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록히드 마틴 F-22 랩터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4년 전 (멸치사냥님) - 주제: 관련 뉴스와 백과사전?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관련 뉴스와 백과사전?

관련 뉴스의 내용이 검증된 내용일까요? 한국의 언론은 소설 창작으로 유명하지만, 군사 분야 또한 심각한 수준이죠. B2 폭격기가 항공모함에 착함했다고 보도하는 수준이니까. 관련 뉴스라는 것 자체를 백과사전에 올리는 것이 타당한지도 의문이거니와, 그 내용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검증은 누가 책임질 수 있습니까? 미국 연구소의 연구 결과 등에 대한 신뢰도는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관련 뉴스를 싣는 기준은 어떻게 됩니까? 그런 문제들은 생각해본 적 있나요? F-22가 언급된 비중과 다루고 있는 내용에 대한 기준 말입니다. --WaffenSS 2006년 3월 17일 (금) 14:27 (KST)답변

랜드연구소의 명성은 그냥 생기는게 아닙니다. -- 멀뚱이 (토론) 2006년 3월 17일 (금) 14:39 (KST)답변
WBC 대회에서 미국은 야구 종주국이었지만, 미국의 승리를 위해 심판들이 오심을 일삼았지요. 미국과 명성은 참고자료일뿐, 진리가 아닙니다. 랜드연구소의 명성 또한 F-22의 우위를 주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요소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들이 사실을 왜곡하지 않았거나, 과대포장하지 않았다는 검증을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역시 저의 첫번째 숱한 의문제기에는 하나도 답변을 하지 않으셨군요. 얼렁뚱땅 넘어가려 하지 마세요. --WaffenSS 2006년 3월 17일 (금) 14:56 (KST)답변

관련 뉴스의 내용이 검증된 내용이면 좋겠지만, 정확한 사실이야 기밀사항에 속할 테니까, 백과사전에서는 이러이러한 문헌에 의하면 이렇다더라 는 시각으로 기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유로파이터 및 여러 전투기의 성능 비교에 관해서는, 참고 자료가 밝혀져있는 한 기재하는 것 자체는 별 문제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참고문헌으로는 월간중앙이 아니라 랜드 연구소의 원래 평가서가 적혀야할 듯 싶군요. 그리고 인용 차원에서 보기에는 너무 단정적인 문장으로 적혀있는 것도 좀 마음에 걸립니다. 따라서 원래의 랜드연구소 평가를 찾아서 링크를 걸고, 문장을 조금 완화하는 정도에서 기재하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삭제하는 편이 좋을 듯 하고요. 하지만, 두번째 비용과 관련된 뉴스 항목은 굳이 기재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전혀 관련 없는 내용이 뜬금없이 갑자기 툭 삽입된 느낌인데.. 백과 사전 본문의 내용과 관련되서 보강차원의 뉴스가 아니라, 무조건 F-22가 언급됐으니까 싣는다는 관점인 듯 한데.. 개인적으로는 별로 찬성할 수가 없군요. --Wkpark 2006년 3월 18일 (토) 15:22 (KST)답변

F-22의 제목을 이제 바꿀때가 된 것 같습니다. F-22는 현재 F/A-22 즉 A가 추가된 만큼, 공대지능력이 중요시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단순히 제공권의 확보가 아니라 공대공, 공대지 능력을 아우르는 전투기 개념이라 해서 F/A-22로 이름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F/A-18 호넷과 같은 개념이겠죠. --멸치사냥 2010년 12월 30일 (목) 13:50 (KST)답변

올바른 번역 및 해설

밑의 문장을 변경하였습니다.

2011년 - 미국 록히드 마틴사에서 생산된 F-22J 2대가 일본을 날아옴 (예상) 2011년 - 미국 록히드 마틴사에서 생산된 F-22J 2대가 일본으로 전달됨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