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서울 돈암장

(돈암장에서 넘어옴)
서울 돈암장
(서울 敦岩莊)
(Donamjang House, Seou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등록문화재
종목국가등록문화재 (구)제91호
(2004년 9월 4일 지정)
면적건축면적 155.17m2
수량1동(한옥 본채)
시대일제강점기
소유김수근
위치
서울 돈암장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서울 돈암장
서울 돈암장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3길 84 (동소문동4가 103-3)
좌표북위 37° 35′ 29″ 동경 127° 0′ 29″ / 북위 37.59139° 동경 127.00806°  / 37.59139; 127.0080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서울 돈암장(서울 敦岩莊) 한옥 본채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1939년에 건립된 한식 목조 팔작지붕으로 궁궐에 살았던 내시 송성진이[1] 기거할 집으로 지은 근대시기 한옥주택이다. 후일 무형문화재74호로 지정된 배희한(1907-97)이 31세 때 지었다.[2]

6.25이후 일부 분리 매각된 돈암장을 고 대성산업 김수근 회장이 매입하여 본체뒤로 새로운 집채를 달아내었고 김수근 회장 내외가 작고한 후에는 본채를 대대적으로 수리하였다. 총 4개의 건물가운데 원형을 유지한 본채만 2004년 9월 4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되었다.[3]

돈암장과 이승만

[편집]
1947년 5월, LIFE 잡지에 실린 돈암장 근처에서 찍은 이승만프란체스카 부부.

­이승만 박사가 1945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에 2년간 거처한 곳으로 근대정치사적으로 중요한 역사적 현장이기도 하다. 이 집은 당시 조선타이어주식회사 사장이었던 장진영(張震英)으로부터 빌린 집으로, 장진영은 연건평 약 150평의 3채 중 1채만을 쓰고, 양옥이었던 안채 54평과 또다른 1채를 빌려주었다. 이승만이 거주했던 양옥 자리에는 현재 교회가 들어서있다.

시대적으로 극도의 혼란이 거듭되는 가운데 이승만은 장진영으로부터 집을 비워달라는 통고를 받았고, 이 소식을 들은 미조선주둔군사령관인 하지(Hodge,j. R.)중장의 주선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다나카(田中)가 쓰던 마포장(麻浦莊)을 얻어 이사하였다.[4]

당시 집주인 장진영은 6.25때 납치되어 죽었다.

각주

[편집]
  1. 조용헌. “[조용헌 살롱] 장급(莊級)저택의 주인들”. 조선일보. 2020년 4월 9일에 확인함. 
  2. 정성희. “1930년대 한국 주택 정원의 변화 양상 분석”. 《조경학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 문화재청고시제2004-43호(문화재등록), 제1578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04. 9. 4. / 26 페이지 / 493.6KB
  4. 권영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우남 이승만 관련 주택. 사저·저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0년 4월 9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