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네티즌
출처를 다시 요구한 이유
대한민국에서는 일상에서 많이 쓰인다. 누리꾼이라는 용어가 처음 쓰이기 시작한 일부 사이트(인터넷 신문 기사 등)에서 많은 사람들의 약간의 반감을 사기도 했지만 지금은 많이 호전된 것으로 보인다.뉴스보이…네티즌 의견이 살아있는 생생한 인터넷 신문
위 문장에 출처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뉴스보이 기사가 출처로 제시되었으나 제가 여기에 대해 다시 출처를 요구한 이유는, 해당 기사는 누리꾼이라는 용어에 대해 반감을 표한 네티즌의 존재를 알려줄 뿐 1. 반감을 산 곳이 그 용어가 처음 쓰이기 시작한 사이트라는 근거가 없으며, 2. 현재는 당시에 비해 그 반감이 감소했다는 근거가 없으며, 3. 반감의 감소를 '호전되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비중립적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Acepectif 2007년 12월 30일 (일) 02:20 (KST)
제목 변경 요청
누리꾼이라는 말로 표제어를 바꾸는 건 어떨까요? 국립국어원에서도 가장 잘 다듬은 말이라고 자평을 하고, 언론사에서도 흔히 쓰더라고요. --정안영민 2006년 1월 27일 (금) 00:18 (KST)
- POV스러운 변경에 반대합니다. --Kjoonlee 2008년 2월 21일 (목) 05:34 (KST)
이 문서의 제목을 누리꾼으로 옮겼으면 합니다. 손수제작물은 우리말로 순화된 말로 옮겼는데, 그렇다면 굳이 표제어를 영단어로 할 이유는 없는것 같다고 봅니다. --WhiteNight7(Talk) 2008년 2월 2일 (토) 09:13 (KST)
- 네티즌은 그럼 “우리나라 말”이 아닌 것인가요? 거의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되는데요. --Kjoonlee 2008년 2월 21일 (목) 05:42 (KST)
- 영어판에서도 Netizen이 있네요. 콩글리쉬도 아니고... 그러면 영어 단어 아닌가요? 대한민국에서만 발견된다고 한국어가 되는 건 아니잖아요 :D --쿠도군(wen1234@naver.com) 2008년 3월 18일 (화) 21:38 (KST)
- 누리꾼이라는 한국어를 놨두고, 외국어인 네티즌을 쓰는 것은 좀 그렇습니다.--알밤한대 (토론) 2008년 3월 24일 (월) 20:51 (KST)
- 현재 내용은 제목과 맞지 않습니다. 차라리 별도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나을 듯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6월 21일 (토) 12:02 (KST)
- 되돌렸습니다. '누리꾼'은 별도 문서로 작성하였습니다. jtm71 (토론) 2008년 6월 23일 (월) 16:36 (KST)
'누리꾼'도 빈번히 쓰이는데, 같이 정리하는 것으로 하여 문서를 다시 합쳐야 할까요 ...? jtm71 (토론) 2008년 6월 23일 (월) 17:00 (KST)
- 한국어 사용자들이 많이 쓰면 한국어라고 봐야지요. 많이 쓰는 말이 1누리꾼, 2네티즌, 3망시민의 순서라면 '누리꾼'으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그런데 아직은 1네티즌, 2누리꾼, 3망시민인 것 같네요. MBC에서 광고 압박 운동 기사에 네티즌이란 말을 쓰고 있어요. 네티즌을 표제어로 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그리고, 누리꾼 문서을 네티즌 문서로 합쳤습니다. 김정민(JM) (토론) 2008년 9월 9일 (화) 09:27 (KST)
합병
--WhiteNight7(Talk) 2008년 8월 9일 (토) 11:13 (KST)
문서 이동 건의
이 문서는 "누리꾼"으로 옮기는 것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외래어와 순우리말 두 종류가 함께 존재한다면 당연히 순우리말을 우선적으로 해야겠지요. -- Kookyunii (토론) 2009년 11월 13일 (금) 01:35 (KST)
네티즌 vs 누리꾼 총의형성 토론
위에 보시다시피 둘중 어느쪽으로 할건지 토론은 자주 있어왔지만 짧은 토론이 대부분이고, 총의가 형성되진 않은듯합니다. 많은 사용자분들의 의견을 얻어 이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용어사용을 통일했으면 합니다. 검색해보니 누리꾼보다 네티즌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국립국어원에서 누리꾼으로 사용을 하자는 캠페인이 있어왔기 때문에 이부분도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1]--1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14:57 (KST)
- 이곳에서 '네티즌'을 검색해보시면 설명이 없고 '=누리꾼' 이라고만 기재되어 있으며, 누리꾼을 검색해야만 의미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에는 '누리꾼'이 정식 명칭인 셈입니다.--1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15:18 (KST)
- ‘의미’는 오십보 백보, 하지만 "누리꾼"으로 변경하여도 문서의 의도가 곡해되지 않으므로, 같은 의미이므로, 찬성합니다. "네티즌"을 넘겨주기 하면 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9월 28일 (화) 19:59 (KST)
- 누리꾼에 한 표. 여기가 한국 위백은 아니지만, 외국어는 어지간하면 우리말로 대체해서 써야 한다고 봅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00:12 (KST)
- 누리꾼으로 대체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가람 (논의) 『One day, one hour』 2010년 9월 29일 (수) 00:17 (KST)
- 누리꾼에 동의합니다.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0년 9월 29일 (수) 00:32 (KST)
- 누리꾼에 동의합니다. 기사 검색에도 아마 네티즌보단 누리꾼이 더 많이 나올 것 같은데요, 그 부분은 어떤가요?--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9월 29일 (수) 01:21 (KST)
- 토트님 오랜만이시군요.^^ 기사 검색에서도 네티즌이 많이 사용되고는 있습니다. 최근 한달 '네티즌'으로 뉴스 기사를 검색해보면 네이버 기준으로 약 17000건이 나오고, 누리꾼은 3500건 정도가 나오는군요. 누리꾼이 좀 적긴 하지만 꽤나 활성화된 것으로 보입니다.--1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01:44 (KST)
- 고유어화가 좋지 않을까요? 누리꾼에 한표.--Leedors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7:11 (KST)
[2] ←최초생성자 [3]←누리꾼 최초 기여자 분에게 동의를 구해야 하는거 아닌지요?--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36 (KST)
- 위키백과 문서가 최초 기여, 생성자에게 귀속이 되는건가요?--1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43 (KST)
- 제 생각으로는 저 두분에게 의견을 물어보고 하는것도 좋다고 봅니다.그래야 최종결정하는 거라고 생각되어집니다.--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45 (KST)
- 누리꾼으로 이동하려는 토론이므로 누리꾼 최초 기여자에겐 통보할 필요가 없어보이고, 네티즌 최초 생성, 기여자에겐 통보를 하였으나 5월 이후로 활동 내역이 없어 답변 가능성은 불투명한듯합니다.--1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57 (KST)
- 그렇다면 누리꾼
찬성--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1:04 (KST)
- 그렇다면 누리꾼
- 누리꾼으로 이동하려는 토론이므로 누리꾼 최초 기여자에겐 통보할 필요가 없어보이고, 네티즌 최초 생성, 기여자에겐 통보를 하였으나 5월 이후로 활동 내역이 없어 답변 가능성은 불투명한듯합니다.--1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57 (KST)
- 제 생각으로는 저 두분에게 의견을 물어보고 하는것도 좋다고 봅니다.그래야 최종결정하는 거라고 생각되어집니다.--정인우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20:4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