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델-뷰-컨트롤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dd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3월 11일 (월) 20:58 판 (봇: 인터위키 링크 34 개가 위키데이터d:q44860 항목으로 옮겨짐)
모델, 뷰, 컨트롤러의 관계를 묘사하는 간단한 다이어그램. 주: 굵은 선은 직접적인 관계를, 점선은 간접적인 관계를 나타낸다(옵저버 패턴).

모델-뷰-컨트롤러(Model–View–Controller, MVC)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이 패턴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요소나 그 이면에서 실행되는 비즈니스 로직을 서로 영향 없이 쉽게 고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MVC에서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데이터)를 나타내며, 뷰는 텍스트, 체크박스 항목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나타내고, 컨트롤러는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사이의 상호동작을 관리한다.

역사

MVC는 제록스 팰러앨토 연구소에서 스몰토크 관련 일을 하던 Trygve Reenskaug이 1979년 최초로 소개했다.[1] 관련 구현은 영향력있는 논문인 《스몰토크-80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모델-뷰-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법》[2]에서 깊이 있게 설명되었다.

MVC는 여러 파생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마이크로소프트가 사용했기 때문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1990년대 초기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모델 뷰 프리젠터 패턴이다. 이 패턴은 MVC의 진화된 모습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모델-뷰-컨트롤러는 여전히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2년 11월 W3C는 미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X폼즈(XForms) 아키텍처에 MVC 구조가 포함되도록 투표하여 가결하였다.[3] 이 규격은 XHTML 2.0 규격에 바로 통합될 것이다. 현재 20개가 넘는 업체가 애플리케이션 스텍에 MVC가 통합된 X폼즈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있다.


같이 보기

주석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