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쇄재자갈선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웬디러비님) - 주제: 등재 기준 입증


등재 기준 입증

여러 부분에서 언급되는 만큼 토막글이라고 해도 등재해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5월 13일 (수) 11:41 (KST)답변

질문 혹시 관련 항목에 대한 기존의 등재기준이 어떻게 되나요?――사도바울||X 2020년 5월 14일 (목) 00:37 (KST)답변
프:철도/성립에는 개통되지 않은 것에 대한 자세한 성립 기준만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노선은 개통된 노선이므로 등재해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08:45 (KST)답변

이 사항이 과연 의견 요청에 적절한지 의문이 듭니다. 질문방에 질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해 보입니다. Motoko C. K.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0:37 (KST)답변

그러ㅓㄴ가요?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0:46 (KST)답변
@Gomdoli4696: 반대 해당 글은 정선선의 하위 문단으로 서술되면 될 문서입니다. 굳이 별도로 독립해서 만들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Yelena Belova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1:29 (KST)답변
제가 처음 가입했을 때의 목적이 쇄재자갈선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였습니다... 계속 출처와 자료를 찾아 보강한 것입니다.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1:31 (KST)답변
가입했을 때의 목적과 문서 등재 기준은 상관이 없는 것 아닌가요? -- Yelena Belova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1:34 (KST)답변
당장 구글에만 검색해도 178개 밖에 검색 결과가 안 뜨고, 더 중요한 것은 그 중 "쇄재자갈선을 별도로 다룬 것"은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해당 선이 별도로 독립되어서 만들어야 할 이유를 위키백과의 지침이나 문서 기준에 맞게 설명해주세요. 본인의 희망사항 말고요. -- Yelena Belova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1:36 (KST)답변
어떤 문서를 등재해도 되나요? 하는 질문에 의견 요청이 적절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차라리 프:철도/성립에서 별도의 등재기준 추가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여시고 거기에서 의견 요청 해주시면 더욱 값진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사도바울||X 2020년 5월 14일 (목) 14:19 (KST)답변
근데 지금 찾아보니까 2차출처가 없는 듯하네요.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백과사전에 별도의 문서로 등재하기란 어렵습니다. 해당 지방의 공문서 등 1차사료를 찾아보시면 다른 분들을 설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사도바울||X 2020년 5월 14일 (목) 14:30 (KST)답변

블로그 글이나 카페 글이 그리 믿을만한 출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많이 들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카페 글처럼 쇄재자갈선만을 전문적으로 다룬 글이나, (확인해보니 카페 회원만 열람 가능하더군요. 참고해주세요) 아무튼 그런 글은 꽤 됩니다.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6:40 (KST)답변

그런 건 위키백과 문서 등재 기준과는 거리가 먼 자료이지요. 제 생각에는 본인이 등재하고 싶은 문서가 등재에 대해 반대가 이루어지니 해당 글을 다시는 것 같은데, 앞서 말씀하셨듯 신뢰할 수 있는 출처나 전문적인 자료를 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안 그러면 당연히 문서는 삭제, 병합 등 다른 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습니다. -- Yelena Belova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7:44 (KST)답변
참고로 다른 위키나 해당 쇄재자갈선은 신평역과 연관지어 신평역의 하위 문단으로 다루거나, 아니면 본선인 정선선과 연계지어 서술되거나, 아니면 쇄재터널이라는 터널과 연결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문서가 별도로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평역이나 정선선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서술이 될만큼 등재 조건이 충분한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현재 코레일에서 쇄재자갈선을 별도로 검색하면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해당 노선이 위치한 정선군청에서 검색해도 마찬가지이고요. 쇄재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고개가 나오기는 합니다만, 그것 역시 쇄재터널, 또는 등산객들의 등산 코스와 연계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갈선이라는 명칭도 단순히 "도상자갈의 채집, 적재, 수송을 위하여 정차장 또는 본선에서 분기되어 도상자갈의 채석장까지 연장한 선로"를 의미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지선이라 볼 지에 대해서도 의문입니다. 애당초 쇄재자갈선이라는 노선 자체가 정식 명칭이 아니며, 지선으로 볼 지에 대해서도 불투명하므로 노선 자체의 표기 및 서술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 Yelena Belova (토론) 2020년 5월 14일 (목) 17:4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