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루다
보이기
마지막 의견: 3년 전 (양념파닭님) - 주제: 제목 변경
![]() |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2020-10-07 문서 보호
문서 훼손과 관련하여 1개월간 준보호합니다.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20년 10월 -- 메이 (토론) 2020년 10월 7일 (수) 22:06 (KST)
제목 변경
![]() | 이 문단에 여러 사용자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이 틀이 붙은 문서는 자동으로 의견 요청 목록에 들어갑니다. 토론이 끝나면 이 틀을 제거해 주세요. |
현재 동음이의 문서를 봤을 때, 본 가수가 다른 것들에 비해 저명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판단됩니다. 따라서 본 문서를 메인 표제어로 이동하는 것이 타당하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21:26 (KST)
동의 ――사도바울 (💬✍🧾) 2021년 9월 28일 (화) 08:29 (KST)
동의합니다. 본명인 '이루다'까지 합쳐도 이 문서가 훨씬 인지도가 높네요. Reiro (토론) 2021년 9월 28일 (화) 13:43 (KST)
반대 대한민국의 연예인 팬 그룹 내에서는 압도적일 수도 있겠지만 전세계 인명으로 보면 미국의 힙합 가수이자 영화배우인 루다크리스(루다)나 파리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아동문학과 영화문학의 대가 루다보다도 지명으로 보자면 이탈리아의 코무네 루다보다도 결코 압도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21 (KST)
- 언급한 인물의 경우 활동명이 '루다' 두글자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51 (KST)
-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영어에서 크리스토퍼가 크리스로 불리듯 루다크리스도 루다로 불립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0 (KST)
- 그 검색 생활화 하자는건 제가 귀하께 드리고 싶은 말이네요. 당장 "루다" 검색하면 우주소녀 루다가 압도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등재도 안된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부른다고 표제어 이동에 반대하는 것은 근거가 너무 빈약하죠.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2 (KST)
- 링크를 클릭하니 상단에 항상 뜨는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제외하면 식도암 치료제 키트루다와 얼마 전 크게 이슈가 된 AI 이루다가 첫페이지에 뜨네요. 그리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가 얼마나 많은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게 빈약하다는 건 너무 나간 발언이 아닐까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0 (KST)
- 약간 오해가 있군요. 제 의견의 본 의도는 언급한 외국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불리든 말든 한국어권에서는 우주소녀 루다가 인지도가 높단 말입니다. 이미 검색어가 증명해주고 있는데요. 그리고 AI는 루다가 아니라 이루다입니다. 심지어 AI도 2페이지에서 한 건 등장하고 그 외에 9할 가량은 우주소녀 루다를 가르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2 (KST)
- 하나 더 오해를 하신 거 모양인데 루다크리스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습니다. 걸어드린 링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상들을 수상 받거나 수상 후보에 오른 내역들입니다. 그 부분만 봐도 이 문서의 루다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할 수 없을 겁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인물이나 지명을 걸어드렸는데 확인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7 (KST)
- 위 인물이 수상 후보인 점과 '루다'라고 불리는 케이스가 뭐가 더 많냐는 연관 없습니다. 억지 주장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8 (KST)
- 억지 주장이라... 억지 주장이라고 하는 것을 자제해주셔야 하지 않을까요. 상당히 불쾌하네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0 (KST)
- 또한 일개 방송사의 신인상 후보보다 미국 배우 조합상 캐스트상 수상자가 더 저명한 건 명백한 사실입니다. 이것을 억지 주장으로 몰아가며까지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킬 연유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52 (KST)
- 위 인물이 수상 후보인 점과 '루다'라고 불리는 케이스가 뭐가 더 많냐는 연관 없습니다. 억지 주장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8 (KST)
- 하나 더 오해를 하신 거 모양인데 루다크리스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습니다. 걸어드린 링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상들을 수상 받거나 수상 후보에 오른 내역들입니다. 그 부분만 봐도 이 문서의 루다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할 수 없을 겁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인물이나 지명을 걸어드렸는데 확인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7 (KST)
- 고작 한두건 가수 외에 다른 정보가 뜬다고(심지어 루다도 아니고 이루다, 키트루다 등) 그 것을 근거로 반대 의견을 주장하는 것은 억지로 보여지며, 이미 그 부분에 대해서는 반박을 한 바, 같은 의견으로 반복적인 의견 개진에는 불필요한 소모전 발생이 농후하니 대응하진 않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4 (KST)
- 그리고 추가적으로 토론 중에 이러한 편집은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9 (KST)
- [1]에 대한 반박.[2]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2 (KST)
