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패밀리컴퓨터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Zanny (토론 | 기여)님의 2007년 4월 19일 (목) 14:42 판 (패밀리 컴퓨터(Family computer) 대 패밀리 컴퓨터(Family Computer))

마지막 의견: 18년 전 (Tiens님) - 주제: 고유명사 vs. 일반명사

고유명사 vs. 일반명사

먼저 패미컴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에 대해 설명해 주신 점은 고맙습니다. 잘 못된 글이라면 물론 올바르고 고쳐져야겠죠, '어디서 퍼왓는지'의 표현을 하게 된 것 처럼 닌텐도 패미컴도 같은 맥락입니다.

닌텐도의 패미컴으로 옮긴 것은 한국어 위키 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와 한국어를 배우거나 배우려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 그 언어의 사용자가 대화를 했을 때 가장 쉽게 알아듣고 또 가장 많은이가 알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실제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패밀리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본의 닌텐도사가 개발한 게임기의 이름을 떠올릴 사람은 소수입니다.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이 되기 위함이 위키백과 한국어판이 지향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자유문서이용에 동의한 것이므로 저는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반대의견을 제시할 정도의 것은 아닌 듯 하지만 설명은 해야겠기에 글 남겼습니다. 또 현대전자의 컴보이 어댑터관련내용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바같보기의 페이지에서 보셧다면 MSX에서 패미컴의 팩사용이 소개된 것입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백과의 첫설명은 짧고 간략하게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Zanny 2007년 4월 18일 (수) 03:01 (KST)

당시에 게임을 안해보신 모양인데, NES->FC, FC->NES의 어댑터는 각기 존재했습니다. 마침 걸어놓으신 링크를 보니 전자만 보신 듯한데요, 후자의 경우는 패미컴의 팩이 NES보다 작았기 때문에 어댑터를 끼우면 NES 팩과 같은 크기가 됩니다. 현대컴보이라는 이름으로 NES가 정식 발매되기 전에 이미 패미컴이 얼마간 유입되었고, 소프트가 시중에 풀려 있는 상태였고요. 이후의 예를 들자면, SNES와 SFC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어댑터가 존재했습니다.
패밀리 컴퓨터라는 말은 당연히 닌텐도의 게임기입니다. 금성 패미콤을 염두에 두셨습니까? 그건 처음부터 '패밀리컴퓨터'가 아니라 '패미콤'이죠. '삼성퍼스컴'이 '삼성 퍼스널컴퓨터'의 준말이 아니라 처음부터 '삼성퍼스컴'이듯이요. 혹시 [1] 이걸 참고하셨습니까? 여기서 말하는 패밀리 컴퓨터는 대명사가 아니라, 정확히 닌텐도의 게임기를 가리키는 말이며, 내용에 조금 오류가 있습니다. 귀찮으니 생략합니다만.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수) 03:15 (KST)답변
잘알고있습니다. 설명이 토론이 길어질 것 같아 요약하면, 개인의 지필형식이 아닌 백과사전의 형식으로 형식에 수정을 했습니다. 수정전 글의 내용이 모든 NES판에 적용되는 것임에도 현대 컴보이만을 문서의 요약설명에 기재한데다 문서 내에 발매판에 따른 변환기(어댑터)에 관한 글이 있어 중복삭제했습니다. 현대 컴보이이에 관한 내용을 자세히 아신다면 현대 컴보이로 문서를 새로 만드실 것 권장합니다.--Zanny 2007년 4월 18일 (수) 04:25 (KST)
  • 이번 경우는 오히려 혼란이 우려됩니다. 이미 많은 문서에서 패밀리컴퓨터를 링크하고 있는데, 이걸 전부 닌텐도 패미컴으로 바꾸실 건지.. 마치 '닌텐도 패미컴'이란 용어를 Zanny님이 공식용어로 제시한 것 처럼 느껴집니다. 그것보다, '한국어를 배우거나 배우려는 이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정의가 아닌, Zanny님의 개인적인 생각의 다른 사람들에게 대한 강요로 보입니다.
그리고 패밀리 컴퓨터'는 닌텐도의 상품명이며, 패미컴은 약칭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슈퍼 패미컴, 패미컴 미니 등에서 '패미컴'이란 용어가 사용됩니다. 한편, 당시 금성이 '금성 패미콤'으로 써서 가정용으로 컴퓨터를 쓸 수 있는 분위기를 이끈 것이 사실이겠지만, 그것은 그 당시의 분위기에서 나온 말이고, 현재도 통용되는 일반명사화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 tiens 2007년 4월 18일 (수) 12:02 (KST)답변
닌텐도가 일본의 회사이기에 대한민국의 언론에서도 일본식 영어표현인 패미콤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금전에 패미콤을 금성 패미컴으로 넘기던 것을 패미컴으로 넘기도록 했습니다. 이 부분에서도 문제를 제기하실 분이 계신가요?--Zanny 2007년 4월 18일 (목) 21:14 (KST)
패밀리 컴퓨터가 대한민국에서 또는 한국어표기로 닌텐도에 의해 상품명으로 사용된 사례를 알려주세요. 굳이 한국어 위키에 패미리 콤퓨타 또는 패밀리 콤퓨터를 등록하지 않는 것을 생각해보세요.--Zanny 2007년 4월 18일 (목) 21:19 (KST)
회사에서 직접 상품명으로 사용되어야만 등록할 수 있나요? 그럼 정식 발매/방영/상영되지 않은 모든 애니메이션에 대한 문서들을 지우시려고요?
라는건 농담이고, 한국닌텐도에서는 현대컴보이가 아니라 패밀리컴퓨터로 언급합니다. 설명이 되었나요?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목) 21:29 (KST)답변
Zanny님 요청에 따라 검색해봤습니다.
구글 검색
네이버 검색
다음 검색
야후! 코리아 검색
어떻습니까?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8일 (목) 21:26 (KST)답변
충분한 토론이 있어야 겠군요. 닌텐도의 패미컴은 패미콤과 패미컴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패미콤은 금성사로 패미컴은 닌텐도로 되어있었던 것을 분리하려는 생각해서 출발했습니다. 금성과 닌텐도의 제품 모두 과거에도 지금도 컴과 콤을 같이 사용하고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엘지전자와 닌텐도에 정확한 표기 기준이 있다면 알려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Zanny 2007년 4월 18일 (목) 21:11 (KST)

