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2C형 구축함
![]() DDG-170 란저우함 | |
개요 | |
---|---|
함종 | 구축함 |
함급명 | 란저우 |
운용자 | ![]() |
이전 함급 | 052B |
다음 함급 | 052D |
배치일 | DDG-170 란저우 DDG-171 하이커우 150/151/152/153 |
특징 | |
배수량 | 7,000 t[1] |
전장 | 154 m |
선폭 | 17 m |
흘수 | 6 m |
추진 | CODOG 57,000 shp |
속력 | 30노트 |
승조원 | 280명 |
무장 | 48 HQ-9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8 YJ-62 함대함/함대지 미사일 1 100mm dual purpose gun 2 30mm Type 730 CIWS 6 어뢰 발사관 4 x 18-tube decoy rocket launcher |
항공장비 | 카모프 Ka-27 또는 하얼빈 Z-9C ASW/SAR |

052C형 구축함(중국어: 052C型 驱逐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방공구축함으로 초도함의 이름을 따 란저우급 구축함(중국어: 兰州级 驱逐舰)이라고도 부른다. 나토에서는 루양 II급 구축함(Luyang II class)으로 명명되었다. 이지스 체계의 AN/SPY-1/D 레이더와 유사한 위상배열 레이더를 4면에 장착하고 있어 화제가 되었다.
구조/추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장비
전투정보체계
052C형은 제 704연구소에서 개발한 H/ZBJ-1 전투정보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약 100 Mbit/s의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CIWS와 위상배열레이더와 관련한 기술과 경험의 부족으로 체계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레이더/소나
052C형은 대공레이더로 난징의 제 14연구소에서 개발한 348형 다기능 능동위상배열레이더를 4면에 탑재하고 있다. 346형 레이더는 이지스체계의 AN/SPY-1A 레이더를 토대로 개발한 H/LJG-346형 SAPARS(Shipborne Active Phased Array Radar System) 레이더의 후계형이다. 레이더의 개발에 난항을 겪어 우크라이나의 크반트-라디오치카야사의 도움을 받았다. 이 레이더는 대공표적의 탐지 및 추적을 담당하며, 최대 탐지거리는 350Km이다.
수상탐색 및 대함미사일 표적획득용으로 러시아제 MR-331 미네랄-ME 레이더(나토 코드 : 밴드 스탠드)를 사용한다. 이 054A형 호위함에도 장비된 바 있다. 주포와 CIWS의 사격통제용으로 344형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으며, 대공탐색용으로 364형 레이더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전자전 체계
OFC 시스템(Optical Fire Control) OFC-3 전기 광학 시스템은, 상기 보충되는 IR-17 적외선 감시 장치 만을 적외선 시스템 옵트로닉스,와 같이 OFC-3 에있어서, 또한, 설치한 루저우급 구축함과 광저우급 구축함 . 적외선-17 시스템은 대개 3-D 공기 탐색 레이더 아래 전방 기둥에 설치하고,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센서 헤드, 오퍼레이터 콘솔 및 전원을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 전자 캐비넷. 에 비해 OFC-3 , 더 많은 정보에 출시 IR-17 을 포함 :
센서 헤드 무게 : <160kg 제어 콘솔 중량 : <390kg 전기 캐비닛 무게 : <300kg 센서 헤드의 크기 : 0.6 MX 0.9 MX 1.1 m 제어 콘솔의 크기 : 0.72 MX 1.05 MX 1.65 m 전기 캐비닛 크기 : 0.6 MX 0.7 MX 1.65 m 정확도 : 3 MRAD 바다 감추고에 대한 범위 대함 미사일 > 8km : 0.1 평방 미터 레이더 크로스 섹션 에 대한 범위 크루즈 미사일 :> 20km 3m2 레이더 단면과 항공기에 대한 범위 :> 30km
무장
미사일
HQ-9 미사일 48발을 탑재한다. 무게 1.3톤의 액티브 레이더 유도 추력편향 대공미사일로서, 러시아의 S-300 시리즈를 기술도입한 것이다. HQ-9의 사거리는 200 km라고 알려져 있으나, 러시아 S-300 시리즈에서 무게 1톤 정도의 대형 액티브 레이더 유도 추력편향 대공미사일은 40N6 미사일 뿐인데, 사거리가 400 km로 알려져 있다.
함포/CIWS
프랑스의 크루소-르와르사의 T100C 함포를 기반으로 개발한 100mm 210형 함포 1문을 선수에 탑재하고 있다.
중국 해군의 전투함 레이더 비교
(전투기 목표물 기준의 탐지거리)
중국 - 052D형 구축함(쿤밍급) 346식 레이다 350km, 5척
중국 - 란저우급 구축함(052C형) 346식 레이다 350km, 6척
중국 - 루저우급 구축함(051C형) 381식 레이더 100km, 364식 레이다 100km, 2척
중국 - 광저우급 구축함(052B형) 381식 레이더 100km, 2척
중국 - 지앙카이II급 호위함 382식 레이다 250km, 23척
중국 - 056형 호위함(장도우급) 364식 레이다 100km, 32척
국가별 위상배열 해상 레이다
일본 - FCS-3 450km 동시추적 표적 300개 (4면 총합쳐 1,200개)
일본 - OPS-24 300km~400km 동시추적 동시추적 표적 60개
영국 - SAMPSON 400km 동시추적 표적 500개
미국 - AN/SPY-1 450km~1000km 동시추적 표적 200개 (4면 총합쳐 800개)
중국 - 348식 레이다 300km
이스라엘 - EL/M-2248 250km
프랑스 - 헤라클레스 (레이다) 250km 동시추적 표적 500개
이탈리아 - EMPAR 180km 동시추적 표적 300개
네덜란드 - APAR 150km
네덜란드 - SMART-L 400km
일본 - OPS-12 120km
미국 - AN/SPY-3 320km
미국 - AN/SPY-6 2,000km
중국 - 382식 레이다 250km
중국 - 364식 레이다 100km
중국 - 381식 레이더 10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