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함풍
보이기
1. 함풍(함평) 이씨 역사
◈ 함풍이씨 시조
함풍이씨(咸豊李氏) 시조는 함풍부원군(咸豊府院君) 휘(諱) 이광봉(李光逢) 공 이시다.
◈ 함풍부원군 諱 광봉 祖 ○ 관작 : 삼사사 벽상삼한삼중 대광보국숭록대부 좌명공신 함풍부원군 ○ 배위 : 금성나씨(부: 나득황의 여) ○ 묘소 : 실전(나주 금성산 하)으로 설단봉사하다가 지금의 묘역에 봉분 ○ 제사 : 매년 양력 11월 첫째 토요일 함평 만흥리 초동소재 유택에서 세일제로 봉사 ◈ 약력 ○ 출생 : 고려고종 1246년 출생하시어 충숙왕 11년 1324년 78세 서거로 추정 ○ 1275(을해)년 고려 충렬왕 원년 출사. ○ 1276(병자)년 고려 충렬왕 2년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심 ○ 1305년 고려 충렬왕 정당문학 ○ 1309년 충선왕 원년 판전학사 ○ 1314(갑인)년 고려 충숙왕 원년 상호군겸 참지정사 ○ 1319(을미)년 고려 충숙왕 6년 동지 밀직사사가 되심 ○ 1320(경신)년 고려 충숙왕 7년 문하평리 되심 ○ 1324년 충숙왕 11년 삼사사에 임명되심.
( 고려사 평년강목 금경록 참조 )
○ 1332년 충선왕은 벽상삼한 삼중 대광보국 숭록대부 자명공신 함풍부원군 책봉( 최고 품계임)
◈ 고려후기 삼충신이라 일컬음
1) 충선왕이 원나라에서 국정을 살필 때 왕지(王旨)를 받들고 고려와 원나라를 오가며 왕을 보필 2) 충선왕이 원나라 영종의 환국령을 거부하는 등의 이유로 걸어서 10개월이 걸리는 토번 살사결로 유배를 당했을 때, 직보문각 박인간과 전대호군 장원 지 등 18명 중에 평리 휘(諱) 광봉(光逢)도 함께 수행
3) 상왕(上王) 충선이 유배에서 풀려나 연경 사저로 귀환했을 때 충숙왕은 公을 정이품 삼사사에 임명하면서, 고(暠)를 입왕(立王)하려고 서명한 자들은 모두 파직시켰다
4) 충선 상왕은 연경 사저에서 公을 좌명공신 함풍부원군(咸豊府院君))에 봉(封) 함. 5) 함풍이씨(咸豊李氏)의 득관(得貫)은 휘(諱) 광봉(光逢)조를 함풍부원군(咸豊府 院君)으로 봉(封)한 데서 연유(緣由)하였다. 6) 이 본관을 임술보 때 행정명칭이 함풍에서 함평으로 개칭 되었다하여 함평 이씨로 변경했으나 본래는 함풍이씨이며 함풍과 함평은 같은 본관이다. 함풍이씨를 본관으로 사용하는게 맞다. 7) 상왕 충선왕과 아들 충숙왕사이의 재신들 간의 세력다툼으로 어지러운 시대 에 고려의 현관중신(顯官重臣:높은 벼슬의 중신)으로서 큰 결함을 남기지 않 고 후세에 삼충신(三忠:3왕조의 충신)의 방명(芳名:꽃다운 이름)을 남겼다. 이 는 문인공 민지(閔漬)의 편년강목(編年綱目)과 목은 이색(李穡)의 금경록에 재 록된 벽상삼한삼중대광보국 숭록대부 좌명공신 함풍부원군 이라는 훈봉사실 이 이를 증거 한다. 이런 이유로 시조부군의 후손들은 함풍부원군의 군호(君 號)로 함풍이씨라 하였다.
8) 시조부군의 외아들은 연(延) 祖요 손자는 안저(安柢), 일부(一富:후에 安相), 수년(秀年) 3형제이시다. 그리고 安柢 祖의 아들인 숙의 아들들은 인좌(仁佐), 인검(仁檢), 인원(仁元), 인형(仁衡), 인관(仁琯), 인계(仁桂), 인문(仁問) 7형제 이시다. 이 기록은 죽곡집과 족보사실록에 기록되었다. 인좌는 판관공파, 인 검은 기성군파, 인원은 첨서사사공파, 인형은 주부공파, 인관은 예빈경공파, 인계는 영동정공파, 인문은 밀직제학공파다. 이 모두 시조부군의 군호(君號) 을 따서 함풍이씨로 본관을 갖게 되었다.
9) 이 본관을 임술보 때 함풍이 함평이 되었다하여 함평이씨로 변경했다. 그리고 족보를 차지하기기 위해 계차를 조작하고 호구변의를 감행했다. 장양공 이종생(1423년생)의 아버지가 극명(1448년생)으로 극명 묘갈명을 고봉 기대승에게 부탁하면서 부자지간이 아님이 들통이 나자 극명을 60갑 자 올려서 7세에 서거한분을 67세에 서거한 것으로 족보를 조작했다. 이를 호구변의라 한다. 이로서 함평이씨 족보는 대대로 엉망이 되었다. 7형제가 인좌, 인형은 손자계대로 나머지 5형제는 할아버지 계대로 둔갑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족보평고에 기록 되었다.
10) 그러나 본관을 함풍으로 하여 60갑자를 원위치하면 순서대로 족보가 계차 가 맞는다. 11) 함평이씨 만성보에 함평이씨 본관은 함풍부원군 이광봉 조의 군봉에서 나 왔다고 기록되었고 족보사실록에서도 장양공파 윤신의 손자 경운이 부원군 에 의해서 본관을 갖게 되었다고 적었다. 지금은 본관과 시조부군을 되찾아 국가기록문서 등재되고 공증정관에도 본관과 시조부군이 함풍과 이광봉 祖 로 기록되었다.
12 지금에는 함평이씨 시조이언은 가상의 시조다. 라고 하면서도 일부 후손들 이 직계선조를 외면하는 것은 세월이 흐르고 고문서를 해독하는 분들이 없 어서 이를 설득시키고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많은 세월이 지나야 해결 될 것으로 보인다. 차후 호구변의와 환부역조를 방지하려면 족 보 편찬 시 선계 계대간의 년도가 어떤 방식이던 간에 기록되어야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