관리자 요청에서의 토론

위키백과:관리자 요청/2007년 4월#패밀리 컴퓨터 문서 이동 요청에서 이동했습니다. 토론이 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곳으로 모읍니다. --Klutzy 2007년 4월 18일 (목) 21:26 (KST)답변

닌텐도 패미컴패밀리 컴퓨터로 원래대로 옮겨 주셨으면 합니다. 해당 명칭에서 제외될 이유도 없고, '패미콤'만이 정식명칭인 다른 하드웨어와 헷갈릴 이유도 없네요. 거기다, 현재 패미컴을 차지하고 있는 문서가 생겨난 이유인 금성 패미컴은 정식 명칭이 '금성 패미콤'이죠, 오류로 인한, 쓸데없는 국어순화운동으로 인한 문서가 양산되고 있습니다.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수) 02:37 (KST)답변

저도 다시 원래대로 옮겨 주셨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이유는 특수기능:Whatlinkshere/패밀리 컴퓨터에 나온, '패밀리 컴퓨터' 문서로 링크된 문서의 목록을 보아하니, 링크를 수정하는 것보다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인 듯 싶습니다. -- iTurtle 2007년 4월 18일 (수) 08:15 (KST)답변

Zanny 씨가 패미컴패밀리 컴퓨터에 일반 명사에 대한 설명을 쓰면서 시작된 일 같군요.

닌텐도와 금성이 만든 게임기의 정식 명칭이 어떻게 되는지, ‘패밀리 컴퓨터’, ‘패미컴’, ‘패미콤’이라는 말이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통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통용되어 왔는지 알려 주세요.

만약 서로 의견이 다른 점이 있다면 토론을 해 주세요.

