 조선일보. 2003년 1월 27일.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주현진 (2003년 1월 27일). “저질 프로그램 조기퇴출 잇따라/SBS ‘러브투나잇’ ‘깜짝 스토리랜드’ 종영”. 서울신문.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윤여수 (2015년 9월 23일). “[스타 그때 이런 일이] ‘김혜수 플러스 유’ 첫 게스트 신동엽”. 스포츠동아.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신재연 (2002년 2월 24일). “[TV 포커스] 4회만에 막내린 코미디 부활 꿈”. 일간스포츠.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방송] SBS ‘깜짝! 스토리랜드’ ‘러브투나잇’ 조기종영”. 조선일보. 2003년 1월 27일.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신재연 (2002년 2월 24일). “[TV 포커스] 4회만에 막내린 코미디 부활 꿈”. 일간스포츠.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김수경 (2002년 1월 20일). “[연예]이영자 빠르면 내달 복귀…SBS출연 긍정반응”. 동아일보.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김범석 (2008년 9월 22일). “김미화 “선희야, 유학 신중하게 생각해라””. 일간스포츠.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 ↑ 이영희 (2002년 12월 31일). “<볼만한 영화>매트릭스”. 문화일보. 2019년 9월 4일에 확인함.
SBS TV 수요일 밤 11시대 프로그램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기분전환 수요일
(2002.4.3 ~ 2002.10.30) |
러브투나잇
(2002.11.6 ~ 2003.2.5) |
SBS 뉴스추적
(2003.2.12 ~ 2004.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