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놉티콘

파놉티콘 또는 판옵티콘(영어:Panopticon, 프랑스어:Panoptique)은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 제안한 일종의 감옥 건축양식을 말한다. 파놉티콘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모두'를 뜻하는 'pan' 과 '본다'를 뜻하는 'opticon'을 합성한 것으로 벤담은 소수의 감시자가 모든 수용자를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감시 할 수 있는 형태의 감옥을 제안하면서 이 말을 창안했다.
벤담은 자신의 제안서에서 이 감옥의 본질적인 장점을 한 단어로 표현하기 위해, "진행되는 모든 것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잇는 능력"을 의미하는 "파놉티콘" 이라고 부를 것...[1]이라고 하였다.
제안의 배경과 역사
벤담음 1785년에서 1788년 사이 유럽 곳곳을 여행하고 당시 러시아에서 일하던 동생 새뮤얼 벤담을 만나기 위해 러시아로 갔는데 그 때 파놉티콘의 최초 구상을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노동자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시설을 고안하던 중 파논티콘의 개념을 감옥으로 확장한 것이다. 1786년 벤담은 파놉티콘의 개념을 담은 21통의 편지를 썼고 나중에 더블린의 출판사에서 한권의 책으로 간행되었다. 1791년 벤담은 영국에서 단행본 출판과 거의 동시에 프랑스 의회에 파놉티콘을 제안하고 프랑스 의회는 제안서를 인쇄하는 등 거의 실현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듬해 루이 16세가 실각하고 그의 제안은 폐기 되었다.
벤담은 그의 생애와 재산으 대부분을 이 파놉티콘 계획을 실현하는데 바쳤다.1794년 그의 제안이 영국에서 받아들여져 런던 근교에 감옥부지를 마련하고 토지를 매입하지만 런던 의회가 보상금을 너무 적게 주는 바람에 벤담은 파산하고 말았으며 그에 따라 건축도 성과없이 지연되고 말았다.
1811년과 1813년 사이 다시한번 영국의 감옥개혁안이 대두되자 그의 계획안이 세상의 빛을 받고 벤담은 감옥부지에 대한 토지보상금을 받게 되었지만 감옥건축 자체는 파놉티콘 형식이 아니라 미국 펜실베니아식으로 결정되었다. 벤담이 그토록 실현하고자 했던 파놉티콘 계획은 벤담의 생전에는 실현되지 못했다.
파놉티콘 건축
파놉티콘의 개념
파놉티콘의 개념은 일종의 이중 원형건물이다. 감옥 둘레에는 원형의 6층 (또는 4층)건물이 있고 수용자들의 수용시설(감방)은 이 건물에 배치된다. 수용실의 문은 내부가 들여다 보이도록 만들어지고 그 앞에는 좁은 복도가 설치된다.
중앙에는 역시 원형의 감시 탑이 있는데 이곳에 감시자들이 머물게 된다. 감시탑에서는 각 구석구석 수용실을 훤히 볼 수 있지만 수용자들은 감시자가 있는지 없는지 감시하는지 못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 결과 수용자들은 감시자가 없어도 수용자가 감시자의 부재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 감시자가 있는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이처럼 파놉티콘은 중앙의 원형감시탑에서 각 수용실을 단번에 파악할 수 있고 감시 권력이 자신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수용자가 항상 감시당하고 있는 상태, 즉 감시자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지만 끊임없이 감시되는 상태를 그 핵심 개념으로 한다.
개념의 확장
벤담은 판옵티콘의 개념을 감옥과 같은 감시시설에만 국한 하지 않았다. 파놉티콘의 개념은 군대의 병영, 병원, 수용소, 학교, 공장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보았다. 공리주의자인 벤담의 입장에서 최소한의 비용, 최소한의 감시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수 있는 파놉티콘은 이상적인 사회의 축소판으로 보았다.
벤덤의 개념은 실제 감옥 건축에서 보다 철학적으로 더 고찰의 대상이 되었다. 프랑스 철학자 미셀 푸코는 그의 저서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 1975)에서 벤담의 판놉티콘 개념을 다시 부활 시키고 고찰하였다. 푸코에게 파놉티콘은 근대"권력"을 아주 잘 설명해주는 장치다. 파놉티콘을 통해 새로운 권력행사 방식을 알수 있다고 보았다. 파놉티콘에서 고찰한 푸코의 권력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작용"하는 것이며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하는 것으로 보았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