--Puzzlet Chung 2007년 4월 18일 (수) 11:35 (KST)답변

저도 이번 경우는 닌텐도 패미컴을 원래의 '패밀리 컴퓨터'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몇 단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금성에서 만든 게임기로는 '3DO 얼라이브'란 놈이 있습니다만, 패미컴이라는 이름의 게임기는 없습니다. 1982년 금성사(럭키금성 그룹의 산하 기업)에서 만든 8비트 개인용 컴퓨터로 '금성 패미콤'이란 상품이 있습니다. 약칭으로 '패미콤'이라 당시에 불리긴 했습니다. 여러가지 모델이 있었으면서 각각 '금성 패미콤 30', '금성 패미콤 100' 또는 FC-30, FC-100 등으로 불렸습니다. 이 당시는 82년도, 한국에서 컴퓨터를 통한 정보화 교육을 내걸었던 시기였고, 금성에서는 가족이 쓸 수 있는 컴퓨터란 의미로 '패미콤'이란 신조어를 쓴 것으로 추측됩니다. [2] 여기서 '패밀리 컴퓨터'가 가족을 묶는 컴퓨터란 의미로 통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Zanny님의 패밀리 컴퓨터 글을 보면, 컴퓨터의 일련 모델들을 묶어서 '패밀리 컴퓨터'라 칭한다는 식인데.. 그런 개념은 저는 처음 듣습니다. ^^;;
  • '패밀리 컴퓨터' : 닌텐도가 1983년 7월 15일에 출시한 게임기입니다. ja: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 '패미컴'은 패밀리 컴퓨터의 약칭에 해당되며, 한국에서 이를 언급할때 '패미컴'이라 표기했습니다. 이후 패미컴 미니, 슈퍼 패미컴 등이 나왔습니다. 이 제품의 이름도 게임기를 통해 가족을 묶으려는 닌텐도의 생각에서 만들어진 이름으로 보여집니다. [3]
  • 패미컴과 패미콤 : 이건 Famicom이라는 어휘를 한국어로 표기할때 생긴 차이로 판단됩니다. 현재는 '패미컴'이라 칭하는 경우, 대부분은 닌텐도의 패미컴을 지칭하며, 금성 패미컴의 경우도 가끔 있지만 이건 표기의 오류입니다. 구글로 '패미컴'을 검색해보면 그 결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있는 패미컴의 정의는, 따라서 다시 작성하든지 해야겠다고 봅니다.

이정도면 정리가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 tiens 2007년 4월 18일 (수) 12:29 (KST)답변

무엇보다 '닌텐도 패미컴'이란 말을 쓰지 않습니다. (부언하자면 굳이 '닌텐도에서 나온'이란 표현을 쓸 이유가 없으니까요. 상품명도 아니고.) 현재 패밀리 컴퓨터를 차지하고 있는 개념 역시 저도 처음 듣는 내용입니다.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수) 12:42 (KST)답변

Zanny님도 그 점은 알고 계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실제로 닌텐도 패미컴의 본문은 그대로이니까요. 금성 패미콤 등 비슷한 말이 나오는데서 발생할지도 모를 혼란함을 정리하기 위해, 그리 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인도 그런 취지의 말씀을 토론에서 하셨구요) 닌텐도에서 나왔다는 것은 본문에서 충분히 기록이 될 터이니, 굳이 제목에서 '닌텐도'를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차라리 '패미컴' 의 글에서, 영문명을 한국어로 바꾸는데 예전의 규칙과 지금 통용되는 규칙이 달라 혼란이 올 수 있다고 언급하고 거기서 하부 항목으로 패밀리 컴퓨터와 금성 패미콤을 놔두면 좋을 것입니다. -- tiens 2007년 4월 18일 (수) 12:47 (KST)답변
[4] 본문이 그대로... 이진 않았습니다. 굵은 글씨로 바꾸진 않았지만 표제어를 닌텐도 패밀리 컴퓨터로 바꿨던 흔적이 있죠. 옮기기는 '닌텐도 패미컴'으로 옮겨놓으시고요, 일본어 표기 떼고 Famicom으로 원어 붙이시고요, 그 외 뭐... 생략합니다.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수) 13:28 (KST)답변
전부터 생각이 듭니다만, '자유로운 위키백과'라는 모토에서 '자유로운'이 누구나 '마음대로 편집을 해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오인되는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자유로운 편집은, 실제 편집 과정에서 누구나 쉽게 수정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뿐이지, 여러 사람의 의견이 걸리게 된다면, 먼저 토론을 거쳐 합의를 본 후에 바꿔나가는 식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Zanny님이 특별한 토론 없이 제목을 불쑥 바꿔버리신 것이 원인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뭐, 그런 과정 자체도 투명하게 이루어진다면 아무 문제는 없겠지만요. -- tiens 2007년 4월 18일 (수) 12:51 (KST)답변