- 심지어 루다도 아니고라고 하기에는 이 문서의 가수의 이름도 이루다인데요? 다른 사람의 주장을 억지라거나 불필요한 소모전이라거나 하는 건 발언이 지나치다고 판단합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9 (KST)
- 피곤하군요... 대체 문서명과 활동명이 '루다'인 부분인데 왜 갑자기 본명 '이루다'가 나오나요? 지금 논제 자체가 '루다' 이 두글자로 불리는 경우가 누가 제일 많은 지에 대해서 토론 중인 건데요. 계속 논제에 벗어나는 주장을 억지 말고는 뭐라 표현해야 할까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1 (KST)
- 찾아보지도 않고 논점 이탈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논점 이탈 아닌가요? 바로 위에 링크 걸어드렸듯이 분명 존재하는데 검색도 안 해보고 없다고 되돌려 버리는 게 합당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3 (KST)
- 오래간만에 들어와서 의견을 개진했다가 첫날부터 억지 주장, 피곤하다 등 비방 및 대놓고 얕잡아 보는 말을 수차례 들으니 여태 오지 않은 데에는 이유가 있다는 걸 새삼 깨닫습니다. 사람을 사람으로 존중하지 않고 싸울 상대로 보는 공간은 정말 언제 봐도 피곤하고 감당이 안 되네요. 가리키다와 가르치다도 구분하지 못하고 비방만을 일삼는 사람과 토론하는 게 의미가 없다는 생각도 들고 해서 오자마자 그만두려고 합니다. 언젠가 다시 오고 싶거든 이 계정을 보면 되겠죠.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18 (KST)
- 오늘 첫 기여인 사용자가 오랜만에 왔다라…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24 (KST)
- 그리고 저 의견에서는 ‘가리키다’가 맞겠습니다. 그럼 이만.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24 (KST)
- 위에 가르킵니다라고 쓴 사람과는 다른 분인 듯 싶은데 대답할 의무는 없는 거 같네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26 (KST)
- 어이쿠 새벽이라 피곤해서 그런지 헷갈렸네요. 근데 귀찮으니까 수정은 안할게요. 웬만한 사람들은 저 정도 ㅣ를 ㅡ로 쓴 정도의 오류는 걍 그러려니 하거든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31 (KST)
- 위에 가르킵니다라고 쓴 사람과는 다른 분인 듯 싶은데 대답할 의무는 없는 거 같네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2:26 (KST)
- 피곤하군요... 대체 문서명과 활동명이 '루다'인 부분인데 왜 갑자기 본명 '이루다'가 나오나요? 지금 논제 자체가 '루다' 이 두글자로 불리는 경우가 누가 제일 많은 지에 대해서 토론 중인 건데요. 계속 논제에 벗어나는 주장을 억지 말고는 뭐라 표현해야 할까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1 (KST)
- 그리고 추가적으로 토론 중에 이러한 편집은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9 (KST)
- 약간 오해가 있군요. 제 의견의 본 의도는 언급한 외국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불리든 말든 한국어권에서는 우주소녀 루다가 인지도가 높단 말입니다. 이미 검색어가 증명해주고 있는데요. 그리고 AI는 루다가 아니라 이루다입니다. 심지어 AI도 2페이지에서 한 건 등장하고 그 외에 9할 가량은 우주소녀 루다를 가르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2 (KST)
- 링크를 클릭하니 상단에 항상 뜨는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제외하면 식도암 치료제 키트루다와 얼마 전 크게 이슈가 된 AI 이루다가 첫페이지에 뜨네요. 그리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가 얼마나 많은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게 빈약하다는 건 너무 나간 발언이 아닐까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0 (KST)
- 그 검색 생활화 하자는건 제가 귀하께 드리고 싶은 말이네요. 당장 "루다" 검색하면 우주소녀 루다가 압도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등재도 안된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부른다고 표제어 이동에 반대하는 것은 근거가 너무 빈약하죠.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2 (KST)
-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영어에서 크리스토퍼가 크리스로 불리듯 루다크리스도 루다로 불립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0 (KST)
- 언급한 인물의 경우 활동명이 '루다' 두글자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51 (KST)
동의 기껏해야 '정말 맞는 사례'는 이곳에 문서가 없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밖에 없는 것 같은데, 이 정도면 표제어를 바로 이동해도 될 것 같습니다.--trainholic (T, C) 2021년 9월 29일 (수) 04:27 (KST)
반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연구 윤리와 산업 윤리에 대해 큰 족적을 남겼으며 가수 루다 만큼 사람들의 마음을 울린 이루다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팥맛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14:12 (KST)
- 오히려 이루다 사건은 일정 기간 동안 전국적인 이슈가 되었지만 가수의 경우 나라안에 열 몇개는 되는 가수 그룹중의 하나일 뿐입니다. 팥맛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14:16 (KST)
- AI 이루다는 '루다'라는 명칭보다 '이루다'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리며, 본 토론은 '이루다'가 아닌 '루다'에 관한 토론임을 재차 알려드립니다. 이미 위에서 타 사용자에 대해 반박한 내용이므로 같은 논리는 반복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17:46 (KST)
- 오히려 이루다 사건은 일정 기간 동안 전국적인 이슈가 되었지만 가수의 경우 나라안에 열 몇개는 되는 가수 그룹중의 하나일 뿐입니다. 팥맛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14:1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