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토미데이트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 에틸 3-[(1R)-1-페닐에틸]이미다졸- | |
| 식별 정보 | |
| CAS 등록번호 | 33125-97-2 |
| ATC 코드 | N01AX07 |
| PubChem | 36339 |
| 드러그뱅크 | DB00292 |
| ChemSpider | 33418 |
| 화학적 성질 | |
| 화학식 | C14H16N2O2 |
| 분자량 | ? |
| 물리적 성질 | |
| 녹는점 | 67 °C (153 °F) |
| 끓는점 | 392 °C (738 °F) |
| 약동학 정보 | |
| 생체적합성 | ? |
| 단백질 결합 | 76% |
| 동등생물의약품 | ? |
| 약물 대사 | 혈장 및 간에서 에스터 가수분해 |
| 생물학적 반감기 | 75분 |
| 배출 | 소변 (85%) 및 담관 (15%) |
| 처방 주의사항 | |
| 허가 정보 | |
| 임부투여안전성 | ? |
| 법적 상태 | |
| 투여 방법 | 정맥 주사 |
에토미데이트[3](Etomidate, USAN, INN, BAN, 아미데이트(Amidate)로 판매)는 전신마취 유도 및 진정작용[4]을 위해 사용되는 단시간 작용 정맥 주사 마취제이다. 탈골된 관절 정복, 기관내삽관, 심장율동전환 및 전기 경련 요법과 같은 단시간 시술에 사용된다. 1964년 얀센 제약에서 개발되었고 1972년 유럽에서, 1983년 미국에서 정맥 주사제로 도입되었다.[5]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주사 시 정맥 통증과 골격근 움직임이 있다.[6]
의학적 사용
[편집]진정 및 마취
[편집]응급 상황에서 에토미데이트는 진정제-최면제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의식하 진정[7][8] 및 신속도입마취를 위해 마취 유도에 사용된다.[9][10] 이 약물은 작용 발현이 빠르고 안전한 심혈관 위험 프로필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유도제보다 혈압의 현저한 하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마취제로 사용된다.[11][12] 또한 에토미데이트는 쉬운 투여량 프로필, 제한적인 환기 억제, 히스타민 방출 부족 및 심근 및 뇌 허혈로부터의 보호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10] 따라서 에토미데이트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에게 좋은 유도제이다.[9] 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두개내압을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동맥압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마취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5][13][14][15][16]
패혈증 환자의 경우, 한 번의 약물 투여는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7]
언어 및 기억력 테스트
[편집]에토미데이트의 또 다른 사용은 뇌의 뇌전증성 중심을 제거하기 위한 엽절제술을 시행하기 전에 환자의 언어 측면화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에토미데이트 언어 및 기억력 테스트 또는 eSAM이라고 불리며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소에서 사용된다.[18][19] 그러나 후향적 코호트 연구만이 이 테스트를 위한 에토미데이트의 사용 및 안전성을 지지한다.[20]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제
[편집]에토미데이트는 마취제로서의 작용 및 사용 외에도 부신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효소적 생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22] 정맥 또는 비경구 투여가 가능한 유일한 부신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제로서, 고코르티솔증의 신속한 조절이 필요하거나 경구 투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유용하다.[21][22][23]
사형 집행에 사용
[편집]미국 플로리다주는 2017년 8월 24일 마크 제임스 아세이 (53세)의 사형 집행 절차에 이 약물을 사용했다. 아세이는 에토미데이트를 약물 중 하나로 사용하여 사형에 처해진 미국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었다. 에토미데이트는 미다졸람을 진정제로 대체한다. 제약회사는 사형 집행을 위한 미다졸람 구입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에토미데이트 다음에는 마비제인 로쿠로늄 브로마이드가 투여되었고, 마지막으로는 심장을 멈추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염화 칼륨 주사 대신 아세트산 칼륨이 사용되었다. 아세트산 칼륨은 2015년 오클라호마에서 실수로 처음 사용되었다.[24]
부작용
[편집]에토미데이트는 부신 스테로이드 생산에 중요한 효소인 스테로이드 11β-수산화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부신 피질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합성을 억제한다. 이는 원발성 부신 억제를 유발한다.[25][26] 집중치료실에서 중증 외상 환자의 진정작용을 위해 지속적인 에토미데이트 주입을 사용하는 것은 부신 억제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27] 에토미데이트의 지속적인 정맥 투여는 부신 피질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5일 이상 에토미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주입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폐렴과 같은 감염성 원인으로 인해 25%에서 44%로 증가했다.[27]
