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할로윈
보이기
마지막 의견: 방금 (June8th님) - 주제: 의견
![]() |
이 문서는 유럽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유럽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품질이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중요도가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
이 문서는 기독교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기독교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품질이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
미평가 | 이 문서에 대한 문서 중요도가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
이곳은 위키백과의 할로윈 문서를 위한 토론 문서입니다. 이곳은 할로윈에 대한 일반적인 토론을 하는 장소가 아닙니다. | |
---|---|
|
의견
기독교와 관계가 있다고 해서 크리스트교의 전통행사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이 의견은 June8th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4월 30일 (수) 14:21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할로윈? 핼러윈?
핼러윈이 맞는 표기인데, 옮겨야 하지 않을까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2년 11월 10일 (토) 23:11 (KST)
할로윈
![]() | 이 문단에 여러 사용자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이 틀이 붙은 문서는 자동으로 의견 요청 목록에 들어갑니다. 토론이 끝나면 이 틀을 제거해 주세요. |
백:표기에 맞춰 할로윈으로 이동할까 합니다. 의견주세요. 2주정도 후에 이동시키겠습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11일 (월) 14:15 (KST)
- 백:표기의 어떤 내용을 따른 것인지 구체적으로 서술 부탁드립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4:18 (KST)
- '널리 사용되는 표기(통용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어서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4:22 (KST)
- 백:표기의 하단에서 보실 수 있듯, 통용표기는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만이 아니며, 통용표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도 아닙니다. 할로윈이 보다 많이 쓰이는 통용표기이일 것이나, 핼러윈 역시 상대적으로 적게 쓰이는 통용표기일 것입니다. 따라서 백:표기에 따르면 가장 많이 쓰는 표기는 중시할만한 근거기는 하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만을 골라야 한다는 근거로는 사용하는 것은 비약의 소지가 있습니다.
- 그리고 구글 검색에서 '할로윈'으로 검색할 경우 Halloween등의 번역어를 포함하여 검색하기에, 결과가 오염됩니다. 보다 동등하게 조건을 넣어 검색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 1.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 : 19페이지
- 2. 핼러윈 -할로윈 -Halloween : 16페이지
- 그러니 할로윈이 '보다 널리 사용된다'는 것은 구글 검색으로 입증할 수 있으나, '다른 한 쪽을 압도할 정도로 통용됨'을 입증하기는 힘듭니다.
- 다른 근거를 가져오시면 경청토록 하겠습니다. 덧붙여서 제가 의견을 드리는 것은 할로윈이 보다 적당하다는 거북이님의 의견을 반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최근 표기에 관한 분쟁이 지나치게 기형적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앞으로는 보다 발전적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4:52 (KST)
- '널리 사용되는 표기(통용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어서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4:22 (KST)
- 1.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 : (구글 2320만 네이버 209만)
- 2. 핼러윈 -할로윈 -Halloween : (구글 25만 네이버 10만)
- 차이가 좀 큰거 같네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00 (KST)
- 건수를 보지 말고 페이지를 넘겨 보세요. 구글 검색의 검색결과 수 예측에 버그가 좀 있습니다.
- 덧붙여서 '유사 결과 안 보이기'를 끄고 진행하면,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은 94페이지, 핼러윈 -할로윈 -Halloween은 96페이지로 오히려 후자의 페이지수가 더 많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16 (KST)
- 계속 페이징으로 보여주는 것은 로드가 크고, 극소수의 사람만 쓰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는 것이지요. 건수에 버그라는 말 자체가 어떤 근거를 가지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검색결과 건수는 소폭으로 변화하지만 스케일은 믿을 수 있습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22 (KST)
- 실제로 구글에서 검색 결과로 표시하지 않는 문서를 함께 카운팅해서 숫자를 보여준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으면, 그 말씀은 근거 없는 주장이 됩니다. 사실 '할로윈' 보다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의 검색 결과가 더 많이 나오는 것 부터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지 않을까요? (당연히 전자가 후자보다 많아야 하는데, 전자는 300만건, 후자는 2천만건입니다.) 따라서 구글의 '검색 결과 수'는 신뢰할 수 없는 지표라 보는 것이 옳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29 (KST)
- 네이버는 어떻게 하시게요. 함께 못믿을 놈이 되나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33 (KST)
- 저는 네이버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았습니다. 모르니까요. 구글의 '검색 건수'는 근거로 충분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한 거죠. 검색엔진의 구조를 생각해 보면 검색 건수 추정이 올바르지 못하리란 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검색 건수 추정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결과를 내놓지 않습니다.
