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유머저장소
문서 서술 관련
계속 편집분쟁 벌어지는데 제가 의견 내봅니다. - by GNWN #Talk #Contribution 2018년 12월 29일 (토) 22:14 (KST)
- '페이스북의 반문 성향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페이지 중 하나이다.' → '페이스북의 우파(또는 보수) 성향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페이지 중 하나이다.'로 변경하는 게 타당하다 판단됩니다.
→ 보통 정치 관련 성향을 이야기할 때는 '친노' '친문' '친박' '친이'처럼 누군가에게 우호적인 세력으로 구분하거나 '보수/우파' '진보/좌파' 등으로 이야기하는 게 통상적이며, '비문' '비노' '비박' 등은 쓰여도 '반문' '반노' '반이' '반박' 등은 실체가 불분명해 많이 쓰이지 않는 표현입니다. 뉴스 등에서 간혹 '반문연대' 등 '반문'이 쓰이긴 하지만, 그 세력의 실체나 범위가 불분명합니다. 현재 뉴스 또는 네티즌들로부터 소위 '반문'으로 거론되는 사람들을 보면, 자유한국당은 물론 친유승민계/친안철수계 등 바른미래당 쪽도 있고, 범여권(민주/평화/정의) 정치인들 중에서도 이재명 등 경우에 따라 반문으로 분류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이질적인 세력들을 한꺼번에 반문으로 묶는 건 힘든 일입니다.
- "'불에 타죽은 사람보다 아이스크림이 안타까웠다.'는 언급이나 자신을 지적한 네티즌을 '니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라는 서술은 삭제하는 게 타당하다 판단됩니다.
→ 개인의 유머저장소에 대한 적개심이 은연중에 반영된 서술이며, 출처 없는 독자연구에 가깝습니다. "'니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부분에 대해 반성하고 사과해야 한다"는 가치판단을 전제로 깔고 말하고 있는 부분으로 보입니다.
- 우선 토론 환영합니다. 중재를 위해 토론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y 210.120.68.114 #Talk #Contribution 2018년 12월 30일 (일) 12:11 (KST)
1. '윾튜브로도 잘 알려져있는'
이 부분은 기존 서술에서 해당 페이지를 읽는 사람들이 윾튜브와 유머저장소가 동일인임을 알 수 있게 하는 부분이 없었기 때문에, 추가한 서술입니다. 윾튜브도 2018년 12월 29일 현재 50만에 가까운 사람이 구독하고 있고, 일부 언론에서는 윾튜브로 언급하고 있으니, 해당 내용의 첨부가 필요했다고 생각했으나, 편집 능력의 미숙으로 해당 문구를 삽입했습니다. \
그러나 윾튜브로 검색시에 '윾튜브'로 검색시 (윾튜브에서 넘어옴)이라는 문구가 등장하고, '윾튜브라는 유튜브 채널도 함께 운영 중이며'라는 문구가 있으므로, 굳이 넣을필요 없이 해당 문구 삭제에 합의합니다.
2. 페이스북 유머 페이지 vs. 페이스북 페이지 전자는 가치 서술이고, 후자는 사실 서술입니다. 이 부분은 동의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유머'라는 명칭은 모든 이들이 보고 웃을 수 있어야 하지만, '논란' 문구에도 나오고 SBS 뉴스에서도 비판적으로 다룬 만큼 '유머'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삭제해야 한다고 봅니다.
3. 페이스북의 반문 성향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페이지 논란이 있으리라 생각하고, 이미 자세히 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보수vs.진보', '좌파vs.우파' 실제로 널리 쓰임에도 그 쓰임이 정확하지 않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더구나 아시다시피 보수, 우파라고 하는 표현은 대한민국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더더욱 범야계열과 범여계열이 정책적으로도 혼란스러운 부분을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정치 분야와 경제 분야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하게 들어가면 여기가 보수 및 우파의 가치에 대한 토론이 될 수 있으므로 해당 내용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지양하겠습니다.
페이스북 유머저장소를 선호하는 유저의 공통점을 우파(또는 보수)로 봐주기엔 무리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보수의 가치라고 하는 것이 민주주의라는 측면에서는 현 여권이 보수주의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고, 우파의 가치라고 하는 표현도 '유머저장소 페이지 선호자'들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현 정권 역시 우파의 가치가 있으며, 반대로 유머저장소 본인이 선호하고 그 선호자들이 지지하는 개인주의 성향은 좌파적인 가치로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들 모두를 아우르는 반문이라고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중재안을 냅니다만, 사실 '유머저장소 페이지 선호자'들의 성향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해당 내용은 유머저장소 페이지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보는 사람들이 충분히 진영논리에 대한 선입관 없이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해당 문구의 삭제 후 아래와 같은 문구로 변경하는 것으로 합의함이 어떻겠습니까?
유머저장소에는 주로 인터넷 상에서 화제가 되는 이슈에 대한 게시물들이 올라오고 있다.
('그냥 정치적인 이야기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는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되겠죠. 나머지는 독자의 판단에 맡기는 것입니다.)