먼저 금성사의 가족용 컴퓨터가 발매된 시기에는 대한민국에서 컴퓨터나 콤퓨터를 병행해서 사용하던 시기입니다. 세월이 흘러 영어의 일본식발음인 콤퓨터라는 단어를 점차 사용하지 않게됩니다. 당시 삼성에서도 콤퓨터와 컴퓨터를 통일하지 않고 사용했음을 신문과 광고지면등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닌텐도에서 미국등의 지역에 제품을 굳이 NES로 정한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프랑스와 미국 그리고 멕시코에 있는 친구들에게 물어보았는데 그들은 패밀리 컴퓨터가 일본의 제품인지 모르고 있었습니다. 영어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미국과 영국에서도 패밀리 컴퓨터라는 단어를 일반적으로 일본의 닌텐도가 발매한 컴퓨터로 보지 않습니다. 물론 이러한 사실을 알고있는 특정인은 예외가 되겠죠.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의 어학사전이나 백과사전에서 패밀리 컴퓨터를 닌텐도의 패미컴으로 정의한 예가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백과사전의 내용은 시대가 변하면 그 내용이 보완되거나 늘어나는 경우가있겠지만 단어의 의미가 변했다고 해서 예전에 통용되던 단어의 의미를 없애버리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빠른 시일 안에 패미컴과 패밀리컴퓨터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보완할 것입니다.--Zanny 2007년 4월 18일 (목) 19:48 (KST) 저도 위키 백과에 처음 들러서 필요한 자료를 찾아 보면서 혼동이 이었습니다. 위키 백과는 백과사전이면서 동시에 용어나 어휘사전인줄로 알았죠. 하지만 몇일동안 들리다 보니 이것은 용어사전에 적합한 내용이 백과사전에 많이 올려지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위키 백과 뿐만 아니라 다른 몇몇 온라인 백과사전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Zanny 2007년 4월 18일 (목) 20:03 (KST)

영어판에서조차 Family Computer를 NES로 바로가게 합니다만, 사용자가 한국어판에 비해 아득히 많은데도 아무도 그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군요. 왜 그럴까요? 답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Family Computer'라는 말이 영어에 없기 때문입니다. 원하시는 바대로라면 Family computers(고유명사가 아닌)라면 있을 수 있겠네요.
토론이 이곳으로 옮겨 졌었군요. [영어판 위키 Family Computer] 영어판에서는 Family Computer를 NES로 이동시키는 것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무엇의 영어판을 이야기 하는 것인지요? --Zanny 2007년 4월 19일 (목) 09:32 (KST)
일단, 컴퓨터와 콤퓨터의 차이 언급은 무의미합니다. 어차피 '제품명'이니까요. '이것 역시 패밀리 컴퓨터'라고 주장하고 싶으셔서 굳이 풀어서 '금성사의 가족용 컴퓨터'라고 말씀하셔도, 그 제품명은 처음부터 '금성 패미콤'이지 '금성 패밀리 콤퓨터'가 아니지 않습니까.
한국 제품 일본 제품의 문제가 아니라, 일단 아무 검색엔진이든 열고 '패밀리 컴퓨터', '패미컴', '패미콤', 'family computer' 입력해보시면 보통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아실 겁니다. 금성 패미콤일까요, 아니면 '가족용 컴퓨터'일까요? NES겠죠. 한국에서 발매된 NES는 '현대컴보이'라는 브랜드명을 지니나, 게임잡지에서는 '패미컴(패미콤) 호환'이라고 표기했습니다. IBM-PC호환과 같은 이유입니다. 같은 제품이 여러가지 이름이 되니(심지어 해적 기판으로 만들어진 양산형 기계도 많았고요) 잡지에서는 통합 표기가 필요했던 것이죠. 이것이 '현대컴보이', '슈퍼컴보이'가 통칭이 되지 못한 이유입니다. 결국 한국에서의 호칭은 패밀리 컴퓨터, 패미컴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럼 어째서 미국, 영국 애들이 패밀리 컴퓨터 = NES라고 생각하지 않는가? 그들이 지금 패밀리 컴퓨터를 차지하고 있는 문서 내용('가족용 컴퓨터')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패밀리 컴퓨터'라는 말이 없기 때문입니다. (금성 패미콤이 현재 사용되지 않아 제가 몰랐듯 말입니다.) 대신 "NES의 일본판?" 이란 대답은 얻을 수 있겠죠. 어느 사전이나 백과사전에 NES 이외의 패밀리 컴퓨터가 실려 있습니까? 딕셔너리닷컴이라도 보셨나요?
여담이지만, 오히려 미국 애들이 패밀리 컴퓨터라는 말을 모르는 이유는 NES조차 '닌텐도'라는 대명사로 불렸기 때문입니다. 복사기 = 제록스, 테이프 = 스카치테이프, 게임기 = 닌텐도.
원하시는 바는 Family Computer가 아니라 computer family가 아닌지? --히호군 2007년 4월 18일 (목) 20:51 (KST)답변
딕셔너리 닷컴에서 제목이 정확하게 Family Computer인 문서입니다. 검색된 Family Computer 문서--Zanny 2007년 4월 19일 (목) 09:35 (KST)
패밀리 컴퓨터가 컴퓨터 패밀리로 이동되어 다시 "닌텐도 패미컴"을 제자리로 옮겨놓았습니다. 패밀리 컴퓨터는 일본에서의 발매명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NES"로 판매되었으니, 해당언어권에서는 NES를 표제어로 가지는게 어쩌면 더 당연합니다. -- ChongDae 2007년 4월 18일 (목) 21:05 (KST)답변