- 따라서 구글 검색을 통해서 해당 용어가 쓰이는 빈도를 주장하려면 검색 결과에 잡히는 건수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데, 이건 오히려 핼러윈이 할로윈보다 많다는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저는 실제로는 할로윈이 핼러윈보다 많이 쓰이리라고 추측하고 있으나, 이 사실은 구글 검색을 통해서 입증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며, 신뢰성 있는 다른 근거가 필요합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38 (KST)
- 그래서 네이버도 숫자를 걸어둔 것이지요. 작은 오류는 있지만 크게 보면 믿을만 하다는게 요지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0 (KST)
- 그 숫자를 믿을 수 있다는 걸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실제로 구글 검색에서 나오는 결과가 핼러윈이 많은 시점에서 해당 내용은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반복적으로 말씀드리지만, 신뢰성을 입증할 수 있는 다른 근거가 필요합니다.. 근거가 없이 믿으라고 주장하는 것으론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구글 신앙에 따라 돌아가는 곳이 아니며, 구글 검색 결과에 신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면 해당 부분은 배제하고 논의를 전개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 결과에서 핼러윈이 할로윈보다 많이 나온다는 것은 관측 가능한 사실이기에 이것이 사실임을 입증할 수 있으나, 구글 검색의 수량 유추가 올바르게 동작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3 (KST)
- 저는 작은 잘못으로 큰 것을 덮으려는 듯한 의지를 느끼게 되는군요. 네이버도 신앙이고 다음도 신앙이고 제가 보는 대부분의 검색엔진 결과 개수는 신앙으로 매도되는 것인가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9 (KST)
- 아뇨. 검색결과 개수가 올바르게 나온다는 근거가 있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상당수의 검색엔진은 뒷페이지로 갈수록 검색 결과 개수가 점점 정확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진짜 마지막'페이지에 도달하면 거의 정확한 결과 갯수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검색에서 '유사 검색 결과 제거'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글 검색이 표시하는 마지막 페이지'가 '진짜 마지막 페이지'가 아니기에 양쪽 다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고요.
- 하지만 '유사 검색 결과 제거'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진짜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 때는 "핼러윈 -할로윈 -Halloween"의 검색 결과는 158건,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의 검색 결과는 190건으로 표시되며, 할로윈이 핼러윈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근소하게 많습니다.
- 따라서 “유사 검색 결과 제거를 한 경우 구글 검색 결과에서 할로윈은 핼러윈에 비해 근소하게 많이 등장한다”는 것은 참입니다. “유사 검색 결과를 제거한 경우 구글 검색 엔진은 할로윈을 핼러윈에 비해 많이 색인하고 있을 것이다”는 역시 참일 것이고요. 유사하게 “유사 검색 결과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구글 검색 결과에서 핼러윈은 할로윈에 비해 근소하게 많이 등장한다”는 것 역시 참이며, “유사 검색 결과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구글 검색 엔진이 핼러윈을 할로윈에 비해 많이 색인하고 있다”가 참인지는 증명할 수 없습니다.
