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풍물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hobot (토론 | 기여)님의 2010년 3월 25일 (목) 18:13 판 (Robot: Changing templates: 합병, Merge)

정의

풍물놀이(농악, 풍물굿, 메구)를 하는 모임.

구성

치배와 잡색으로 구성이 된다. 치배는 풍물(악기-꽹과리, 징, 장고, 북, 소고)를 연주하며 춤을 추는 사람을 일컫는다. 잡색은 각기 배역을 가지고 춤을 추며 풍물판의 흥을 돋구기도 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라 좌도굿 풍물패 구성 예시 치배 꽹과리 - 상쇠: 전체 풍물판의 지휘자 역할.

       부쇠: 상쇠를 보조하여 꽹과리를 연주하는 역할.
     * 이하 순서에 따라 삼쇠, 사쇠, 오쇠.... 끝쇠(막쇠)라 칭한다.

징 - 가락의 마디를 맺어 주는 역할을 한다. 장구 - 풍물가락의 멋을 내주는 역할. 장구를 이끄는 사람을 상장구라 칭한다. 북 - 풍물 가락의 소리를 웅장하게 하는 역할. 북을 이끄는 사람을 수북이라 칭한다. 잡색 대포수 - 잡색의 우두머리로 판의 흐름에 따라 잡색을 이끌며 흥을 돋군다 파계승 - 각시와 짝을 이뤄 현실을 풍자하는 역할 각시 - 남자가 배역을 맡는 경우가 많으며 웃음을 자아내는 역할 무동 - 작은 아이들로 구성되며 어른의 어깨에 무동을 타고 춤을 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