실제로 금성 패미콤의 FC시리즈를 패밀리 컴퓨터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지만 그것은 무의미 합니다. 패밀리 컴퓨터는 일본에서 통용되는 단어입니다.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패밀리 컴퓨터가 통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닌텐도 한국지사에 메일을 띄워보겠습니다. 이곳 한국어 위키에서 닌텐도 패미컴을 패밀리 컴퓨터로 언급하는 것을 없애자는 것이 아닙니다. 대한민국에서 그리고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가장 많은 이들-위키의 구호가 모두의 위키 아니던가요?-을 위한 것이기에 패미컴를 넘겨서 닌텐도 패미컴으로 하자는 것이고 또 패밀리 컴퓨터 문서에는 닌텐도 패미컴의 설명을 넣으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Zanny 2007년 4월 19일 (목) 09:40 (KST)

  • 정확히 이야기했으면 좋겠습니다. 금성패미콤을 패밀리 컴퓨터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패미콤'이라는 용어 자체가 가족과 함께 하는 컴퓨터라는 이미지를 조성하기 위해 쓰여진 용어이지만 패미콤을 패밀리 컴퓨터라고 생각한다는 것하고는 다릅니다.
  • 패밀리 컴퓨터는 일본에서 판매된 상품이며 등록명입니다. 그것 상품을 국내에서 언급할때 '패밀리 컴퓨터'를 쓴 것 뿐입니다. 그리고 이 문서를 '닌텐도 패미컴'이란 이름으로 바꾼 것은 Zanny님이죠? 왜 그랬는가에 대해서 토론이 부족한 상태에서 바꾼 것이고, 그게 문제가 되어 토론이 있었고 그 결과 돌아온 것입니다.
  • 다른 곳에서도 그렇고, Zanny님은 모두를 위한 위키 - 라고 강조를 하시는데, 개인적으로는 조금 마음에 걸리는것이,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가장 많은 이들-위키의 구호가 모두의 위키 아니던가요?' 라 말씀하시면서 Zanny님이 하시는 행위는, 일정부분 Zanny님이 생각하고 있는 '이래야 한다'는 주장을 관철하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이번에는 그 '주장'이 곧바로 통용되지 않았구요. 패미컴을 닌텐도 패미컴으로 넘기자는 Zanny님의 주장은, 현재로서는 납득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혹시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인간이라면 '패밀리 컴퓨터'라 불리는 물건에 대해서 '닌텐도 패미컴'(혹은 그 비슷한 이름)이라 부를 것이라 단정을 짓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한국인들을 부정적으로 느끼게 하는 언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과민반응이 아니라면 말이지요.. )
  • 현재로서는 '패밀리 컴퓨터'란 이름을 가지고 이슈가 된 것이 닌텐도의 패미컴과 금성 패미콤 정도이지만, 이후 계속해서 다른 식의 이슈가 생겨서 혼란이 생기면, 그때는 그를 위한 어의분류 글을 따로 쓰면 될 겁니다. 그때 '패밀리 컴퓨터'가 '패밀리 컴퓨터(게임기)' 식으로 될지 어떻게 될지 토론하면 될 일입니다. 아직은 그렇게 되기까지 내용이 무르익은 것도 아니고, 다른 하나인 금성 패미콤도 지금은 과거가 되어버린 역사이고, 현재로는 '패밀리 컴퓨터'라는 식의 용어를 쓰는 주체로는 닌텐도의 패미컴이 유일합니다. 혹 애초에 이 글이 '닌텐도 패밀리 컴퓨터'로 시작된 글이었다 하더라도, '패밀리 컴퓨터'에서의 링크를 넣어줄 필요가 있을 정도로.

