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H. 보네스틸 3세
|
Charles Hartwell Bonesteel III | |
찰스 H. 보네스틸 3세(1968년) | |
| 별명 | 틱(Tick) |
|---|---|
| 출생일 | 1909년 9월 26일 |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클린턴군 플래츠버그 |
| 사망일 | 1977년 10월 13일(68세) |
| 사망지 |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
| 국적 | 미국 |
| 학력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PPE 학사 미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
| 부모 | 아버지 찰스 하트웰 보네스틸 주니어 |
| 복무 | 미국 육군 |
| 복무기간 | 1931년~1969년 |
| 최종계급 | 대장 |
| 지휘 | 유엔사령부 주한 미군 제8군 제7군단 제24보병사단 |
| 주요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 서훈 | 육군 수훈 복무 훈장(2회) 훈공장(2회) |
찰스 하트웰 보네스틸[1] 3세(영어: Charles Hartwell Bonesteel III, 1909년 9월 26일~1977년 10월 13일)는 미국의 전 군인으로, 소령 찰스 H. 보네스틸 시니어의 손자이자 소장 찰스 하트웰 보네스틸 주니어의 아들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유엔사령부 및 주한 미군 사령관을 지냈다.
생애
[편집]보네스틸은 1909년 9월 26일 미국 뉴욕주 클린턴군 플래츠버그에서 태어났다. 십대 때 미국의 보이스카우트 단체인 이글스카우트에 가입했다.[2] 1931년에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로즈 장학금을 받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34년에 철학·정치학·경제학 협동과정(PPE)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3][4]
보네스틸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해 유럽 전구에서 활약했다. 미국 육군 대령 딘 러스크는 1945년 8월 11일에 보네스틸과 함께 한반도 분단의 기준선으로 북위 38도선을 선택했다고 주장했는데, 일각에서는 1944년 초부터 미국이 이미 북위 38도선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고 주장한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국무장관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보네스틸은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제24보병사단 사단장을, 1962년부터 1963년까지 제7군단 군단장을 지냈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유엔사령부 및 주한 미군 사령관을 지냈다. 재임 기간 동안 1·21 사태와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등을 겪었다. 말년에 망막 박리 때문에 왼쪽 눈을 수술한 뒤에는 안대를 끼고 다녔다.[6]
1969년 미국 육군에서 은퇴했다. 1977년 10월 13일에 사망해 알링턴 국립묘지에 할아버지와 아버지 부근에 묻혔다.
상훈
[편집]- 미국 육군 수훈 복무 훈장(1944–45년, 1969년)
- 미국 훈공장(1943년, 1943–44년)
- 대영 제국 훈장 명예 장교
- 프랑스 무공 십자 훈장
외부 링크
[편집]- (영어) 찰스 하트웰 보네스틸 3세 - 알링턴 국립묘지 보관됨 2017-10-06 - 웨이백 머신
각주
[편집]- ↑ “Bonesteel of Iceland” (영어). 《The New York Times》. 1942년 5월 17일.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he'll like you better if you pronounce it "Bonn-es-steel"
- ↑ “Distinguished Eagle Scout Award” (PDF) (영어). 《Boy Scouts of America》. 2016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The Adjutant General's Office. (1942). Official Army Register.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84.
- ↑ Jean R. Hailey (1977년 10월 14일). “Gen. Charles H. Bonesteel Dies, Ex-Chief of Forces in Korea” (영어). 《The Washington Post》.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신창용 (2013년 8월 13일). “"미국, 일본항복 전인 1944년초부터 38선 검토했다"”. 《연합뉴스》.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Diane Publishing. (1991). Scenes from an Unfinished War. Diane Publishing. 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