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형성
보이기
| 정자형성 | |
|---|---|
성숙하고 있는 정자가 들어 있는 세정관. H&E 염색. | |
성숙한 사람의 정자 | |
| 식별자 | |
| MeSH | D013091 |


정자형성(精子形成, 영어: spermatogenesis)은 고환의 세정관에 있는 생식세포로부터 반수체인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세뇨관의 기저막 근처에 위치한 줄기세포의 체세포 분열로 시작된다.[1] 이러한 세포를 정원줄기세포라고 한다. 이들의 체세포 분열을 통해 두 가지 유형의 세포가 생성된다. A형 세포는 줄기세포를 보충하고, B형 세포는 제1정모세포로 분화된다. 제1정모세포는 감수 1분열을 통해 두 개의 제2정모세포로 분열된다. 제2정모세포는 감수 2분열을 통해 두 개의 동일한 반수체 정세포로 분열된다. 정세포는 정자완성 과정을 통해 정자로 변환된다. 이들은 성숙한 정자, 즉 정자 세포로 발달한다.[2] 따라서 제1정모세포는 감수 1분열을 통해 두 개의 제2정모세포를 생성하고, 두 개의 제2정모세포는 감수 2분열을 통해 네 개의 정세포를 생성하며, 정세포는 분화하여 정자로 성숙한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e Kretser, D. M.; Loveland, K. L.; Meinhardt, A.; Simorangkir, D.; Wreford, N. (1998년 4월 1일). “Spermatogenesis” (영어). 《Human Reproduction》 13 (suppl_1): 1–8. doi:10.1093/humrep/13.suppl_1.1. ISSN 0268-1161. PMID 9663765.
- ↑ Sharma S, Hanukoglu A, Hanukoglu I (2018).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germinal epithelium of the testis, Sertoli cells, and spermatozoa.”. 《Journal of Molecular Histology》 49 (2): 195–208. doi:10.1007/s10735-018-9759-2. PMID 29453757. S2CID 3761720.
- ↑ “The Spermatozoön, in Gray's Anatomy”. 2010년 10월 7일에 확인함.
더 읽을거리
[편집]- Okano, Tsukasa; Ishiniwa, Hiroko; Onuma, Manabu; Shindo, Junji; Yokohata, Yasushi; Tamaoki, Masanori (2016년 3월 23일). “Effects of environmental radiation on testes and spermatogenesis in wild large Japanese field mice ( Apodemus speciosus ) from Fukushima”. 《Scientific Reports》 6 (1): 23601. Bibcode:2016NatSR...623601O. doi:10.1038/srep23601. PMC 4804236. PMID 27005329.
- Johnson, L.; Blanchard, T.L.; Varner, D.D.; Scrutchfield, W.L. (November 1997). “Factors affecting spermatogenesis in the stallion”. 《Theriogenology》 48 (7): 1199–1216. doi:10.1016/s0093-691x(97)00353-1. PMID 16728209.
- Bardin, C.W. (1991). 〈Pituitary-testicular axis〉 3판. Yen, S.S.C.; Jaffee, R.B. (편집).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ISBN 0721632068.
- Chambers, Christopher V.; Shafer, Mary-Ann; Adger, Hoover; Ohm-Smith, Marilyn; Millstein, Susan G.; Irwin, Charles E.; Schachter, Julius; Sweet, Richard (February 1987). “Microflora of the urethra in adolescent boys: Relationships to sexual activity and nongonococcal urethr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110 (2): 314–321. doi:10.1016/s0022-3476(87)80180-4. PMID 3100755.
- Czyba, J.C.; Girod, C. (1980). 〈Development of normal testis〉. Hafez, E.S.E. (편집). 《Descended and Cryptorchid Testis》. The Hague: Martinus Nijhoff. ISBN 9024723337.
- Whitmore, Willet F.; Karsh, Lawrence; Gittes, Ruben F. (October 1985). “The Role of Germinal Epithelium and Spermatogenesis in the Privileged Survival of Intratesticular Grafts”. 《Journal of Urology》 134 (4): 782–786. doi:10.1016/s0022-5347(17)47438-6. PMID 286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