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5
보이기
이름으로 세부 명세 양한 부가기능과 최신 멀티미디없이 브라우저에서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
.
현재 작업 초안 단계로 진행 중이다.
HTML4와의 차이점
- 요소 추가
- 구조적인 요소 - 구역을 나누는 블록 요소인 div 요소를 대신한다.
- header
- nav
- article
- section
- aside
- footer
- 멀티미디어 요소 - 플러그인 없이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 audio - 오디오를 재생한다.
- video - 비디오를 재생한다.
- canvas
- command
- datalist
- details
- embed
- figure
- figcaption
- 구조적인 요소 - 구역을 나누는 블록 요소인 div 요소를 대신한다.
- 요소 의미 변경
- em
- hr
- 문서 선언 -
<!DOCTYPE html>
으로 간소화 되었다.(대소문자 구별 안함) - 요소 제거
- 비슷한 기능의 다른 태그로 대체 가능한 태그들 - acronym, applet, dir, isindex
- 디자인적인 기능 이상의 의미가 없어 삭제 (CSS로 대체 가능한 태그들) - basefont, big, center, font, strike, tt
-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사용을 지양하는 태그들 - frame, frameset, noframes
일정 및 역사
- 2007년 5월 HTML5와 Web Forums 2.0 스펙 채택 - 리뷰 기반으로
- 2007년 11월 HTML5 디자인 원칙 작업 초안
- 2010년 1월 HTML5 Last Call 작업 초안
- 2010년 8월 HTML5 Working Draft 공개
수정된 HTML 5.0 개발 일정
- CR(Candidate Recommendation): 2012년 4분기
- LCf: 2014년 3분기
- PR(Proposed Recommendation): 2014년 4분기
- Rec(Recommendation): 2014년 4분기
HTML5.1 개발 일정
- FPWD(First Publication Working DrafT): 2012년 4분기
- LC(Working Draft Last Call): 2014년 3분기
- CR(Candidate Recommendation): 2015년 1분기
- Rec(Recommendation): 2016년 4분기
브라우저 지원 현황
브라우저 | Ver | HTML5 검사 점수[1] 2012년 1월 6일 |
Ver | HTML5 검사 점수 2012년 5월 23일[2] |
Ver | HTML5 검사 점수(500) 2012년 12월 11일[3] |
Ver | HTML5 검사 점수(500) 2013년 4월 7일[4] |
Ver | HTML5 검사 점수(500) 2013년 8월 16일[5] |
---|---|---|---|---|---|---|---|---|---|---|
크롬 | 16.0 | 373/475 | 18 | 400 | 23 | 448 | 28(dev) | 468 | 28 | 463 |
파이어폭스 | 10.0 | 332/475 | 12 | 345 | 16 | 372 | 20 | 394 | 22 | 410 |
오페라 | 11.60 | 329/475 | 11.60 | 338 | - | - | - | - | 15 | 423 |
오페라 | 12 알파 | 344/475 | 12.00 | 385 | 12.10 | 419 | - | - | - | - |
애플 사파리 | 5.1 | 302/475 | 5.1 | 317 | 6.0 | 378 | - | - | 6.0 | 378 |
인터넷 익스플로러 | 9 | 141/475 | 9 | 138 | - | - | - | - | - | - |
인터넷 익스플로러 | 10 | 306/475 | 10 | 316 | 10 | 320 | - | - | 10 | 320 |
맥스톤 | - | - | 3.3.7 | 437 | 3.4.5 | 457 | - | - | 4.0 | 476 |
iOS | - | - | - | - | - | - | - | - | 7.0 | 404 |
크롬 (모바일) | - | - | - | - | - | - | - | - | 25 | 417 |
블랙베리 (모바일) | - | - | - | - | - | - | - | - | 10.1 | 485 |
킨들 실크 | - | - | - | - | - | - | - | - | 2.2 | 358 |
삼성 스마트 티비 | - | - | - | - | - | - | - | - | 2012 | 302 |
샤프 아쿠오스 | - | - | - | - | - | - | - | - | 6.0.10 | 365 |
HTML5 기반 암호화 표준화 진행
모질라 한국커뮤니티는 웹 표준 기반 HTML5 암호화 및 대한민국의 공인 인증서 등에 사용 가능한 W3C 웹 크립토그래피 API를 제안하였다.[6][7][8] 2014년 버전 이후로 W3C는 공식적으로 웹크립토그래피를 지원한다.[9][10]
같이 보기
- (영어) HTML5에서의 ogg 포맷
- (영어) HTML5 레이아웃 엔진의 비교
- HTML5 비디오
- HTML
- XHTML
- CSS3
- SVG
각주
- ↑ (영어)“웹 브라우저의 HTML5 지원 검사 결과”.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 l5test.com 5월 23일 확인
- ↑ l5test.com 12월 11일 확인
- ↑ l5test.com 4월 7일 확인
- ↑ l5test.com 8월 16일 확인
- ↑ 임, 민철 (2012년 3월 23일). “ZDNet코리아”. 《[단독]"액티브X 없이 공인인증서 쓴다.》.
- ↑ W3.org 공식 웹크립토그래피
- ↑ https://www.w3.org/2011/11/webcryptography-charter.html
- ↑ W3C
- ↑ “W3C”. 2018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HTML5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WHAT Working Group
- W3C HTML Working Group 보관됨 2011-02-28 - 웨이백 머신
- WHATWG 편집자 초안
- W3C 편집자 초안
- HTML4와 차이점
- (영어) How HTML5 will change the Web (HTML5는 웹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 (영어) HTML5 호환성 점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