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부전역 (도시철도)
| 이 문서는 철도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철도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품질이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중요도가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병합도시철도 부전역은 부전역과 한 모퉁이에 접하고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매우 근접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현재 분리 되어 있어서 좀 불편증이 따르기 때문에 최근 처럼 합했으면 좋겠습니다. 청량리역도 마찬가지이고요. 운영 주체가 다르다고 떼 놓으면 찾기도 힘듭니다. 다만, 신림역 (서울) 과 신림역 (원주)의 경우, 한자가 다릅니다. 서울에 위치한 곳은 '새숲'이라는 뜻이지만, 원주에 위치한 곳은 '거룩한 숲이고' 전혀 다른 역이잖아요. 교대역 (대구)와 교대역 (부산)과 교대역 (서울), 혹은 부산대역과 부산 대 양산캠퍼스역 도 전혀 다른 역이지만 두 10대 남학생들이 있는데 같은 중학교이며, 둘다 중1이며, 같이 공부하며, 같은 안경과 시계를 착용하고 있고 같은 신발을 신고 있고, 이름도 같고, 성별도 같고, 성명의 한자도 같고, 생일이 몇년 몇월 몇일이 또한 같으며 1초도 어긋나지 않고 exactly동시에 태어났는데, 하나로 통합할 수 없는 셈이나 마찬가지로, 하나로 통합하면 오히려 힘듭니다. 하지만, 왕십리역이나 신도림역을 보면 운영 주체가 달라도 하나로 통합되어 있죠. 곧 환승통로가 있다는 증거입니다. 또한, 노량진역도 현재는 없지만 9호선 환승방송을 하고, 영판에 통합되어 있고, 한글판에서도 합쳐져 있는 이유는 바로 환승통로가 지어지는 것이 예정이길래 그렇잖아요. 그러니 대구부산선과 중앙선이 현재 합쳐졌듯이, 통영대전선과 중부선을 합칠 중(이유는 인삼랜드 휴게소의 다음 휴게소가 신탄진 휴게소이기 때문)에 있잖아요. 그렇듯, 청량리역도 예정에 있어서 합쳐야 하며, 단 여긴 환승통로가 없어도 하나로 취급할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 역도 부산진역도 통합을 요구합니다.-강릉 정동진(Gangneung Jeongdongjin)
찬성맞아요, 아무리 무료 환승역이 아니라도, 부전역은 바로 앞에 있으니까요. 또한 가야역, 동촌역, 사상역, 화명역, 구포역 등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 머리에 있습니다.-금강
- 여기에서도 1인 2역 토론 드라마가 상영되고 있었군요-_-... --Phenomenart (토론) 2010년 5월 12일 (수) 20:39 (KST)
반대 절대 반대입니다. 무료환승역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왕십리역의 경우, 환승통로가 있습니다. 하지만 강릉정동진의 말과는 달리 꽤나 떨어져 있습니다ㅠㅠㅠㅠ-사용자:ChongD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