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선덕여왕 (드라마)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실 궁주? 공주?

등장인물 소개하면서 '미실궁주'라 하시는데 궁주를 검색창에 치면 공주로 뜹니다. 어차피 같은 뜻인 것을 일반인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공주로 바꾸는게 어떨까요?Thinkspring96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3:15 (KST)답변

미실 공주라뇨 -_-;; 미실은 절대 공주가 아닙니다. 배우들의 발음 때문에 헷갈리셨는지는 몰라도, 배우들이 말하는 건 ‘미실 공주’가 아니라 ‘미실 궁주’ 입니다. 여기서 궁주는 ‘새주’를 의미하며, 새주는 옥새를 관장하는 관직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미실은 모든 권력을 쥐고 있지만, 명목 상으로는 실권이 없는 명예 관직인 ‘새주’ 자리에 있는 것이지요. 참고 바랍니다. ^^
-- 엔샷 (토론) 2009년 9월 23일 (수) 11:12 (KST)답변
궁주가 '새주'를 뜻하는 것은 아니고요, 왕궁 내에 독자적인 궁을 가질 정도의 지위에 있는 왕족, 귀족 여성을 뜻합니다. 미실 외에도 수많은 '궁주'들이 있었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0월 23일 (금) 02:00 (KST)답변

다른 드라마들 참고

방송 시간을 시작 시간과 끝 시간 모두 쓰는 것은 좀 그렇습니다. 선덕여왕은 드라마의 특성 상 회차별로 방송 시간의 편차가 큽니다. 굳이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을 밝혀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엔샷 (토론) 2009년 9월 23일 (수) 11:12 (KST)답변

드라마《선덕여왕》의 역사 왜곡에 관한 의견

드라마 선덕여왕이 역사와 많이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다른 역사 드라마들 또한 선덕여왕과 비슷한, 혹은, 더 한 각색과 왜곡이 있어 왔습니다. 드라마《대장금》은 조선 시대에 ‘대장금이라는 의녀가 있었다’라는 한 줄의 사료만이 그 근거 자료일 뿐입니다. 또한 선덕여왕은 애초 부터 ‘퓨전 사극’ 이라고 밝히고 드라마를 제작해 왔습니다. 물론, 국민들에게 잘못된 역사적 사실을 심어줄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예전부터 우리나라 역사 드라마들은 그래왔기 때문에 굳이 선덕여왕의 개요 글에만 ‘역사 왜곡’을 했다는 것을 밝혀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엔샷 (토론) 2009년 10월 10일 (토) 23:58 (KST)답변

정보 전달 차원에서 실제 역사서와 다른 점만 써 주면 될 것 같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0월 11일 (일) 16:30 (KST)답변
계속해서 사소한 차이점을 계속 적는 분들이 있는데요, 선화공주, 원광대사 등 유명인이 나오지 않는 점, 기존 사서와 명백히 다른 점만 적으셨으면 합니다. 사소한 것까지 붙들고 늘어지자면 한없이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0월 23일 (금) 02:01 (KST)답변
미실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역사서와 다른 점 맞습니다. 그리고 미실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게 사소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덕만이 즉위를 하느냐 마느냐에 대해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게 사소하다뇨.
해당 내용을 조금 수정하는 선에서 마무리하도록 하지요. adidas (토론) 2009년 11월 1일 (일) 15:44 (KST)답변

선덕여왕 좋아하시는 분들께

미실 문서에도 많이 참여 바랍니다^^ 아울러 영어판도 생성하였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편집하시기 바랍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0월 13일 (화) 13:08 (KST)답변

시청률

최근 몇 편만 보여주고 가리기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adidas (토론) 2009년 10월 27일 (화) 15:23 (KST)답변

찬성 아예 시청률을 통째로 가려버리는건 어떨까요? 시청률이 위키백과 문서의 문맥 상 그렇게 중요한 내용은 아닌듯 싶네요,, -- 엔샷 (토론) 2009년 10월 28일 (수) 08:52 (KST)답변

선덕여왕 제 53회 부터 계백의 등장이 확정되었습니다.

백제의 영웅이자 드라마 선덕여왕 최고의 카리스마 계백 장군님께서 53회에 드디어 김유신의 대외 숙적(대내 숙적은 비담)으로 등장했습니다. 대본은 이미 확인했습니다. 아직 촬영은 하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만 이번주 금요일 쯤 계백 출연분이 촬영 예정입니다.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계백은 김유신과 대야성을 놓고 싸우게 됩니다. 다음주 월요일 계백 장군의 훌륭한 활약을 기대해 봅시다. ^^*

