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정치
프로젝트가 생성되었습니다!
앞으로 프로젝트가 번성하기를 바랍니다! BongGon 2008년 4월 13일 (일) 21:12 (KST)
프로젝트 페이지
이런저런 내용으로 채웠습니다 adidas 2008년 4월 15일 (화) 18:14 (KST)
- 감사합니다. 아직 조촐한 분위기이지만 곧 있으면 다른 프로젝트들처럼 활발해지리라고 봅니다. :) BongGon 2008년 4월 15일 (화) 18:24 (KST)
- 사회당이나 기독당 등은 완전 듣보잡은 아닌데 넣는게 어떨지요 adidas (토론) 2008년 9월 7일 (일) 13:46 (KST)
세속주의에 대하여
현대의 세속주의는 대개가 무슬림 국가들의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로서 작용하고 있기에 좌향/개혁적 성향에 가깝습니다. 세속주의는 구습으로부터 속박되어있는 사회제도들을 타파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좌익 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옳을 듯 싶습니다. --Aslan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10:34 (KST)
- 세속주의 자체는 좌/우익으로 나누기는 힘듭니다. 계몽주의와 연관된 것입니다. adidas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12:27 (KST)
- 현대의 현실 정치 에서 세속주의라는 용어가 쓰이는 곳은 이슬람 국가밖에 없는지라 그에 중점을 두어서 보다 실체적인 의미로 세속주의를 해석하려고 한 것인데, 문제가 있으면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Aslan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14:16 (KST)
- 물론 지금은 이슬람권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정교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백과사전의 세속주의는 현재적 의미 뿐만 아니라 이전의 의미도 같이 써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어판은 어느정도 그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didas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14:36 (KST)
직접민주정적 요소를 채워넣어야 합니다
소환투표제 항목을 작성하다보니, 한국어 위키에는 국민발안제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군요.(영문위키는 en:initiative) 나름 주민발안제는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만... 또한 국민 투표의 경우에도 레퍼렌덤과 플레비지트를 구분치 않고 뭉뚱그려 놓았습니다. 세분화하면 다른 것이니 만큼, 갈라서 편집해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클라시커 (토론) 2008년 10월 2일 (목) 00:00 (KST)
국회의원
박근혜같은 경우 보면, 연속해서 같은 곳에 당선되고 있는데 불필요하게 '국회의원' 틀 비중이 높은 것 같습니다. 연속적으로 당선된 경우에는 하나로 묶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은데요 adidas (토론) 2009년 5월 16일 (토) 17:25 (KST)
- 동의합니다. BongGon (토론) 2009년 9월 22일 (화) 21:10 (KST)
이스라엘 정치
다른 나라의 대통령이나 수상,또는 총리까지 틀이 만들어 져있습니다. 이스라엘이나 다른 틀을 못 만든 나라도 틀을 만들어야 될것같습니다.권정우 (토론) 2009년 5월 18일 (월) 20:45 (KST)
대한민국의 정치 문서를 알찬 글로 만들고자 합니다.
제가 약 2년 전쯤에 공들여서 내용을 어느 정도 채웠습니다. 하지만 당시 저는 고등학생이었던 데다가 정치에 대한 이해 수준도 지금보다도 떨어지는 수준이어서 지금의 문서에 만족하기는 힘듭니다. 그래서 이 문서를 발전시키고자 하는데, 이를 여러분들과 같이 해보고 싶습니다. 물론 지금 제가 한국 정치와 관련한 이론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제가 문서를 편집하는데 무리가 될 수준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래도 여러 분들과 의견을 나누어가며 공동으로 문서를 편집해보고 알찬 글로 만드는 이른바 위키백과 '협업' 시스템을 정착시키고자 하는 바람에서 제안 글을 올립니다. 해당 분야에 관심 있으신 많은 분들의 참가를 기대합니다. BongGon (토론) 2009년 9월 22일 (화) 21:13 (KST)
위키프로젝트 선거가 최근에 개설되었습니다. 그런데 틀 그림 면에서 많이 정치와 겹치는 부분이 있더군요. 프로젝트 관련해서 선거가 정치 하위에 있는건 맞는 것 같은데 관련해서 조율 하는게 어떨까요?--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5월 26일 (수) 17:53 (KST)
- 관련해서 조율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결국 선거는 정치의 일부분이니까요. --119.149.96.77 (토론) 2010년 6월 14일 (월) 03:40 (KST)
틀: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비례대표 국회의원에는 틀: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붙이고, 승계전 사망 탈당 사퇴, 선거전 사망 사퇴의 경우는 정당별 비례대표 틀 만을 붙이게 되며, 정당별 비례대표 틀에서 자동 분류는 삭제됩니다. 이를 계기로 하여 정당별 비례대표 틀에서 승계 순번이 돌아오지 않은 모든 후보를 명단에 표시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Sasasar (토론) 2010년 9월 12일 (일) 22:49 (KST)
- 기존 틀에 문제점은 없습니다. 승계전 사망 탈당 사퇴, 선거전 사망 사퇴의 경우는 틀을 부착하지 않습니다. 승계 순번이 돌아오지 않은 모든 후보를 명단에 표시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9월 13일 (월) 16:34 (KST)
- 원래 틀은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보여주는 틀이기 때문에 국회의원이 되지 못했어도 붙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은 새 틀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겨자님 (토론) 2010년 9월 14일 (화) 18:40 (KST)
