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PI첨단소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ykim2012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9일 (화) 08:26 판 (새 문서: {{회사 정보 | 이름 = PI 첨단소재 | 원어 = PI Advanced Materials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제조<ref>[http://www.leading.co.kr/download?boardClassification=research&atchFileId=FILE_000000000075478 리딩투자증권 애널리스트 보고서 PI첨단소재]</ref> | 창립 = 2008년 | 시장 정보 = {{KRX|178920}} | 국가 = {{국기|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4 (남대문로5가) 그랜드센트럴 | 인물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PI 첨단소재
PI Advanced Materials Co. Ltd.
형태주식회사
창립2008년
시장 정보한국: 178920
산업 분야제조[1]
본사 소재지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4 (남대문로5가) 그랜드센트럴
핵심 인물
대표이사 김성욱
매출액2764.4억원 (2022년)
457.1억원 (2022년)
종업원 수
330명 (2022년)
웹사이트PI첨단소재

PI 첨단소재(PI Advanced Materials Co. Ltd.)는 PI 필름 및 바니쉬를 제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2] PVDF(EV/배터리용 바인더, 분리막) 사업에 강한 [3] 프랑스의 화학 회사인 아케마(Arkema)가 글랜우드PE의 지분 전량 인수하는 계약 진행 중이다[4]. 외국인 지분율이 4.2%이며[5] 북미와 중국 등에 고객사에 제품을 납품한다[6]

제품

전기차 핵심 부품인 구동모터 내 권선의 절연 코팅 소재로 사용되는 소재인 EV용 PI Varnish를 생산한다[7] FPCB 및 방열시트용 PI필름, 2차전지용 필름 등 EV 관련 제품군과 산업공정용 PI, CoF 등 첨단산업용 고부가가치 소재도 생산한다[8] PI필름은 스마트폰에서 발생한 열을 밖으로 내보내는 방열시트, 그리고 연성회로기판(FPCB)에 부품으로 들어가는 연성동박적층판(FCCL) 등에 주로 이용된다.

참고문헌

같이보기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