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현식
연현식 연현식 | |
|---|---|
| 출생 | 1953년 7월 16일(72세)[1] |
| 국적 | 대한민국 |
| 시민권 | 대한민국 |
| 학력 | 연세대학교 |
| 직업 | 외교관 국제정치 연구자 |
| 활동 기간 | 2000년대 ~ 현재 |
| 고용주 | 대한민국 외교부 |
| 소속 | 주 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관 |
| 칭호 | 주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 |
| 칭호 기간 | 2024년 1월 26일 ~ 2025년 7월 20일[2][3] |
| 연현식 | |
|---|---|
| 한글 표기: | 연현식 |
| 한자 표기: | 延賢植[3] |
| 개정 로마자 표기: | Yeon Hyeon-si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ŏn Hyŏn-sik |
| 예일 표기: | Yen Hyen-sik |
| 공식 로마자 표기: | YON Hyonsik[2] |
연현식(延賢植, 1953년 7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국제정치 연구자이다. 2024년 1월 임명장을 받고 3월에 부임해 2025년 7월 20일까지 일본 삿포로에서 주대한민국 총영사를 지냈다.[2][4][3] 그는 일본의 정보기구, 동북아 안보, 러시아 외교정책을 주제로 국내외 학술지에서 논문을 발표했다.[5][6]
생애
[편집]연현식은 1953년 7월 16일에 태어났다.[1]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해 1980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1] 학문적으로는 일본의 국가 정보체계와 동북아 안보환경, 러시아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국내 연구기관과 학회지를 통해 글을 발표했다.[5][7]
경력
[편집]- 2005년: 국가정보대학원, 교수[8]
- 2009년: 국가정보대학원, 교수(동서문제연구원 《동서연구》 게재 논문 소속 표기)[9]
- 2024년 1월 26일: 대한민국 외교부, 주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 임명(임명장 전수)[2]
- 2024년 3월: 주 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관, 총영사 부임(삿포로시장 예방)[4]
- 2024년 3월 11일: 홋카이도대학교 총장 예방(부임 인사 일환)[10]
- 2025년 7월 20일: 주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 퇴임(삿포로시장 이임 인사)[3]
외교 활동
[편집]- 지역 파트너십
삿포로시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의 자매도시 협력 계기를 재확인하고 경제·학술·문화 교류 확대 의지를 표명했다.[4] 홋카이도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홋카이도대학교 총장을 예방했다.[10]
- 지역 공공기관 협력
부임 직후부터 지자체·대학과의 연계 활동을 통해 인적 교류 촉진과 지역 현안 협력 채널을 마련했다.[4][10]
학문 및 연구
[편집]연현식의 연구는 일본의 정보기관 조직과 기능, 9·11 이후 미·일 동맹과 동북아 안보, 러시아 대외정책과 한반도 문제를 축으로 전개된다. 일본 내각정보조사실(CIRO), 공안조사청(PSIA), 방위성 정보본부(DIH) 등의 재편과 역할 변화를 비교했다.[8][7] 또한 중국의 부상이 동북아 안보지형에 미친 변화를 분석하고 한·미 동맹을 축으로 한 한국의 안보 전략 선택지를 논의했다.[9] 러시아의 대동북아 안보 이해와 한반도 정책에 관한 영어권 논문도 발표했다.[6]
논문
[편집]- 연현식 (2009).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일 안보관계 / A New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and ROK–Japanese Security Relations〉. 《국방연구》 52(3): 101–130. doi:10.23011/jnds.2009.52.3.005.[11]
- 이 논문은 2000년대 후반 동북아의 안보환경 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저자는 미·중 관계의 상호작용과 미·일 동맹의 조정을 핵심 변수로 놓는다. 자료는 공개 정책문서와 기존 연구를 비교 검토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결론에서 한국은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하되 일본과의 안보대화 및 협력의 제도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분석은 개념을 단순화해 정책 선택지와 위험을 구분해 제시한다.
- Hyon‑Sik Yon (1994). “The Russian Security Interests in Northeast Asia”.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6(1): 155–176. doi:10.1080/10163279409464285.[12]
- 이 글은 탈냉전 이후 러시아의 동북아 안보이익이 어떻게 재정의되는지를 설명한다. 연구는 러시아의 경제·군사 역량 추세와 대중·대일 관계를 비교하며 정책문서와 통계자료를 교차 검증한다. 저자는 러시아가 지역 안정과 현상 유지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으며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서 실용적 역할을 추구한다고 본다. 결론은 러시아의 선택이 미·중 경쟁 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조건부로 제시한다. 전체 서술은 역사적 맥락을 간단히 요약하고 현재의 정책지형과 연결한다.
평가
[편집]연현식의 글은 일본의 정보기구와 동북아 안보 의제를 연계해 설명하는 점에서 국내 연구의 초기 저작으로 활용된다.[13][14] 러시아와 동북아 안보에 관한 영어 논문은 지역외교 비교연구의 참고문헌으로 재인용된다.[15]
연표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이력서 (Resume) – Yon Hyonsik” (영어).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부.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외교부, 신규 임명 총영사 임명장 전수식(2024-01-26)”. 《Facebook》. 대한민국 외교부. 2024년 1월 26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주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관 총영사(延 賢植) 예방” (일본어). 《삿포로시》. 2025년 7월 18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연현식 총영사, 부임 계기 삿포로시장 면담”. 《주 삿포로 대한민국 총영사관》. 2024년 3월 14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러시아연방의 외교정책과 한반도 통일”.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Russian Security Interests in Northeast Asia” (영어). 《Taylor & Francis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일본의 국가정보기구에 대한 소연구—역사, 조직, 기능과 활동을 중심으로”. 《DBpia》.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일본의 국가정보기구에 대한 소연구—역사, 조직, 기능과 활동을 중심으로”.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신안보질서의 형성”.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International Visits (2024): Mr. Hyonsik Yon, Consul General, Courtesy Visit on 11 March 2024” (영어). 《Hokkaido University》.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일 안보관계 (서지)”.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The Russian Security Interests in Northeast Asia (Full text PDF)” (영어). 《Taylor & Francis》.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The Communicative Dimension and Security in Asia-Pacific (참고문헌 내 인용: Yon 2005)” (PDF) (영어). 《Complutense University of Madrid (UNISCI Discussion Papers 41)》.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일본의 국가정보기구에 대한 소연구 (개요)”. 《E-article》.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South Korean Strategic Thought toward Russia (참고문헌 내 Yon 인용)” (영어). 《SpringerLink》.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