국회의원의 당선무효 vs 지방자치단체장의 당선무효
당선무효(當選無效) 또는 선거무효(選擧無效)는 선거에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운동 등을 하였을 때 선거에서 당선하더라도 부정한 정도에 따라 당선을 무효로 하는 것입니다. 주로 대법원까지 재판을 진행하고 결정이 납니다. 그런데 위키백과에서 국회의원의 경우 당선무효가 되면 국회의원이 아니었던 것으로 간주합니다. 본문, 전임후임 틀 등에서 당선무효의 국회의원 직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장 직을 역임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떤 시장이 당선무효가 되었더라도 제x대 시장으로 카운트하고 전임 시장으로 웹사이트에 표기하고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는 퇴직 국회의원의 모임인 헌정회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당선무효의 국회의원은 역대 국회의원에 넣어주지 않기 때문에 위키백과에서 이렇게 흘러온 것 같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나기까지는 국회의원인 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세비도 계속적으로 받았을 것이며 의정활동도 계속되었을 것입니다. 당선무효가 될 것을 예상하고 대법원 판결 전에 자진사퇴하면, 국회의원으로 간주하는데 이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납니다. 이에 당선무효의 국회의원도 해당 대수의 국회의원으로 간주하고 문서에 반영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임기가 일찍 종료된 이유는 당선무효임을 명확히 밝히는 것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겠지요. Sawol (토론) 2011년 8월 29일 (월) 13:36 (KST)
- 임기를 하루라도 지냈으면 국회의원 분류에 넣는게 맞다 봅니다. 굳이 나누겠다면 "당선무효된 국회의원" 등의 분류를 추가하고요.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23일 (수) 16:06 (KST)
정당의 로고 사용
정당 소개 할때 맨 위에 정당 별 로고를 영어판 위키피디아 같이 쓰는 것이 어떨까요? 위키백과당! (토론) 2012년 1월 15일 (일) 23:08 (KST)
- 저작권 문제가 없다면 사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토트(dmthoth) 2012년 2월 5일 (일) 00:37 (KST)
새누리당 색상
새누리당색상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토론:새누리당에 의견남겨주세요--위키백과당! (토론) 2012년 2월 20일 (월) 13:27 (KST)
의석도 역사도 없는 지금 단계에서 저명성이 있을까요? 일단 전녀옥이 입당한다고 하니까 문서 시안을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무소속 (토론) 2012년 3월 9일 (금) 09:28 (KST)
18대 국회의원 문서
중간에 당선 무효된 사람을 빼고 다 만들었습니다. --무소속 (토론) 2012년 3월 19일 (월) 16:59 (KST)
(다중계정에 의한 의견제시를 삭제합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 지방의회의원은 직접 선거로 선출된 경우에 한해야하지 않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23일 (수) 16:05 (KST)
- (다중계정에 의한 의견제시를 삭제합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정당 색상에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기.
Darkbosal님이 건의하신 다음 색상 기준 안입니다.
1.정당 매뉴얼의 색상을 참고한다.(1순위 spot color 2순위 cmyk)
2.참고한 색상을 RGB 웹 안전색상으로 변환한다.
3.색상프로파일에 따라 RGB 값이 다를수 있기때문에 토론을 거쳐 색상을 선정한다.
새누리당의 Spot Color는 Pantone 1797C입니다. (새누리당 홍보기획 자료실 출처)
민주통합당의 Spot Color는 제공되지 않았고, 새롭게 사이트에서 M15, Y100이라고 CMYK값을 제공하였습니다.
통합진보당의 Spot Color가 Pantone 2603C입니다. (통합진보당 로고 페이지)
선진통일당의 로고나 메뉴얼이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다음 색상 기준 안에 따른 색상입니다. (참고! Web safe color는 00 33 99 CC FF만으로만 구성됨)
새누리 Pantone 1797C -> (RGB 196, 38, 46) Original, #C4262E (RGB 체계로 변환) -> (RGB 204, 51, 51) #CC3333 (Original과 97% 일치 Web safe Color)
민주 M15 Y100 -> (RGB 255, 217, 0)(CMYK 0, 15, 100, 0) Original, #FFD900 (RGB 체계로 변환) -> (RGB 255, 204, 0)(CMYK 0, 20, 100, 0) #FFCC00 (Original과 96% 일치 Web safe color)
통진 Pantone 2603C -> (RGB 110, 37, 133) Original, #6E2585 (RGB 체계로 변환) -> (RGB 102, 51, 153) #663399 (Original과 95% 일치 Web safe color)
(컴퓨터 운영체제의 종류,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안전한' 색, 표준 총 217색상이 있다.)
(CMYK나 Pantone은 인쇄 체계의 색상이기 때문에 위키백과는 대부분 모바일이나 모니터를 통해 보기 때문에 색상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함)
(색상의 추출은 그래픽 툴 마다 다르게 나옴)
(색상 계산이 틀렸다면 정정해주세요.)
다만 기존의 정당 색상 모두를 적용하기엔 자료의 양이 많아, 19대 총선 이후, 해산한 정당들을 제외하고 모든 정당에 적용하는 것이 좋을듯합니다.--Mctomy (토론) 2012년 6월 1일 (금) 18:33 (KST)
Democreatic Left의 번역
현재 털키의 정당에 대해서는 민주좌익당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나라별로 통일할 필요가 있습니다. 급진 좌파가 아니면 좌파로 번역하는게 어떤가요? --Wjdekd (토론) 2012년 6월 16일 (토) 11:2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