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루다
보이기
마지막 의견: 3년 전 (양념파닭님) - 주제: 제목 변경
![]() |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2020-10-07 문서 보호
문서 훼손과 관련하여 1개월간 준보호합니다.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20년 10월 -- 메이 (토론) 2020년 10월 7일 (수) 22:06 (KST)
제목 변경
![]() | 이 문단에 여러 사용자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이 틀이 붙은 문서는 자동으로 의견 요청 목록에 들어갑니다. 토론이 끝나면 이 틀을 제거해 주세요. |
현재 동음이의 문서를 봤을 때, 본 가수가 다른 것들에 비해 저명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판단됩니다. 따라서 본 문서를 메인 표제어로 이동하는 것이 타당하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21:26 (KST)
동의 ――사도바울 (💬✍🧾) 2021년 9월 28일 (화) 08:29 (KST)
동의합니다. 본명인 '이루다'까지 합쳐도 이 문서가 훨씬 인지도가 높네요. Reiro (토론) 2021년 9월 28일 (화) 13:43 (KST)
반대 대한민국의 연예인 팬 그룹 내에서는 압도적일 수도 있겠지만 전세계 인명으로 보면 미국의 힙합 가수이자 영화배우인 루다크리스(루다)나 파리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아동문학과 영화문학의 대가 루다보다도 지명으로 보자면 이탈리아의 코무네 루다보다도 결코 압도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21 (KST)
- 언급한 인물의 경우 활동명이 '루다' 두글자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51 (KST)
-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영어에서 크리스토퍼가 크리스로 불리듯 루다크리스도 루다로 불립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0 (KST)
- 그 검색 생활화 하자는건 제가 귀하께 드리고 싶은 말이네요. 당장 "루다" 검색하면 우주소녀 루다가 압도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등재도 안된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부른다고 표제어 이동에 반대하는 것은 근거가 너무 빈약하죠.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2 (KST)
- 링크를 클릭하니 상단에 항상 뜨는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제외하면 식도암 치료제 키트루다와 얼마 전 크게 이슈가 된 AI 이루다가 첫페이지에 뜨네요. 그리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가 얼마나 많은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게 빈약하다는 건 너무 나간 발언이 아닐까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0 (KST)
- 약간 오해가 있군요. 제 의견의 본 의도는 언급한 외국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불리든 말든 한국어권에서는 우주소녀 루다가 인지도가 높단 말입니다. 이미 검색어가 증명해주고 있는데요. 그리고 AI는 루다가 아니라 이루다입니다. 심지어 AI도 2페이지에서 한 건 등장하고 그 외에 9할 가량은 우주소녀 루다를 가르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2 (KST)
- 하나 더 오해를 하신 거 모양인데 루다크리스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습니다. 걸어드린 링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상들을 수상 받거나 수상 후보에 오른 내역들입니다. 그 부분만 봐도 이 문서의 루다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할 수 없을 겁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인물이나 지명을 걸어드렸는데 확인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7 (KST)
- 위 인물이 수상 후보인 점과 '루다'라고 불리는 케이스가 뭐가 더 많냐는 연관 없습니다. 억지 주장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8 (KST)
- 억지 주장이라... 억지 주장이라고 하는 것을 자제해주셔야 하지 않을까요. 상당히 불쾌하네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0 (KST)
- 위 인물이 수상 후보인 점과 '루다'라고 불리는 케이스가 뭐가 더 많냐는 연관 없습니다. 억지 주장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8 (KST)
- 하나 더 오해를 하신 거 모양인데 루다크리스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습니다. 걸어드린 링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상들을 수상 받거나 수상 후보에 오른 내역들입니다. 그 부분만 봐도 이 문서의 루다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할 수 없을 겁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인물이나 지명을 걸어드렸는데 확인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7 (KST)
- 고작 한두건 가수 외에 다른 정보가 뜬다고(심지어 루다도 아니고 이루다, 키트루다 등) 그 것을 근거로 반대 의견을 주장하는 것은 억지로 보여지며, 이미 그 부분에 대해서는 반박을 한 바, 같은 의견으로 반복적인 의견 개진에는 불필요한 소모전 발생이 농후하니 대응하진 않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4 (KST)
- 그리고 추가적으로 토론 중에 이러한 편집은 자제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9 (KST)
- 심지어 루다도 아니고라고 하기에는 이 문서의 가수의 이름도 이루다인데요? 다른 사람의 주장을 억지라거나 불필요한 소모전이라거나 하는 건 발언이 지나치다고 판단합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9 (KST)
- 피곤하군요... 대체 문서명과 활동명이 '루다'인 부분인데 왜 갑자기 본명 '이루다'가 나오나요? 지금 논제 자체가 '루다' 이 두글자로 불리는 케이스가 우주소녀 루다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계속 논제에 벗어나는 주장을 억지 말고는 뭐라 표현해야 할까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41 (KST)
- 약간 오해가 있군요. 제 의견의 본 의도는 언급한 외국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불리든 말든 한국어권에서는 우주소녀 루다가 인지도가 높단 말입니다. 이미 검색어가 증명해주고 있는데요. 그리고 AI는 루다가 아니라 이루다입니다. 심지어 AI도 2페이지에서 한 건 등장하고 그 외에 9할 가량은 우주소녀 루다를 가르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2 (KST)
- 링크를 클릭하니 상단에 항상 뜨는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제외하면 식도암 치료제 키트루다와 얼마 전 크게 이슈가 된 AI 이루다가 첫페이지에 뜨네요. 그리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가 얼마나 많은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게 빈약하다는 건 너무 나간 발언이 아닐까요.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30 (KST)
- 그 검색 생활화 하자는건 제가 귀하께 드리고 싶은 말이네요. 당장 "루다" 검색하면 우주소녀 루다가 압도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등재도 안된 영화배우가 줄여서 루다라고 부른다고 표제어 이동에 반대하는 것은 근거가 너무 빈약하죠.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2 (KST)
-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영어에서 크리스토퍼가 크리스로 불리듯 루다크리스도 루다로 불립니다. Chamyeo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1:20 (KST)
- 언급한 인물의 경우 활동명이 '루다' 두글자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00:5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