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분포의 누적분포함수
확률론에서 누적분포함수(累積分布函數, 영어: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약자 cdf)는 주어진 확률 변수가 특정 값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확률 공간
위의 실숫값 확률 변수
의 (우연속) 누적분포함수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F_{X}(x)=\operatorname {Pr} (X\in (-\infty ,x])\qquad \forall x\in \mathbb {R} }](/media/api/rest_v1/media/math/render/svg/7654dbf1b059eefd111959d4bf47c113f70b450a)
보다 일반적으로, 확률 공간
위의 실숫값 확률 벡터
의 (우연속) 누적분포함수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F_{X}(x_{1},\dots ,x_{n})=\operatorname {Pr} (X_{1}\in (-\infty ,x_{1}],\dots ,X_{n}\in (-\infty ,x_{n}])\qquad \forall (x_{1},\dots ,x_{n})\in \mathbb {R} ^{n}}](/media/api/rest_v1/media/math/render/svg/ecd188f6810d74d22ef861263cd08f628fa42561)
위 정의에 등장하는 반닫힌구간들을 열린구간으로 대체하면 좌연속 누적분포함수의 정의를 얻는다.
임의의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어떤 확률 변수의 누적분포함수이다.
-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증가 함수) 만약
이며
라면, 
- (우연속 함수) 임의의
에 대하여, 


여기서
는 우극한이며,
와
는 음과 양의 무한대에서의 극한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어떤 확률 벡터의 누적분포함수이다.
-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만약
이며
이라면,
. (이 조건과 세 번째 조건은
가 각 변수에 대하여 증가 함수임을 함의한다.)
- (우연속 함수)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여기서



이다.
확률 변수 또는 확률 벡터의 누적분포함수는 그 확률 분포를 유일하게 결정한다. 이는 누적분포함수에 대한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와 일치한다. 그러나 누적분포함수는 확률 변수 자체를 유일하게 결정하지는 않는다.
확률 변수
가 구간
에 속할 확률과 특정 실수
를 취할 확률은 누적분포함수
를 통해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Pr} (X\in (a,b])=F_{X}(b)-F_{X}(a)}](/media/api/rest_v1/media/math/render/svg/30c2bba5b59191df7215c6bb4d12a2be281c3054)

보다 일반적으로, 확률 벡터
가
에 속할 확률과 특정 값
을 취할 확률은 각각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Pr} (X_{1}\in (a_{1},b_{1}],\dots ,X_{n}\in (a_{n},b_{n}])=\sum _{t\in \{a_{1},b_{1}\}\times \cdots \times \{a_{n},b_{n}\}}(-1)^{|\{i\colon t_{i}=a_{i}\}|}F_{X}(t)}](/media/api/rest_v1/media/math/render/svg/ee90a9065c1342194d7ab5b43ebafc50711c2bcf)

이산 확률 분포, 연속 확률 분포, 이산적인 부분과 연속적인 부분이 모두 존재하는 분포에 대한 각각의 누적분포함수
확률 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이산 확률 변수이다. (즉,
인 가산 집합
이 존재한다.)

특히, 계단 함수를 누적분포함수로 하는 확률 변수는 이산 확률 변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확률 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연속 확률 변수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는 연속 함수이다.
확률 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절대 연속 확률 변수이다. (즉, 확률 분포
는 르베그 측도에 대한 절대 연속 측도이다. 또는,
는 확률 밀도 함수를 갖는다.)
는 임의의 닫힌구간에서 절대 연속 함수이다.
확률 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특이 확률 변수이다. (즉, 확률 분포
와 르베그 측도는 서로 특이 측도이다.)
- 르베그 거의 어디서나
이다.
임의의 누적분포함수
는 이산 누적분포함수
와 절대 연속 누적분포함수
, 특이 연속 누적분포함수
의 음이 아닌 계수의 아핀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같은 확률 공간 위의 확률 변수 또는 확률 벡터들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서로 독립이다.
- 임의의 서로 다른
및 임의의
(
)에 대하여, 
첫 번째 조건은 두 번째 조건을 자명하게 함의한다. 이제 두 번째 조건을 가정하고 첫 번째 조건을 증명하자. 유한 개의 확률 변수


의 경우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경우는 이와 유사하게 증명할 수 있다.
![{\displaystyle {\mathcal {C}}=\{(-\infty ,x]\colon x\in \mathbb {R} \}}](/media/api/rest_v1/media/math/render/svg/addef3a095c928fe7620949b590337d8af9cc134)
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π계를 이루며,
는
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 다음과 같은 집합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가정한 조건에 따라
이다. 또한,
은 λ계를 이룸을 보일 수 있다. 딘킨 π-λ 정리에 따라,
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집합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이며,
은 λ계를 이룬다. 따라서
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는 사실을 얻는다. 즉,
은 서로 독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