- 이 상황에서 구글 검색 엔진의 결과는 할로윈을 핼러윈 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근거로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신뢰할만한 근거가 필요합니다. 근거가 없이 맹목적인 믿음을 바탕으로 주장을 해봐야 다른 사람을 설득할 수 없으며, 토론의 자세로서도 올바르지 못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근거 없이 네이버나 다음의 검색 결과 갯수가 정확하다고 믿으면 이건 신앙이죠. 그걸 올바른 결과로 만들기 위해선, 네이버나 다음의 검색 결과에서 마지막 페이지까지 가서 검색 결과를 카운팅 한 뒤 같음을 입증하면 됩니다. 그리고 입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선, 구글 검색은 할로윈의 손을 첫페이지만큼 강하게 들어주고 있지 않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6:02 (KST)
- 저는 작은 잘못으로 큰 것을 덮으려는 듯한 의지를 느끼게 되는군요. 네이버도 신앙이고 다음도 신앙이고 제가 보는 대부분의 검색엔진 결과 개수는 신앙으로 매도되는 것인가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9 (KST)
- 그 숫자를 믿을 수 있다는 걸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실제로 구글 검색에서 나오는 결과가 핼러윈이 많은 시점에서 해당 내용은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반복적으로 말씀드리지만, 신뢰성을 입증할 수 있는 다른 근거가 필요합니다.. 근거가 없이 믿으라고 주장하는 것으론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구글 신앙에 따라 돌아가는 곳이 아니며, 구글 검색 결과에 신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면 해당 부분은 배제하고 논의를 전개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 결과에서 핼러윈이 할로윈보다 많이 나온다는 것은 관측 가능한 사실이기에 이것이 사실임을 입증할 수 있으나, 구글 검색의 수량 유추가 올바르게 동작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3 (KST)
- 그래서 네이버도 숫자를 걸어둔 것이지요. 작은 오류는 있지만 크게 보면 믿을만 하다는게 요지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40 (KST)
- 네이버는 어떻게 하시게요. 함께 못믿을 놈이 되나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33 (KST)
- 실제로 구글에서 검색 결과로 표시하지 않는 문서를 함께 카운팅해서 숫자를 보여준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으면, 그 말씀은 근거 없는 주장이 됩니다. 사실 '할로윈' 보다 '할로윈 -핼러윈 -Halloween'의 검색 결과가 더 많이 나오는 것 부터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지 않을까요? (당연히 전자가 후자보다 많아야 하는데, 전자는 300만건, 후자는 2천만건입니다.) 따라서 구글의 '검색 결과 수'는 신뢰할 수 없는 지표라 보는 것이 옳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29 (KST)
- 계속 페이징으로 보여주는 것은 로드가 크고, 극소수의 사람만 쓰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는 것이지요. 건수에 버그라는 말 자체가 어떤 근거를 가지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검색결과 건수는 소폭으로 변화하지만 스케일은 믿을 수 있습니다.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22 (KST)
- 차이가 좀 큰거 같네요. --거북이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15:00 (KST)
- 독특한 방식으로 구글을 검색하고 계시는 것 같아서 남깁니다. 따옴표 검색을 하면 해당 단어가 띄어쓰기까지 정확히 들어있는 것만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이 방식으로 위키백과에서는 비교할 때 참고자료로 쓰이는 편입니다. 구글 따옴표 검색결과 할로윈 약 3,510,000개, 핼러윈 약 296,000개 할로윈이 10배 넘게 압도적으로 많이 나옵니다. 굳이 설명을 더 하지 않아도, 할로윈이 통용표기인 것은 맞습니다. 아칠루스님은 무슨 근거로 핼러윈이 많이 나온다고 하시는지 이해가 안되네요.--아드리앵 (토·기) 2013년 11월 26일 (화) 18:50 (KST)
- 할로윈 약 289건 (29쪽)], [핼러윈 약 169건 (17쪽)]. 할로윈은 핼러윈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지 않습니다. 동일한 검색 결과에서 마지막페이지로 직접 가 보세요.
- 덧붙여서, 할로윈 마지막 페이지, 비슷한 검색 결과 제거 끔. 91쪽. , 핼러윈 마지막 페이지, 비슷한 검색 결과 제거 끔. 97쪽. 이죠. 이 결과는 실질 최종 페이지에 도달하지 못해 검색 결과수를 제대로 추산하지 못하는 상태나, 페이지 수로 놓고 보면 핼러윈이 더 많습니다.
- 구글의 첫 페이지에 나오는 건수는 추정치고, 정확한 값이 아닙니다. 표시되는 예상 검색 결과 수와 실제 검색 결과 수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검색 결과 수는 할로윈을 그리 강력하게 지지해주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 제 말을 믿지 못하신다면 직접 검색하신 결과에서 마지막 페이지로 스스로 이동해 보셔도 좋습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20:00 (KST)
- 추가로, Google search result count 를 참조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Google's calculation of the total number of search results is an estimate. We understand that a ballpark figure is valuable, and by providing an estimate rather than an exact account, we can return quality search results faster.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20:09 (KST)
- 저는 할로윈이 보다 많이 쓰이는 통용표기임을 부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마 더 많이 쓰일 것이다'라고 이야기를 했고, '핼러윈은 더 적게 쓰이는 통용표기다'라고 이야기 했지요. 그런데, 핼러윈을 할로윈으로 옮기기 위해선 핼러윈 역시 통용표기인 이상, '할로윈이 아마 더 많이 쓰일 것이다'로는 부족합니다.