4. 윾튜브가 짧은 기간에 급성장을 하면서 윾튜브처럼 가면을 쓰고 만담을 하는 포맷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3가지 토론거리가 있습니다.
- 짧은 시간에 급성장했다는 기준이 애매합니다.
- 윾튜브가 급성장했기 때문에(인) 가면을 쓰고 만담을 하는 포맷이 유행하기도 했다.(과)
이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충분히 입증되지 않습니다.
- 가면을 쓰고 만담을 하는 포맷이 유행하기도 했다.
2018년말 현재에 가면을 쓰고 만담을 하는 포맷이 유행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과연 이것을 입증할만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삭제가 옳다고 봅니다.
5. 논란 부분 존치 여부 우선 논란이 된다는 것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윾튜브 본인이 논란이 된다고 인정했기 때문에 '저는 고인드립 가해자입니다. 꼭 한 번만 제 이야기를 들어주세요.'라는 영상을 올렸기 때문이죠.
혹시나 해당 부분에 대한 반달이 이루어질까봐 미리 언급합니다.
6. 논란 내용에서 토론거리1 : 게임 캐릭터에 비유해 조롱하였고, 조롱한 사람보다 녹은 아이스크림이 더 안타깝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해당 내용 SBS 뉴스 원문 : '유머저장소'의 관리자로 추정되는 글쓴이는 영상이 삭제된 뒤에도 사망자의 사진을 올리면서 "댓글 10만 개가 넘는 핫플레이스(진짜 뜨거울 듯)였는데 삭제당했다. 아무래도 잔인한 영상이라 그런 것 같다. 하지만 인생은 원래 잔인하다"라고 글을 썼습니다. 글쓴이가 이어진 글에서 심지어 숨진 사람을 게임이나 영화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으로 지칭하며 조롱하기도 했습니다.
글쓴이는 "합성한 것처럼 뜨겁게 불타는 편의점에서 기어 나오는 브랜드갑"이라며 게임에 나오는 사진을 올렸습니다.'브랜드'라는 이름은 게임의 등장인물로 항상 불에 타고 있으며 불과 관련된 기술을 쓰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https://img.sbs.co.kr/newimg/news/20171124/201118103_1280.jpg <- 해당캡쳐본
'브랜드'라는 이름은 게임의 등장인물로 항상 불에 타고 있으며 불과 관련된 기술을 쓰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글쓴이는 심지어 댓글에 "(이번 사건에서) 제일 안타까운 것은 편의점 안에 아이스크림 녹은 것이다"라고 적혀있는 사진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https://img.sbs.co.kr/newimg/news/20171124/201118103_1280.jpg <-해당캡쳐본
출처 : SBS 뉴스
해당 내용은 가치가 개입되지 않은 사실입니다. 선입관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사실입니다. 선입관이 들어간 가치 서술이었다면 '패륜적'이니 하는 단어가 붙거나, '윾튜브는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이런 식으로 이야기했겠죠. 그냥 사실만 언급한 것이고 판단은 읽는 사람의 몫입니다.
또한 SBS 뉴스에서 유머저장소(윾튜브)를 비판했던 부분 중 한 부분이고, 뉴스에서 지적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7. 논란 내용에서 토론거리2 :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00503&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해당 내용도 사실입니다.
한 누리꾼은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는데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나 글쓴이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며 벌레라는 뜻은 '충'자를 붙여 조롱했고 심지어 소아 성폭행범인 조두순을 언급하며 사망자와 비교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00503
해당 내용 역시 가치가 개입되지 않은 사실입니다. 선입관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그냥 사실 언급입니다.
유머저장소(윾튜브) 스스로도 SBS 뉴스를 언급했으니, SBS 뉴스에서 유머저장소(윾튜브)를 비판한 점에 대해서 사실대로 언급해주는 것이 해당 '논란' 문단의 존재 이유이기도 합니다.
8. 김윾머는 윾튜브 페이지를 통해, 제목에서 본인이 고인드립 가해자였음을 인정하였고 2018년 12월 14일 자신의 윾튜브 영상을 통해 방화 및 분신 협박으로 돈 5천만원을 뜯어내려던 범죄자를 조롱한 것 뿐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였으나,
해당 내용은 사실이고, 의의가 없을거라 생각하고, 저도 이 내용에는 합의하도록 하겠습니다.
9. '불에 타죽은 사람보다 아이스크림이 안타까웠다.'는 언급이나 자신을 지적한 네티즌을 '니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불에 타죽은 사람보다 아이스크림이 안타까웠다.'. '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내용은 #7, #8에서도 언급했듯이 SBS 뉴스에서 말한 '사실'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해당 문단은 두개의 문장으로 되어 있고, 해당 GNWN님의 지적의 내용을 받아들여 문단을 만들면 이렇게 됩니다.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 김윾머는 윾튜브 페이지를 통해, 제목에서 본인이 고인드립 가해자였음을 인정하였고 2018년 12월 14일 자신의 윾튜브 영상을 통해 방화 및 분신 협박으로 돈 5천만원을 뜯어내려던 범죄자를 조롱한 것 뿐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저는 위 문장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아래에 예시 문장을 보여드리죠.
