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의 농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amgoguma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22:30 판
대한민국 경주의 경작지(2006년)는 벼농사가 주를 이루는 토지를 집중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남한의 농업대한민국 경제의 한 부문이다. 한국 농업은 농업, 축산, 임업, 어업으로 구성된 한국 경제의 기초 산업이다. 건국 당시 한국은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농업 생산에 종사할 정도로 전형적인 농업 국가였다. 이승만 정권하의 토지 개혁, 박정희 군사 정부 하에서의 경제 활성화와 1980년대부터 시작된 세계 무역 자유화의 물결 이후 한국 농업은 극적인 변화를 겪어 왔다. 한국은 녹색 혁명을 통해 1978년 주식인 쌀을 자급하게 되었고, 1996년에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세립 재배로 농업을 기계화하였다. 한국 농업의 발전은 비료, 농기계, 종자 등 농업 관련 산업의 발달로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