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해군 (행정 구역)
보이기
임해군(臨海郡)은 257년(태평 2년) 손오에서 회계군에서 분리신설한 행정구역이다.
동오
257년 회계군 중동부 3개현을 관할했던 회계서부도위를 군으로 분리하면서 신설되었다.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장안현 | 章安縣 | 타이저우 시 자오장 구 장안가도 | 후한대에 회포현에서 장안현으로 개명되었다. |
| 영녕현 | 永寧縣 | 원저우 시 루청 구 | 본래 장안현 동구향(東甌鄕)이었는데 138년(영화 3년)에 현으로 승격했다. |
| 송양현 | 松陽縣 | 리수이 시 쑹양 현 서북 고시진(古市镇)부근 | 203년(건안 8년)에 신설되었다. |
| 남시평현 | 南始平縣 | 타이저우 시 톈타이 현 | 손오 대에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으며 257년 임해군신설시기 임해군의 영현이 되었다. |
| 임해현 | 臨海縣 | 타이저우 시 린하이 시 | 손오 대에 장안현과 영녕현에서 분리신설되었으며 257년 임해군신설시기 임해군의 영현이 되었다. |
| 나양현 | 羅陽縣 | 원저우 시 뤼안 시 | 손오 대에 영녕현에서 분리신설되었으며 257년 임해군신설시기 임해군의 영현이 되었다. |
서진
총 8현 1만8천호를 관할하였다.[1]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장안현 | 章安縣 | 변화없음 | |
| 임해현 | 臨海縣 | ||
| 시풍현 | 始豐縣 | 280년(태강 원년)에 남시평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2] | |
| 영녕현 | 永寧縣 | ||
| 영해현 | 寗海縣 | 닝보 시 닝하이 현 | 280년에 은현과 임해현의 중간지역에서 신설했다. |
| 송양현 | 松陽縣 | 변화없음 | |
| 안고현 | 安固縣 | 나양현에서 개명되었다. | |
| 횡양현 | 橫陽縣 | 원저우 시 핑양 현 | 283년(태강 4년) 신설되었다. |
동진
영가의 난으로 수많은 화북인들이 강남으로 이주했는데, 이때 많은 화북인들이 임해군에 정착했다. 때문에 군의 인구가 증가하자 군의 남부지역을 영가군으로 분리했다. 이로인해 군역이 지금의 타이저우 시 일대로 축소되었다.
| 분리이전 | 분리이후 | ||
|---|---|---|---|
| 임해군 | 장안현, 임해현, 시풍현, 영녕현, 영해현, 송양현, 안고현, 횡양현 | 임해군 | 장안현, 임해현, 시풍현, 영해현 |
| 영가군 | 영녕현, 송양현, 안고현, 횡양현 | ||
| 현명 | 한자 | 비고 |
|---|---|---|
| 장안현 | 章安縣 | |
| 임해현 | 臨海縣 | |
| 시풍현 | 始豐縣 | |
| 영해현 | 寗海縣 | |
| 낙안현 | 樂安縣 | 강제시기 시풍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지금의 타이저우 시 셴쥐 현지역이다.[2] |
유송
양주에 속했다. 5현 3,961호 24,226명을 거느렸다.[2]
| 현명 | 한자 | 작위 종류 | 비고 |
|---|---|---|---|
| 장안현 | 章安縣 | 현령(縣令) | |
| 임해현 | 臨海縣 | ||
| 시풍현 | 始豐縣 | ||
| 영해현 | 寗海縣 | ||
| 낙안현 | 樂安縣 |
남제
속현은 유송대와 같다.[3]
수
영가군에 통폐합되어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