-- tiens 2007년 4월 19일 (목) 12:15 (KST)답변

영어로 Family Computer가 닌텐도의 패미컴을 지칭하는 것을 찾다 보면 대부분 Family Computer로 쓰이는 것이 나오게 됩니다. 앞서 영어판에서 Family Computer를 NES로 넘긴다는 사이트가 어디인가요?--Zanny 2007년 4월 19일 (목) 09:43 (KST)

가장 많은 사용예는 The Nintendo Family Computer (Famicom)의 표기입니다. 실제로 그렇구요. 물론 영어위키에서의 본문도 동일합니다. 왜 닌텐도를 붙였을까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Zanny 2007년 4월 19일 (목) 09:47 (KST)

아마도 en:Family Computer를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Puzzlet Chung 2007년 4월 19일 (목) 12:19 (KST)답변
en:Family_computeren:Family Computer를 같다 고 봐야 하는 건가요? 한국어와 영어는 1:1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길어진 토론을 정리해서 다시한번 나열하겠습니다.

1. 패미컴 - 일본의 닌텐도사의 패미컴의 간략한 소개로 사용하되 동음이의처리로 패미컴을 짧게 두고
2. 패미콤 - 역시 위와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3. 닌텐도 패미컴 또는 닌텐도의 패미컴 - 닌텐도를 비롯 폭넓은 패미컴 시리즈 정보 소개
4. 금성 패미컴 - 패미컴이나 패미콤의 동음이어를 클릭하여 넘어온 페이지
5. 패밀리 컴퓨터 - 가정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하는 컴퓨터 등의 설명, 패미컴,매미콤,닌텐도(의) 패미컴 언급 또는 고리 연결
6. 패밀리 콤퓨터 - 닌텐도(의) 패미컴으로 바로넘김

위의 6개 항목에 대한 저의 의견 요약입니다.--Zanny 2007년 4월 19일 (목) 12:49 (KST)

en:Family_computer가 뭔가요? 위키의 링크에서 _는 스페이스더군요.
그리고 우리가 영어권 표현까지 구체적으로 따지고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한국어로 잘 표현하기만 하면 되고, 그것에 대해서 이렇게 부르더라..는 식으로 소개만 하면 끝이겠죠. 그리고 5번 항목을 제외하고는 괜찮군요. 지금까지 '패밀리 컴퓨터'로 불려온 것들을 깡그리 무시하고, 새로운 정의를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영어에서의 family computer가 아니라 한글로 쓴 '패밀리 컴퓨터' 말입니다. 다른 예로, '가톨릭 교회'는 여러가지 교회가 있지만, 일단 영어판에서는 로마 가톨릭 교회를 가톨릭 교회의 주류로 생각하여 이쪽을 메인으로, 그리고 동음이의 문서를 따로 만들어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발전하면 될 겁니다.그리고 잠깐... 혹시 자동으로 넘어오기와 동음이의 처리를 섞어서 쓰시는 견 아닌지요? -- tiens 2007년 4월 19일 (목) 13:00 (KST)답변
_는 공란으로 압니다. 6번 항목만 넘겨주기로 제안한 것입니다. 1~5항목은 모두 문서폅집입니다.(단순 동음이의 처리가 있다면 5번이 되겠네요)
나중에서명하는방법을배워야겟네요;;--Zanny 2007년 4월 19일 (목) 13:42 (KST)

패밀리 컴퓨터(Family computer) 대 패밀리 컴퓨터(Family Computer)

  • If a student is allowed to use a Homestay family computer.
  • Install monitoring software or keystroke capture devices on your family computer.
  • Building a Supercharged Family Computer for Linux.
  • The family also, as the main unit of Tunisian society, has been involved within this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since 2001, of a national “family computer” program which enables low-income families to obtain a computer under easy financing terms, and to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t a symbolic cost. Being a country with limited natural resources,

Tunisia has focused its efforts, over the past fifty years, on its human capital and the capacity-building process.

  • In a nearby room his younger sister, call her Beth, is sleeping. She is a student at Springfield Middle School, and on the floor beside her bed is the soft hulk of her bookbag, which holds, among other things, the homework she did earlier on the World Wide Web. Not having a computer of her own, as Aaron does, Beth uses the computer downstairs that is referred to as the "family computer." In fact, the family has three computers, but only one of them is available to all family members.

검색이 안되는 문장이라고 해서 영어 쓰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짧고 긴 문장의 실례를 들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출판물이 아닌 인터넷상의 온라인 백과사전중 그 내용을 원 출처에 해당 내용의 글쓴이가 표기되어있는 것과 표기되어있지 않은 것에 대한 차이도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Zanny 2007년 4월 19일 (목) 14:4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