- 명시적으로 핼러윈이 할로윈에 비해 많이 쓰이는 걸 보일 수 있는 수단이 있으면, 그런 수단은 근거가 될 수 있을 겁니다. (그것 하나만으로 모두의 동의를 받진 못하겠지만, 많은 사람들은 동의할 겁니다.) 하지만 구글은 그런 수단으로 적절치 않습니다. (근거는 위에 보여 드렸습니다.)
- 다른 예로, “영화 Halloween이 할로윈으로 번역된 것을 볼 때, 일반적인 언중들이 Halloween을 할로윈이라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같은 것도 추가적인 근거로 적절할 수 있습니다.
- 역시 다른 예로, “교보문고에서 검색해 봤을 때 제목에 할로윈이 포함된 책은 15권 이상이나, 핼러윈이 제목에 포함된 책은 4권밖에 되지 않는다.”도 추가적인 근거로 적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두산백과사전에 항목이 할로윈으로 올라가 있다 두산백과사전 '할로윈' 항목 역시 적절한 근거가 될 겁니다.
- 브리테이커 백과사전에도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할로윈' 항목 해당 항목은 할로윈으로 올라가 있다는 것 역시 근거로서 적합합니다.
- 물론, 네이버 뉴스검색 '할로윈'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할로윈은 명백히 4천항목 이상인데 반해(네이버 뉴스 검색은 4천항목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검색을 막습니다.), 네이버 뉴스검색 '핼러윈' 핼러윈은 2188건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역시 근거로 적합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최근 한 달간의 뉴스로만 검색해도 네이버 뉴스 한 달 이내의 할로윈 검색 할로윈은 2,245건, 네이버 뉴스 한 달 이내의 핼러윈 검색 핼러윈은 349건이 나오니, 최근에도 할로윈이 압도적으로 우세를 차지한 표기라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 할로윈이 한국어 언중들에게 보다 널리 통용된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근거로 들 수 있는 예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그런데 왜 적절하지 못한 예인 구글 검색 결과 카운트만 고집하시는 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 결과는,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정확하지 못하다고 밝히고 있는 자료입니다.
- 저도 “아, 뭐. 나도 할로윈을 지지하니까, 별로 근거가 적합하지 못해도 찬성하고 넘어가야지.” 이럴 수야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토론 자세가 위키백과에 어떤 도움이 되겠습니까? 표제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합당한 근거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들을 근거로 사용해야 합니다. 스스로도 검색결과 수가 정확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는 구글 검색을 근거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명확히 널리 쓰이는 표기라면 그 표기가 널리 쓰인다는 것을 입증할 만한 근거는 수도 없이 많기 마련입니다.
- 마찬가지로 구글을 예로 들어야겠다면, 구글 트렌드 핼러윈 vs 할로윈 이런 자료도 적절한 예시일 수 있습니다. 핼러윈은 검색량이 충분하지 않아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 수준이며, 할로윈은 트렌드 그래프가 잘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자료는 구글 검색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핼러윈이라고 검색하는 빈도에 비해 할로윈이라고 검색하는 결과가 상당히 높으리라는 근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제가 제기한 근거를 바탕으로 표제어를 할로윈으로 옮기는게 적절하리라 생각하고 있으나, 여전히 구글 검색 결과 수만을 근거로 사용하려 하신다면 표제어를 옮기는데 동의할 수 없습니다. 구글 검색에서의 검색 결과 수는 대부분의 경우 근거로서 부적합합니다.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1월 26일 (화) 20:44 (KST)
- 제 생각에는 아칠루스님께서 구글 검색 결과로 먼저 근거를 대셨고, 계속 대시는 것 같아보입니다. 구글 검색 결과를 먼저 대시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 댄 것을 동의하지 않으신다면 어떻게 반응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최근 들어 구글 검색 결과를 많이 대는 것에 대해 좋지 않게 생각하시고 계시는 데, 백과사전, 기사 등에서 나온 항목을 포함에 나온 계산이 검색 결과 아닌가요? 그리고, 숱한 토론에서 백과사전에서 ~~하게 쓰고 있다 등의 근거는 잘 먹히지 않았었고, 결국 구글 검색 결과가 나오게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칠루스님께서 의도하신 바는 이해하겠으나, 잘못 풀린 것 같습니다.--아드리앵 (토·기) 2013년 11월 26일 (화) 20:5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