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단파 청취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댓글: Finefir2001님 (방금)

저의 실수로, 문서이름을 SWL, BCL로 변경함으로써 '넘어옴' 설정하려고 했는데 잘못되어서 원래이름인 '단파청취'가 아닌 '단파 청취'로 해야 했습니다.

'넘어옴' 설정에서 이름을 추가할 때 방법을 저에게 알려주십시오.— 이 의견은 Finefir2001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5월 7일 (수) 23:00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제목을 단파 청취로 하신다는 건가요? 단파청취로 하신다는 건가요? 하높 2008년 2월 17일 (일) 15:18 (KST)답변

원래 이름인 '단파청취'로 바꾸려고 합니다. 문서이동을 잘 못하는 바람에 '단파청취'라는 문서를 삭제해야지 원래 이름대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 의견은 Finefir2001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5월 7일 (수) 23:00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그렇다면 관리자 요청에 이동요청을 해 주세요. 하높 2008년 2월 17일 (일) 15:30 (KST)답변

외부안테나

외부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내장안테나에 연결하여 외부안테나를 연결할 경우 수신율이 안좋아 질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는게...안테나 수신의 신기한점이기도 합니다. 하옇든 최적화된 내부 안테나에 무었을 더 연결한다는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만..안테나 연결만으로 임피던스치가 극단으로 변화하여 (즉 SWR이 엄청 높은 경우 혹은 벼락을 맞는 경우등..) 또한 이때문에 수신회로가 망쳐질 수 있다는것은...좀 극단적인 경우의 설명이라고 보겠습니다. 단! 송신기라면 회로 태워 먹는 것이 가능합니다. 요즘은 이것도 잘 방어가 되어 있습니다만... ^ ^;[1]--Alfpooh 2008년 2월 17일 (일) 21:37 (KST)답변

소니라디오 생산업체에 관해

객관성(?)의 이유로 본 항목에 집어넣진 않았지만, 소니 라디오 생산업체에 관해 언급하고자 합니다. 소니의 라디오 수신기는 대부분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산이 아닌 이상 중국산과 일본산 모두 소니의 직영공장이 아닌 일종의 자회사 형태의 일본계 중소기업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일본산은 일본 아키타현에 있는 토와다오디오(주)가 생산하며, 중국산은 토와다오디오(주)의 중국현지 법인인 홍콩 토와다 전자 유한공사(공장은 중국 광둥성 둥관시, 해외영업사무소는 홍콩 카이룽 소재)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토와다오디오 (일본): http://www.towada-au.co.jp 홍콩 토와다 전자 유한공사 (중국): http://www.towada.com.cn


Finefir2001 2008년 2월 24일 (일) 13:40 (KST)답변

초저가 기종에 관해

제가 초저가 기종이 성능면에서 안 좋다는 구절을 썼는데 사라졌더군요.

1만원정도하는 초저가 기종의 경우 아무리 봐도 절대적인 기준에서 성능이 미흡한 게 사실입니다. 특히 중국의 모 업체(주의: 텍선, 데겐은 절대로 아님)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그렇거든요. 안정도, 케이스 견고성 같은 것은 둘째로 치더라도 감도, 선택도 모두 좋은 편이 아니라서요. 이런 초저가 기종은 전파신호 강도가 센 중국 자국향 방송, 극동 러시아 방송, 일본 NHK 방송같으면 그럭저럭 잡히겠지만 그밖의 방송들은 잡기가 힘들더라고요. 그리고 선택도도 좋은 편이 못되서 신호가 약한 방송을 수신할때 근처에 신호가 강한 방송이 있으면 '팍 묻혀'버립니다.

제가 본 항목에서 언급한 업체들(소니, 산진, 그룬디히, 로버츠, 텍선, 데겐)의 수신기는 적어도 감도가 '입문용'으로서는 퇴짜맞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Finefir2001 2008년 2월 24일 (일) 13:40 (KST)답변

제품리뷰사이트가 아니니 각 제품에 대한 평가를 이 문서에서 너무 디테일하게 다룰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분량이 많은 많큼 따로 "단파청취라디오" 문서를 분가 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Alfpooh 2008년 2월 25일 (월) 12:17 (KST)답변


>> 사실 저는 리뷰를 쓰려는게 아닙니다. 단지 초저가 기종이 그렇다는 것을 쓰고 싶었던 것입니다. 싸구려 때문에 낭패보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만일 더 자세한 평가를 적을 생각이 있었다면 별도의 문서를 만들었을 겁니다. Finefir2001 2008년 2월 25일 (월) 15:2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