에토미데이트 유발 부신 억제 때문에 패혈증 환자에 대한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부신 기능 부전 위험이 있는 이 환자군에서 단일 에토미데이트 일회 투여 후 코르티솔 수치가 최대 72시간 동안 억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이러한 이유로 많은 저자들은 에토미데이트가 패혈성 쇼크가 있는 중환자에게 절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8][29][30] 왜냐하면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30][31] 그러나 다른 저자는 에토미데이트의 안전한 혈역학적 프로필과 명확한 해로운 증거 부족으로 인해 패혈증 환자에 대한 에토미데이트 사용을 계속 옹호한다.[13][32] 자브레 등(Jabre et al.)의 연구는 기관내삽관 전 신속도입마취에 사용된 단일 용량의 에토미데이트가 일시적인 부신 억제를 유발하더라도 케타민과 비교하여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3] 또한, 홀(Hohl)이 실시한 최근 메타분석에서는 에토미데이트가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10] 이 메타분석의 저자는 에토미데이트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릴 통계적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홀은 에토미데이트가 패혈증 환자에게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할 의무를 제안하며, 사용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10] 다른 저자들[34][35][36]은 에토미데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예방적 스테로이드 용량(예: 히드로코르티손)을 투여하도록 조언하지만, 결장직장 수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 하나의 작은 전향적 대조 연구[36]만이 에토미데이트를 투여받는 모든 환자에게 스트레스 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거의 32,000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에토미데이트는 마취 유도에 사용될 때 프로포폴을 투여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사망 위험이 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에토미데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는 또한 심혈관 이환율이 유의하게 더 높고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더 길었다.[37] 이 연구의 후향적 설계로 인해 데이터에서 어떠한 확실한 결론도 도출하기 어렵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에토미데이트를 사용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자극 검사의 둔화와 관련이 있다.[26] 이 효과의 임상적 영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또한, 에토미데이트와 오피오이드 및 벤조디아제핀을 병용하는 것은 에토미데이트 관련 부신 기능 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가정된다.[38][39]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 대한 후향적 증거만 존재하며, 이 상호작용의 임상적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에토미데이트는 주사 시 작열감,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표재성 혈전정맥염 발생률이 높다(프로포폴보다 높은 비율).[40]
약리학
[편집]
약력학
[편집](R)-에토미데이트는 S-거울상 이성질체보다 10배 더 강력하다. 낮은 농도에서 (R)-에토미데이트는 β2 및 β3[42]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GABAA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조절인자이다.[43] 더 높은 농도에서는 GABA 없이 전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알로스테릭 작용제 역할을 한다. 그 결합 부위는 이 수용체의 막관통 도메인에서 베타 및 알파 단백질 소단위체 (β+α−) 사이에 위치한다. β3 함유 GABAA 수용체는 에토미데이트의 마취 작용에 관여하는 반면, β2 함유 수용체는 이 약물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일부 진정 및 다른 작용에 관여한다.[44]
약물동태학
[편집]일반적인 용량에서 마취는 약 5-10분 동안 유도되지만, 약물 대사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75분이다. 이는 에토미데이트가 혈장에서 다른 조직으로 재분배되기 때문이다.
- 작용 발현: 30–60초
- 최대 효과: 1분
- 지속 시간: 3–5분, 재분배에 따라 종료됨
- 분포: Vd: 2–4.5 L/kg
- 단백질 결합: 76%
- 대사: 간 및 혈장 에스터레이스
- 반감기 분포: 2.7분
- 반감기 재분배: 29분
- 반감기 제거: 2.9~5.3시간[5]
대사
[편집]에토미데이트는 혈장에서 고도로 단백질과 결합하며, 간 및 혈장 에스터레이스에 의해 비활성 생성물로 대사된다. 이는 지수적 감쇠를 나타낸다.
