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먼델-플레밍 모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rsia (토론 | 기여)님의 2010년 2월 10일 (수) 04:34 판

소개

먼델-플레밍 모형로버트 먼델마커스 플레밍이 정립한 경제학 이론이다.
IS-LM 모형이 폐쇄적인 자급자족 경제를 다룬데 반해, 먼델-플레밍 모형은 개방경제를 다루었다.


기본적인 설명


먼델-플레밍 모형은 기본적으로 케인지언 거시경제모형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IS-LM 모형에서 시작한다.
IS-LM 모형은 기본적으로 생산물 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만으로 거시경제변수들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때 핵심이 되는 것은 가격의 비신축성이며 이러한 가격의 경직성이 보장되어야만 IS-LM 모형은 현실적인 설명력을 지닌 모델이 된다.
문제는 이러한 수요측면의 거시경제이론과 환율과 국제수지라는 개념을 통합할 수 있는가이다.
기존의 국제거시경제이론은 국제수지환율사이의 관계나 통화량국제수지사이의 관계만을 단편적으로 설명해줄 뿐
물가, 인플레이션, 생산, 실업 ,통화량 ,이자율 ,국제수지 ,환율 과 같은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을 모두 통합해서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어 내지 못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로버트 먼델마커스 플레밍은 각기 동일한 형태의 거시경제모델을 발표하는데 이것이 바로 먼델-플레밍 모델이다.
이런 새로운 경제이론의 처음 목적은 환율제도에 따라서 국가가 어떤 경제충격에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는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와 그 이후 각국의 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과정에 있어서 재정,금융정책을 어떤식으로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의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