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팔정도 (물리학)
새 주제![]() |
이 문서는 물리학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물리학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품질이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높음 | 이 문서는 프로젝트 내에서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표기에 대하여
[편집]관련 내용을 사용자토론:777sms에서 간추렸습니다. 내용은 문서 제목을 팔중도 → 팔정도 (물리학)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토론의 일부입니다. Osteologia (토론) 2015년 10월 28일 (수) 07:52 (KST)
입자물리학의 "eightfold way"는 머리 겔만이 불교의 팔정도(八正道) 혹은 팔성도(八聖道)를 따서 지은 말입니다. "팔정도" 및 "팔성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돼 있지만, "팔중도"는 수록돼 있지 않습니다. "팔중도"는 제가 아는 바 불교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eightfold way"는 대한물리학회 물리용어조정안에 수록돼 있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에서 이미 "팔정도"를 쓰고 있고, 인터넷 검색에도 "팔정도"가 가장 많이 나오므로, "팔정도"로 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팔중도"(八重道)는 중국어와 광둥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어원을 무시하고 "eightfold"를 "8배"로 직역한 결과인 것 같습니다. 불교 용어인 "팔정도"는 "8가지의 바른 길"이므로, 불교적인 어원과 맞지 않습니다. 물론 팔정도는 8중항 [octet]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러나 영어 용어로는 "octet"과 "eightfold"는 어원상 관계가 없습니다. "octet"은 원래 이탈리아어 (ottetto)에서 8종의 악기로 연주하는 곡(팔중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관현악 사중주"와 같습니다. 이 의미로는 중(重) 자가 적절합니다. 그러나 "eightfold way"는 그런 어원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7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팔정도 (물리학)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40728201002/http://www.hep.princeton.edu/~mcdonald//examples/EP/neeman_np_26_222_61.pdf 보존 링크를 http://www.hep.princeton.edu/~mcdonald//examples/EP/neeman_np_26_222_61.pdf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7월 22일 (월) 04:0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