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공하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akergree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8월 29일 (목) 10:21 판 (특징)


공하강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초기-데본기 초기
538–393백만년 전
공하강을 대표하는 종들 (아노말로카리스, 오파비니아, 케리그마켈라, 팜브델루리온. 시계방향 순)
공하강을 대표하는 종들
(아노말로카리스, 오파비니아, 케리그마켈라, 팜브델루리온. 시계방향 순)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공하강
Collins, 1996

공하강(학명Dinocaridida 디노카리디다[*])은 고생대 캄브리아기 초에서 데본기 초까지 번성했던 멸종한 해양동물로, 대부분의 종이 캄브리아기 초중반에 걸친 지층에서 발굴되고 있다. 공하강의 학명은 그리스어 'deinos' 와 'caris'에서 온 것으로 '무서운 새우' , '혹은 무서운 게'라는 의미다. 겉보기에 갑각류와 비슷하고 이 그룹에 속한 동물들이 당시의 최상위 포식자라는 해석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동물들의 화석은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해 있으며 캐나다, 중국과 러시아의 캄브리아기 지층,[1] 그리고 독일의 데본기 지층에서도 발견되었다.[2]

특징

방사치목(Radiodonta. 왼쪽), 케리그마켈라과(중앙), 오파비니아(오른쪽)의 눈(짙은 파랑 및 검정), 뇌(연청색), 소화계(노랑)

공하강에 속하는 동물들은 좌우대칭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비광물화한 큐티클층으로 덮여 있고 몸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는 체절화되어있지 않다. [3][4] 머리 앞에는 부속지가 눈과 입 앞에 붙어있다. 이 전방 부속지는 엽족동물의 다리와 마찬가지로 엽족 형태이며 연하고 절지화되어있다. 보통 쌍으로 꾸려져 있으나 오파비니아과의 경우, 두 부속지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5] 몸통은 13 개 이상의 마디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은 아가미 겸 지느러미로 쓰이는 엽을 가지고 있다. 이 엽들은 위아래로 움직이며 마치 갑오징어목의 움직임처럼 몸을 앞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6]

분류

공하강은 분류상의 위치가 분명하지 않긴 하지만 줄기군 절지동물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연구에서 이들은 엽족동물문에 속하는 수수께끼 같은 형태의 동물들과 함께 묶이곤 한다.[7]

각주

  1. Ponomarenko, A. G. (2010). “First record of Dinocarida from Russia”. 《Paleontological Journal》 44 (5): 503–504. doi:10.1134/S0031030110050047. 
  2. Kühl, G.; Briggs, D. E. G.; Rust, J. (2009년 2월). “A Great-Appendage Arthropod with a Radial Mouth from the Lower Devonian Hunsrück Slate, Germany”. 《Science》 323 (5915): 771-3. Bibcode:2009Sci...323..771K. doi:10.1126/science.1166586. ISSN 0036-8075. PMID 19197061. 
  3. Ortega-Hernández, Javier (2016).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영어). 《Biological Reviews》 91 (1): 255-273. doi:10.1111/brv.12168. ISSN 1469-185X. PMID 25528950. S2CID 7751936. 
  4. Ortega-Hernández, Javier; Janssen, Ralf; Budd, Graham E. (2017년 5월 1일). “Origin and evolution of the panarthropod head – A palaeobiolog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영어).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Evolution of Segmentation 46 (3): 354–379. doi:10.1016/j.asd.2016.10.011. ISSN 1467-8039. PMID 27989966. 
  5. Xianguang, Hou; Jan, Jan Bergström; Jiayu, In Rong; Zongjie, Fang; Zhanghe, Zhou; Renbin, Zhan; Xiangdong, Wang; Xunlai, Yuan; Xianguang, Hou (2006). 《Dinocaridids – anomalous arthropods or arthropod-like worms?》. CiteSeerX 10.1.1.693.5869. 
  6. Usami, Y.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body form and swimming pattern of Anomalocaris based on hydrodynamic simulation”.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38 (1): 11–17. doi:10.1016/j.jtbi.2005.05.008. PMID 16002096. 
  7. Budd, G. E. (1996). “The morphology of Opabinia regali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arthropod stem-group”. 《Lethaia》 29: 1. doi:10.1111/j.1502-3931.1996.tb01831.x. 

내용주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공하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공하강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