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묵호항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철조사부장 (토론 | 기여)님의 2007년 5월 24일 (목) 02:36 판 (새 문서: '''묵호항선'''(墨湖港線)은 강원도 동해시동해역에서 묵호항역을 경유, 묵호역에서 합류하는 한국철도공사철도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묵호항선(墨湖港線)은 강원도 동해시동해역에서 묵호항역을 경유, 묵호역에서 합류하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으로, 항만인입선 기능을 하는 영동선의 지선이다.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5.9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3
  • 복선 구간: 없음
  • 전철화 구간: 없음
  • 보안 장치: 불명

역 목록

역명 영어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동해 Donghae 東海 0.0 0.0 영동선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 Mukhohang 墨湖港 5.1 5.1
묵호 Mukho 墨湖 0.8 5.9 영동선


운전

이 구간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여객열차는 1961년 이래로 운행하지 않는다.

차량


역사

개요

묵호항선은 최초에 삼척철도주식회사에 의해서, 삼척탄전 일대의 석탄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묵호~철암간에 건설된 사철이었다. 당시의 건설에서 이 노선은 상당히 험준한 삼척탄전의 조건과, 당장에 화물 수송에 치중하여 속성으로 부설했기 때문에 스위치백 구간 및 인클라인 구간 등 애로개소를 많이 가진 것이었다. 이후, 해방과 분단 과정에서 이 철암선의 연장과 타 노선과의 연장을 통해 강원도 및 동해안 일대의 노선망을 영동선으로 정비하면서, 항만인입선으로 부설된 묵호항선은 본선에서 제외되어 지선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석탄 및 양회의 수송량 증가로 해당 지역의 철도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묵호항 인입 철도의 정비가 착수되었다. 이로 인해 옥계발 석탄화물의 취급을 위한 묵호~묵호항간의 단선 인입선로가 추가 건설되었고, 또한 북평~묵호항간의 철도 역시 초기 부설된 구간을 상행선으로, 부분 병행하는 영동선을 하선으로 활용하도록 배선을 정비하여 복선화를 달성, 지금에 이르고 있다.

연혁

  • 1936년 3월 2일 - 삼척철도주식회사, 정라~도계간 35.7km의 철도부설면허 취득.
  • 1937년 3월 25일 - 정라~도계간 에서 묵호~도계간 41.7km로 부설면허 변경.
  • 1940년 8월 1일 - 철암선 묵호~도계간 41.7km 완공.
  • 1960년 2월 7일 - 동해북부선 북평~경포대간 착공.
  • 1961년 5월 5일 - 여객 취급 중지.
  • 1962년 11월 6일 - 북평~경포대간 50.3km 완공.
  • 1963년 5월 27일 - 영암선(영주~철암), 철암선(철암~북평), 동해북부선(북평~경포대)를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개명, 북평~묵호항 간은 지선으로 전환.
  • 1968년 1월 4일 - 묵호항선 용량 증대를 위한 복선화 공사 착공.
  • 1968년 12월 30일 - 묵호항선 북평~묵호항 간 5.1km 및 묵호~묵호항 간 0.8km 완공.
  • 1984년 6월 1일 - 북평역, 동해역으로 개명.
  • 2006년 8월 21일 - 도로확장에 따른 송정철도가도교 개량 공사 착공.(~2008년 3월 3일)

미래

묵호항선에 대해서 해당 지역 도로 확장에 따른 교량 재시공을 제외하면, 향후 별다른 개량 계획은 없으나, 묵호항선은 동해지역의 주요 항만의 인입철도로서 노선 폐지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