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쇠지렛대
새 주제보이기
마지막 댓글: 220.79.57.193님 (1년 전)
![]() |
이 문서는 공학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공학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 |
이 문서는 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해당하는 토막글입니다. | |
보통 | 이 문서는 프로젝트 내에서 약간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본문에 동의어로 나오는 '쇠지레'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반면 '노루발못뽑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입니다. 표제어와 동의어 관계가 반대로 된 것 같은데 문서의 제목을 '쇠지레'로 바꾸는게 맞지 않을까요
노루발못뽑이라는 단어는 한국어사전에서 찾을 수 없어 국립국어원의 답변([1])과 고려대학교 한국어사전([2], [3])을 참고하여 노루발장도리로 변경하였습니다.--Motoko C. K. (토론) 2019년 4월 26일 (금) 19:02 (KST)- 아 국립국어원 설명을 보고 착각했네요. 일단 다시 돌려놓겠습니다.--Motoko C. K. (토론) 2019년 4월 26일 (금) 19:05 (KST)
- 국립국어원이 일명 빠루를 노루발못뽑이로 "다듬은" 것은 사실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4] 다만 최근 뉴스 기사를 보니 노루발못뽑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더 토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5] --Motoko C. K. (토론) 2019년 4월 26일 (금) 19:22 (KST)
- 이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릅니다.
- 빠루를 노루발못뽑이라고 "다듬은" 것이라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 30년 전에도 '못뽑이'라는 단어는 이미 사용되고 있었으며, 못을 뽑는데 이용되는 지레를 못뽑이라고 합니다. 장도리도 일종의 못뽑이입니다.
- '망치+못뽑이'의 기능을 가진 게 장도리라면, 못뽑기 위한 형태와 '끌'처럼 생긴 반대편으로 이루어진 자루를 노루발이라고 불렀습니다.
- 우리가 흔히 부르는 빠루가 '노루발(이 달린) 못뽑이'인겁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노루발과 못뽑이 모두 존재합니다. 합성어를 단일단어로 착각해서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라고 생각했다고 보입니다.
- 반면, '쇠지레'는 철로 된 자루 형태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못을 뽑는 목적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 단어의 의미를 생각하면 우리가 흔히 빠루라고 부르는 물건은 '노루발 못뽑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220.79.57.193 (토론) 2023년 12월 9일 (토) 16:54 (KST)
노루발못뽑이라는 명칭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없습니다
[편집]표준국어대사전에는 노루발못뽑이라는 명칭은 없고 오직 쇠지레만 존재합니다. 이에 명칭변경을 제안합니다. 2001:2D8:6A2C:6B93:8135:E2BA:1DB4:BE56 (토론) 2023년 7월 17일 (월) 12:24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