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아주대학교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Ahun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1월 20일 (월) 20:12 판

글을 편집 취소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위키백과:질문방/2017년 11월#글을 편집 취소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에서 이동한 내용입니다.--Gcd822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08:34 (KST)답변


학생 활동 학생 자치기구[1]

학생회는 아주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으로 조직되며, 학생회 조직으로는 학생자치 활동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총학생회, 총여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단과대학 학생회 집행부로 구성된다. 총학생회는 학생들에 의하여 직접 선출된 총학생회장 및 부총학생회장을 중심으로 총학생회 운영을 총괄하고 집행기구로는 정책국, 사무감사국, 문화국, 집행위원회, 기획국, 학생복지위원회가 있다.

총학생회 정·부회장과 더불어 동아리연합회장 및 단과대 학생회장과 함께 구성되는 중앙운영위원회는 최고정책결정기구이다.

학생 언론사[2]

  • 학보사 : <아주대학보>는 아주대학교의 설립 다음 해인 1974년 5월 1일에 창간된 아주대학교 학보이다. 사실에 입각한 옳은 글을 쓰겠다는 정론직필과 실사구시의 정신 하나로 학교의 역사를 기록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교육방송국(AEBS) : 대학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데 기여하고 방송을 통하여 학술정보, 교내 소식의 신속한 보도 및 정서 교육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창의, 성실, 인화를 국훈으로 함께하고 있다. 아주대학교 교육방송국은 1974년 10월 3일 교내 써클인 방송반으로 발족, 운영되다 1976년 3월 3일 아주대학교 교육방송국으로 승격 개국하였으며 방송국으로서의 승격으로 대학 독립기구로서 조직, 예산 업무 면에서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고 음악, 보도, 오락, 각종 문화행사 등 방송국으로써의 조직적인 운영과 활동을 하게 되었다. 학우들을 위한 공개방송, 토론회 등의 특집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하고 있으며 총학생회 선거 기간 중의 특집방송, 교내행사의 안내방송 등 속보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의 내용인데

편집 취소하는 이유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DAhun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DAhun: 편집 역사를 보니 @95016maphack님과 사용자토론:175.197.32.87님이 편집을 되돌리셨네요. 이유로 든 건 위키프로젝트:대학교, 백:아님#위키백과는 설명서, 안내서, 교과서, 학술 잡지가 아닙니다., 백:아님#위키백과는 광고를 하는 곳이 아닙니다. 이 세가지라고 합니다.--Gcd822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00:06 (KST)답변
@Gcd822: 네 그래서 좀 수정을 했는데 @95016maphack:님이 취소를 하신 이유를 모르겠으니 그렇습니다..--DAhun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00:39 (KST)답변
@DAhun: 수정하신 내용을 보니까 딱 한문장 "사실에 입각한 옳은 글을 쓰겠다는 정론직필과 실사구시의 정신 하나로 학교의 역사를 기록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내용 빼고 다른 내용들은 실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문장은 위키백과:중립적 시각에서 벗어난 서술인 것 같습니다. 나머지 내용들은 홍보라는 생각이 안 들고 그냥 '이런 게 있다'는 설명처럼 보입니다. 이 건에 대해서 95016maphack님 의견을 들어봤으면 좋겠습니다.--Gcd822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08:34 (KST)답변

저작권?

@DAhun: '학생 자치기구' 내용은 출처에서 그냥 복사 붙여넣기 하신건가요? 백:저작권 문제 때문에 되돌리기 한 걸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학보사, 교육방송국에 대한 내용도 말투정도 수정하고 거의 복사해오신 것 같네요. 95016maphack님이 특정판 삭제신청을 안 하신 걸 보면 저작권 이유로 편집 취소를 한 건 아닌 것 같지만, 제가 따로 읽어보면 95016maphack님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꼬투리 잡힐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단순히 사실 나열이긴 해서 어떻게 확실한 답은 못 드리겠습니다. 다른 경험있는 편집자 분들의 의견이 필요할 것 같네요.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참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Gcd822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13:31 (KST)답변

@Gcd822: 네 그렇다면 저작권 부분에 대해서는 좀 수정이 필요 하겠네요 하지만 지금 삭제를 하시는거보면 가장 마지막 되돌리기에 PR이라고 적어두셨는데 이부분은 도저히 공감할 수 가 없네요.. --DAhun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15:23 (KST)답변
@DAhun: 우선 저작권 침해 내용이 있는 부분은 위키백과:삭제 정책#삭제 토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따라 특정판 삭제 신청을 해두었습니다. 저작권 침해 내용은 위키백과:다섯 원칙에서 세 번째 원칙에서 밝히고 있듯이, "배타적 저작권이 있는 문서를 무단으로 가져오거나, CC-BY-SA 3.0과 호환되지 않는 문서를 올릴 수는 없습니다"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PR인가 아닌가에 대한 논의가 있지 않더라도 삭제 대상입니다. 출처를 제시해 주셨지만, 인용이라고 보기엔 힘들다고 판단되네요.--Gcd822 (토론) 2017년 11월 20일 (월) 19:20 (KST)답변
@Gcd822: 저작권관려해서도 다시 재수정 해보았습니다. 의견을 묻고싶습니다. --DAhun (토론) 2017년 11월 20일 (월) 20:12 (KST)답변

PR인가 아닌가

@DAhun: PR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저도 'PR은 아니다'라는 쪽인데, 일단 95016maphack님의 입장을 기다려보죠.--Gcd822 (토론) 2017년 11월 17일 (금) 18:08 (KST)답변

  1. “학생자치기구 | 아주대학교”.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 
  2. “학보사 | 아주대학교”. 2017년 11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