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나이트로톨루엔
보이기
| |||
이름 | |||
---|---|---|---|
우선명 (PIN)
1-methyl-2-nitrobenzene | |||
별칭
o-nitrotoluene,
o-methylnitrobenzene, 2-methylnitrobenzene, ortho-nitrotoluen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1.685 | ||
EC 번호 |
| ||
KEGG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1664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7NO2 | |||
몰 질량 | 137.138 g·mol−1 | ||
겉보기 | 노란색 액체[1] | ||
냄새 | 약한 향[1] | ||
밀도 | 1.1611 g·cm−3 @ 19°C[2] | ||
녹는점 | −10.4 °C (13.3 °F; 262.8 K)[2] | ||
끓는점 | 222 °C (432 °F; 495 K)[2] | ||
0.07% (20°C)[1] | |||
증기 압력 | 0.1 mmHg (20°C)[1] | ||
자화율 (χ)
|
-72.28·10−6 cm3/mol |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 ||
신호어 | 위험 | ||
H302, H340, H350, H361, H411 | |||
P201, P202, P264, P270, P273, P281, P301+312, P308+313, P330, P391, P405,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106 °C; 223 °F; 379 K[1] | ||
폭발 한계 | 2.2%-?[1]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891 mg/kg (oral, rat) 970 mg/kg (oral, mouse) 1750 mg/kg (oral, rabbit)[3]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5 ppm (30 mg/m3) [skin][1] | ||
REL (권장)
|
TWA 2 ppm (11 mg/m3) [skin][1] | ||
IDLH (직접적 위험)
|
200 ppm[1]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2-나이트로톨루엔(영어: 2-nitrotoluene)은 화학식이 CH3C6H4NO2인 유기 화합물이다. o-나이트로톨루엔(영어: o-nitrotoluene), 오르토-나이트로톨루엔(영어: ortho-nitrotoluene)이라고도 한다. 2-나이트로톨루엔은 α (−9.27 °C) 및 β (−3.17 °C)라고 하는 두 가지 형태로 결정화되는 밝은 노란색 액체이다. 2-나이트로톨루엔은 주로 다양한 염료 생산의 중간생성물인 o-톨루이딘의 전구체로 사용된다.[4]
합성 및 반응
[편집]2-나이트로톨루엔은 -10 °C 이상에서 톨루엔을 나이트로화시켜 만든다. 이 반응으로 2-나이트로톨루엔과 4-나이트로톨루엔의 2:1 혼합물이 생성된다.[4]
2-나이트로톨루엔을 염소화하면 클로로나이트로톨루엔의 2가지 이성질체가 생성된다. 유사하게 2-나이트로톨루엔을 나이트로화하면 다이나이트로톨루엔의 2가지 이성질체가 생성된다.
2-나이트로톨루엔은 주로 염료의 전구체인 o-톨루이딘의 생산에 사용된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462”.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가 나 다 Lide DR, 편집. (2004).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a ready-reference book of chemical and physical data》 85판. Boca Ratan Florida: CRC Press. ISBN 0-8493-0485-7.
- ↑ “Nitrotoluene (o-, m-, p-isomers)”.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가 나 다 Gerald Booth (2007), 〈Nitro Compounds, Aromatic〉,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7_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