제형
[편집]에토미데이트는 일반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35% 수용액에 에토미데이트 2 mg/mL를 함유하는 투명 무색 주사액으로 제공되지만, 지질 유화액 제제(동등한 강도)도 도입되었다. 에토미데이트는 원래 라세미 혼합물로 제형화되었지만,[45] R-형이 그 광학 이성질체보다 훨씬 더 활성이 강하다.[46] 나중에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약물로 재제형화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전신마취제가 되었다.[47]
오락용 약물로의 사용
[편집]에토미데이트는 홍콩에서 '스페이스 오일'(Space oil, 중국어: 太空油)[48] 또는 싱가포르에서 '케타민 팟'(Ketamine pod, 흔히 K팟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알려진 전자담배 액상으로 만들어졌다.[49][50] 또한 삼속 및 케타민을 포함한 다른 약물과 혼합될 수 있다.[51][48]
홍콩
[편집]에토미데이트는 약사 및 독극물 규정(Cap. 138A)에 따라 1급 독극물로 규제되며, 이에 따르면 에토미데이트를 무단으로 소지하는 경우 최대 10만 홍콩 달러의 벌금과 2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52] 스페이스 오일 수입 증가로 인해 2024년 정책 연설에서 에토미데이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토미데이트는 2025년 2월 14일부터 위험 약물 조례(Cap. 134)에 의해 규제 약물로 분류되며, 이에 따르면 스페이스 오일의 불법 소지 또는 흡연, 흡입, 섭취 및 주사는 최대 7년의 징역형과 100만 홍콩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며, 에토미데이트 밀매 또는 불법 수입은 최대 종신형과 500만 홍콩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51][53]
싱가포르
[편집]싱가포르에서 에토미데이트는 2025년 9월 1일부터 마약 오용법에 따라 C등급 약물로 분류되었다. 이는 베이프 (2018년 2월 1일부터 싱가포르에서 불법이며, 케타민과 유사한 부작용 때문에 싱가포르에서 K팟으로 알려져 있음)에서 에토미데이트 남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54] 에토미데이트 판매자, 유통업자 및 수입업자는 2년에서 20년 사이의 강제 징역형과 2에서 15대의 강제 태형에 처해질 수 있다. 베이프 관련 범죄에 대한 처벌도 강화되어, 최소 500싱가포르 달러의 벌금 및 징역형에 처해지며, 베이프 사용자 또한 승인된 재활 센터 또는 약물 재활 센터에서 강제 재활을 받아야 한다.[54][55][56][57]
대한민국
[편집]에토미데이트의 오남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에토미데이트를 2024년 12월 마약류안전관리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경찰청 등 수사기관과 보건의료 관련 협회(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 등)에 통보했다고 밝혔으며,[58] 2025년 2월 28일 엔-피롤리디노 프로토니타젠 등 6개 다른 물질과 함께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에 지정이 확정되었다.[59]
각주
[편집]- ↑ Anvisa (2023년 3월 31일). “RDC Nº 78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Collegiate Board Resolution No. 784 - Lists of Narcotic, Psychotropic, Precursor, and Other Substances under Special Control] (브라질 포르투갈어). Diário Oficial da União (2023년 4월 4일에 출판됨). 2023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Summary Basis of Decision (SBD) for Tomvi”. 《Health Canada》. 2014년 10월 23일. 2022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US Patent 3354173 'Imidazole carboxylates'
- ↑ Vinson DR, Bradbury DR (June 2002). 《Etomidate for procedural sedation in emergency medicin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39. 592–598쪽. doi:10.1067/mem.2002.123695. PMID 12023700.
- ↑ 가 나 다 Bergen JM, Smith DC (1998). 《A review of etomidate for rapid sequence intub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5. 221–230쪽. doi:10.1016/S0736-4679(96)00350-2. PMID 9144065.
