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대수 (야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Qw0221qw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0월 1일 (토) 23:29 판
이대수
SK 와이번스 No.2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1년 8월 21일(1981-08-21)(44세)
출신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신장 175 cm
체중 7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유격수, 3루수
프로 입단 연도 2001년
드래프트 순위 육성선수로 입단
첫 출장 2002년
획득 타이틀
계약금 4억 원 (FA)
연봉 3억 5,000만 원 (2016년)
경력


이대수(李大秀[1], 1981년 8월 21일 ~ )는 KBO 리그 SK 와이번스내야수이다.

프로 야구 시절

고군산군도신시도 출신으로 군산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연고 팀 쌍방울 레이더스신고선수로 입단하려고 하였으나,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이후 선수단을 승계한 SK 와이번스에서 신고선수들을 받아들이지 않아 고향 신시도로 돌아갔다. 그러다가 당시 타격코치 이건열의 눈에 띠어 2001년 SK 와이번스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 2002년부터 1군으로 올라와 주로 내야수로 활동하였고 2006년부터 주전 유격수가 되었다.[2] 이후 정근우의 등장으로 주전에서 밀렸고 2007년에는 스프링캠프 도중 김성근 감독과 불화가 있기도 했다. 이 때 손시헌의 상무 입대로 유격수가 필요했던 두산 베어스에서 트레이드를 추진하여, 2007년 4월 29일 나주환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3]

2007년 두산으로 트레이드된 후 주전 유격수로 출장하였으며, 두산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진가를 발휘하기 시작했다. 2006년 시즌 후 입대한 손시헌의 공백을 메우며 수비 실력을 인정받았고 2007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2009년 손시헌의 제대로 인해 또 다시 주전에서 밀려 손시헌이 잠시 부상으로 쉬었을 때를 빼면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지내게 되었다.[4]

이대수의 난

2007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SK 와이번스에 0-2로 뒤진 6회 초 수비에 김강민의 타구가 이대수 자신 앞으로 굴러가는 땅볼로 왔으나 자신은 실책을 기록했다. 다시 최정이 때린 땅볼이 자신 앞에 왔으나 또 다시 실책을 범했고 그리고 평범한 플라이도 놓치며 1이닝에만 3실책을 하며 한국시리즈 한 이닝 실책 최고 기록을 세웠다.[5] 결국 9-1로 SK에게 패했고, 두산 팬들에게 순식간에 역적이 되며 "이대수의 난"이라며 질타를 받았다.

2009년 한화는 내야진의 실책이 많았다. 2009 시즌 후 김민재의 은퇴 등으로 내야진 보강을 원했던 한대화 감독이 주전 유격수로 그에게 눈독을 들이게 되었고 2009년 11월 16일 한화 이글스투수 조규수김창훈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6] 트레이드된 후 김민재의 번호를 받았고, 한화의 주전으로 안착하였다. 2011년 안정된 수비를 바탕으로 타율0.301 8홈런 50타점을 기록하여 그 해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시상을 받아 새로운 "연습생의 신화"를 썼다.[7] 그 해 그는 KIA의 김선빈 다음으로 유격수 중에서 실책이 적었다.[8] 한화 이글스에서는 빙그레 시절 1990년 장종훈이 받은 이후 21년 만에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을 배출하게 되었고, 신고선수 출신 골든 글러브로는 손시헌 다음으로 4번째이다. 2013년에는 시즌 중 소집 해제되어 1군에 복귀한 송광민에게 유격수 자리를 내주고 3루수로 출장하는 경기가 많아졌다.[9] 2013 시즌 후 FA를 선언하여 4년 간 총액 20억 원(계약금 4억 원, 연봉 3억 5,000만 원, 옵션 2억 원)의 조건으로 한화 이글스에 잔류하였다.[10]

2014년 6월 3일 조인성을 상대로 김강석과 함께 트레이드되면서 7년만에 친정팀 SK 와이번스에 복귀를 하였다.

친정팀으로 복귀한 이대수는 2015년 시즌에 72경기에 출장하여 0.264의 타율을 기록, 백업 내야수로 팀의 활력을 넣어주었으나 2016년 시즌에는 14경기에 출전했지만 안타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출신학교

통산기록







2

3














2002 SK 3 0 0 0 0 0 0 0 0 0 0 0 0 0 0.000 0.000
2003 10 1 2 0 0 0 0 1 0 0 0 0 0 0 0.000 0.000
2004 105 103 11 17 2 0 0 5 0 5 2 31 0 2 0.165 0.208
2005 99 59 11 12 3 1 0 4 1 4 3 19 2 1 0.203 0.288
2006 122 387 46 98 15 4 5 26 5 25 5 68 6 13 0.253 0.307
2007 두산 109 310 33 78 14 1 3 36 5 29 7 47 7 13 0.252 0.324
2008 90 213 22 60 9 3 2 23 2 16 5 28 7 12 0.282 0.345
2009 38 61 5 16 4 1 0 7 1 3 1 11 5 1 0.262 0.308
2010 한화 125 375 33 87 13 1 7 37 2 26 6 57 4 5 0.232 0.290
2011 122 366 46 110 16 3 8 50 8 31 5 64 5 10 0.301 - GG
2012 118 376 36 105 23 4 4 48 5 27 3 57 9 13 0.279 -
2013 122 390 54 100 23 2 4 42 11 38 6 88 10 5 0.256 0.330
2014 SK 11 0 1 0 0 0 0 0 0 1 5 2 1 0.091 0.250
2015 36 72 9 19 3 0 2 12 0 6 1 23 6 2 0.264 0.325
통산 11시즌 982 2395 265 622 108 19 29 253 32 179 38 414 49 72 0.260 0.318

각주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