상상의 나래를 위키백과에다 펼치지 마십시오. 계속 장난성 편집을 강행하시면 계정 차단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소심자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01:59 (KST)답변
계백이 등장하는 것은 진짜이며 소심자씨를 인신공격 사유로 차단 신청 조치하겠습니다. 소심자씨 당신 혼자만의 생각으로 상상을 운운하니 굉장히 불쾌합니다. 얼른 사과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이야말로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다른 사람의 증거를 동반한 의견을 묵살하는 초딩같은 행동은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는 소심자씨 당신 혼자만의 놀이터가 아닙니다.— 이 의견은 222.112.248.156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4월 29일 (화) 23:51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차단신청 운운하시는 분이면 위키백과를 어느 정도 아시는 분인 듯 한데, 토론글을 남기실 때에 서명을 하는 것 조차 아직 모르십니까? 귀하가 선덕여왕 촬영팀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없고는 위키백과에서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귀하가 그렇게 말을 해도, 명백하게 증거가 있지 않은 이상 그 말을 믿을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정확한 증거가 있다고 하시면 그 증거를 제대로 된 출처와 함께 첨부하여 문서를 편집하십시오. 그러면 저도 수긍은 하겠습니다.(단, 귀하의 편집은 '내 말은 무조건 믿으라.' 식의 반 억지성 편집이었기 때문에 귀하에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겠습니다.) 난데없이 진짜이니, 초딩이니 운운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초딩'같은 행동입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입니다. 어느 문서던간에, 누구라도 그 내용에 의심이 가지 않을 만한 내용이 담겨 있어야 합니다. 위키백과:편집 지침은 제대로 읽어보셨습니까? 아울러 저는 아무런 출처가 없었기에 귀하의 의견을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진정으로 드라마를 위하시면 앞으로 방송될 내용을 함부로 유출해도 되는지도 묻고 싶군요. 그렇게 한다고 해도 님과 친하다는 그 선덕여왕 촬영팀에서 가만히 두고 볼지도 의문입니다. 대개 사전 유출은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크게 퍼지는 것으로 압니다만. 이래저래 다짜고짜 초딩같은 행동이라 하거나, 남기신 토론글의 내용을 보니 의심은 많이 갑니다만. 어느 곳에서던 그 곳의 기본적인 룰은 파악하시고 주장을 하시고 근거를 대십시오. 아무튼 귀하의 성실한 편집 기다리겠습니다.--소심자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19:26 (KST)답변


그럼 다음주 수요일날 소심자씨의 사과를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분명히 약속되었습니다. 또한 소심자씨는 상상의 나래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사과를 해야만 할것이고 저는 계백 등장 말고는 발언한 내용이 없으며 이미 오늘분 네이버 뉴스에 나왔기 때문에 극비사항이라고 보긴 힘듭니다. 222.112.248.156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19:39 (KST) 이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답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007595

그런식으로 따진다면 네이버 뉴스 역시 선덕여왕 제작팀에게 고소를 당해야 하나요? 트집잡기 위해 죽을 힘을 다하시는 (소심자 ) 씨의 모습을 아름답게 봐야만 하는 것인지 모르겠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사과한다는 글을 함부로 지우니 한입으로 두말하시는 (소심자)씨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상대를 안하고 트집잡을때마다 계속적으로 인신공격에 의한 차단신청을 해드리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네이버 뉴스에 올라온 것은 11월 18일 오전이고, 귀하가 아무런 출처 없이 문서를 편집한 것은 그 이전입니다. 더불어, 토론글을 남기실 때에는 서명을 해 주십시오.--소심자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19:42 (KST)답변
상상의 나래라는 발언에 대해 사과부터 먼저 하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는 인신공격이나 욕지거리를 하라고 있는 곳이 아닙니다. 문서편집 내용 역시 계백 등장 말고는 없습니다. 덕만이 즉위한 이후라면 선덕여왕의 애청자라면 계백의 등장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혹시 '비밀 정보'라면 유출하지 말아야 옳은 것 아닐까요? 위키백과에는 공개된 정보만을 실을 수 있습니다. 비공개, 비공식적인 정보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02:54 (KST)답변

의견 진짜네요. 선덕여왕에 계백이 등장하는가봅니다. 53회부터요 ㅋㅋ 미실의 빈자리를 메워줄지도 모르겠네요 ㅋㅋ

--엔샷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16:20 (KST)답변

추가로 선덕여왕 제 53부 대본을 보면 32번째 씬에서 계백과 윤충이 등장하며 대야성 기습작전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 의견은 222.112.248.156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4월 29일 (화) 23:51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의견 222.112.248.156님, 저도 신문기사를 통해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계백장군이 나온다는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증거자료 1 이부분은 분명 상상의 나래는 아닙니다. 드라마에서 실제로 선덕여왕이 왕이 된 후, 10년이 흐른후의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증거자료 1처럼 그 표현방식이 잘못되었습니다. 줄거리에서 선덕여왕이 왕이 된건 나오지만, 구지 나머지 부분까지 언급하는지 이해가 안되는군요. 법과학교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20:28 (KST)답변

의견 선덕여왕 계백으로 최원영씨가 캐스팅됐네요. 증거 기사 기대가 되는군요 ㅋㅋ --엔샷 (토론) 2009년 11월 20일 (금) 11:24 (KST)답변

드라마에 관련된 에피소드는 넣지 않겠습니다.

드라마 선덕여왕과 관련된 에피소드는 보조출연자의 개인 신상 정보 보호 및 제가 소심자씨에게 인신공격[1]을 당한 직후이므로 차후 무익한 싸움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에피소드를 많이 알고 있지만 문서에 넣지는 않겠습니다. 예를 들면 석품역의 홍경인님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수염을 붙이고 싶어하셨다는 것과 칠숙역의 안길강님이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된다는 내용[1] 등 꽤 많은 분량이 있으나 소심자씨의 훼방으로 못넣고 있습니다. 에피소드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글은 올리지 마시고 마음 속으로만 소심자씨를 원망하시기 바랍니다.^^*

  1. 상상의 나래라는 정신나간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