A는 수박과 바나나, 딸기를 훔쳐서 원주인인 B가 비난했다. A는 수박은 다 상한 것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궁금해지시지 않습니까? 그럼 바나나와 딸기는?
그럼에도 7., 8.은 뉴스에서 언급한 핵심적인 비판 내용입니다. 이 내용을 오히려 축소하는 것이 '주관적'으로 보이고, 해당 파트가 '논란' 파트이고, 해당 내용의 핵심이 SBS 뉴스에서 비판되어야 하고 언급되어야 함에도 '면죄부 주자는 의견이 은연중에 반영된 서술'로 보입니다.
이러한 문단이 되기 때문에 해당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진행된 것입니다. '불에 타죽은 사람보다 아이스크림이 안타까웠다.'는 언급이나 자신을 지적한 네티즌을 '니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해당 문구는 '해명하지 않았다'도 아니고, 말씀하신 것처럼 '반성하고 사과하지 않았다'도 아닌 '언급하지 않았다.'입니다. 사실에 대해서는 보는 사람이 판단하면 되는 것입니다. 사실 논란 파트이기 때문에 그렇게 서술해도 무방하다고도 생각합니다.
위키 백과의 문단도 하나의 문단이고, 기본적으로 하나의 문단은 논리가 호응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논란' 파트이니, 논란이 될만한 사실을 언급하는 것이 '적개심이 은연중에 반영된 서술이며, 출처 없는 독자연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편집자의 '적개심' 존재 여부는 해당 토론에서 중요치 않습니다. 그렇게 되면 진영논리가 성립되어 선입관이 생긴다고 봅니다. 굳이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리면 윾튜브의 주장에 대해서는 동조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다만 해당 내용이 적개심이 은연중에 반영된 서술처럼 보일 수도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받아들이도록 하여, 해당 문장을 다음처럼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년 11월 유머저장소 페이지에 부산의 한 편의점에서 분신자살한 사람을 게임 캐릭터에 비유해 조롱하였고, 조롱한 사람보다 녹은 아이스크림이 더 안타깝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3] 김윾머는 윾튜브 페이지를 통해, 제목에서 본인이 고인드립 가해자였음을 인정하였고 2018년 12월 14일 자신의 윾튜브 영상을 통해 방화 및 분신 협박으로 돈 5천만원을 뜯어내려던 범죄자를 조롱한 것 뿐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고, 그밖의 다른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해당 문장으로 합의하심이 어떻겠습니까?
* 중재안 정리
1. '윾튜브로도 잘 알려져있는' 삭제 합의,
2. 정리 : 유머 삭제
3. 페이스북의 반문 성향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페이지
-> 해당 내용 삭제
4. 윾튜브가 짧은 기간에 급성장을 하면서 윾튜브처럼 가면을 쓰고 만담을 하는 포맷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 해당 내용 삭제
5. 논란 파트 존치 여부 -> '존치
6. 게임 캐릭터에 비유해 조롱하였고, 조롱한 사람보다 녹은 아이스크림이 더 안타깝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 존치
7. 논란 내용에서 토론거리2 :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 -> 존치
8. 존치
9. 2017년 11월 유머저장소 페이지에 부산의 한 편의점에서 분신자살한 사람을 게임 캐릭터에 비유해 조롱하였고, 조롱한 사람보다 녹은 아이스크림이 더 안타깝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3] 김윾머는 윾튜브 페이지를 통해, 제목에서 본인이 고인드립 가해자였음을 인정하였고 2018년 12월 14일 자신의 윾튜브 영상을 통해 방화 및 분신 협박으로 돈 5천만원을 뜯어내려던 범죄자를 조롱한 것 뿐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였으나, '불에 타죽은 사람보다 아이스크림이 안타까웠다.'는 언급이나 자신을 지적한 네티즌을 '니가족충'이나 '감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4]
->
2017년 11월 유머저장소 페이지에 부산의 한 편의점에서 분신자살한 사람을 게임 캐릭터에 비유해 조롱하였고, 조롱한 사람보다 녹은 아이스크림이 더 안타깝다는 게시물을 올렸다. 또한 '많은 팔로워를 가졌다면 언행을 삼가해 달라.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가족이 있을 수 있을 수 있는 말을 너무 심하게 한다'고 지적하는 네티즌에게는 "가족 있는 게 벼슬이냐?"며 누리꾼을 '감성충' '니가족충'이라고 비하한 사실이 SBS 뉴스에 언급되었다.[3] 김윾머는 윾튜브 페이지를 통해, 제목에서 본인이 고인드립 가해자였음을 인정하였고 2018년 12월 14일 자신의 윾튜브 영상을 통해 방화 및 분신 협박으로 돈 5천만원을 뜯어내려던 범죄자를 조롱한 것 뿐이라 자신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주장하고, 그밖의 다른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