- ↑ “Coronavirus (COVID-19) Update: December 22, 2020”.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0년 12월 22일. 2020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3일에 확인함.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다음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 ↑ Di Liddo L, D'Angelo A, Nguyen B, Bailey B, Amre D, Stanciu C (October 2006). 《Etomidate versus midazolam for procedural sedation in pediatric out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8. 433–40, 440.e1쪽. doi:10.1016/j.annemergmed.2006.03.004. PMID 16997680.
- ↑ Miner JR, Danahy M, Moch A, Biros M (January 2007).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tomidate versus propofol for procedural sed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9. 15–22쪽. doi:10.1016/j.annemergmed.2006.06.042. PMID 16997421.
- ↑ 가 나 Sivilotti ML, Filbin MR, Murray HE, Slasor P, Walls RM (June 2003). 《Does the sedative agent facilitate emergency rapid sequence intubation?》.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0. 612–620쪽. doi:10.1111/j.1553-2712.2003.tb00044.x. PMID 12782521.
- ↑ 가 나 다 라 마 Hohl CM, Kelly-Smith CH, Yeung TC, Sweet DD, Doyle-Waters MM, Schulzer M (August 2010). 《The effect of a bolus dose of etomidate on cortisol levels, mortality,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56. 105–13.e5쪽. doi:10.1016/j.annemergmed.2010.01.030. PMID 20346542.
- ↑ Zed PJ, Abu-Laban RB, Harrison DW (April 2006). 《Intubating conditions and hemodynamic effects of etomidate for rapid sequence intub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3. 378–383쪽. doi:10.1111/j.1553-2712.2006.tb00313.x. PMID 16531603.
- ↑ Sokolove PE, Price DD, Okada P (February 2000). 《The safety of etomidate for emergency rapid sequence intubation of pediatric patients》. 《Pediatric Emergency Care》 16. 18–21쪽. doi:10.1097/00006565-200002000-00005. PMID 10698137. S2CID 24913220.
- ↑ 가 나 Walls RM, Murphy MF, Schneider RE 편집 (2000). 《Manual of emergency airway management》.
- ↑ Marx J (2002).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 ↑ Wadbrook PS (November 2000). 《Advances in airway pharmacology. Emerging trends and evolving controversy》.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18. 767–788쪽. doi:10.1016/S0733-8627(05)70158-9. PMID 11130938.
- ↑ Yeung JK, Zed PJ (May 2002). 《A review of etomidate for rapid sequence intub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JEM》 4. 194–198쪽. doi:10.1017/S1481803500006370. PMID 17609005.
- ↑ Gu WJ, Wang F, Tang L, Liu JC (February 2015). 《Single-dose etomidate does not increa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observational studies》. 《Chest》 147. 335–346쪽. doi:10.1378/chest.14-1012. PMID 25255427.
- ↑ Jones-Gotman M, Sziklas V, Djordjevic J (August 2009). 《Intracarotid amobarbital procedure and etomidate speech and memory test》. 《The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Le Journal Canadien des Sciences Neurologiques》 36. S51–S54쪽. PMID 19760903.
- ↑ Jones-Gotman M, Sziklas V, Djordjevic J, Dubeau F, Gotman J, Angle M 외 (December 2005). 《Etomidate speech and memory test (eSAM): a new drug and improved intracarotid procedure》. 《Neurology》 65. 1723–1729쪽. doi:10.1212/01.wnl.0000187975.78433.cb. PMID 16344513. S2CID 1835535.
- ↑ Patel A, Wordell C, Szarlej D (March 2011). 《Alternatives to sodium amobarbital in the Wada test》.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45. 395–401쪽. doi:10.1345/aph.1P476. PMID 21325100. S2CID 207264114.
- ↑ 가 나 Davies TF (2015). 《A Case-Based Guide to Clinical Endocrinology》. Springer. 11–쪽. ISBN 978-1-4939-2059-4.
- ↑ 가 나 Jameson JL, De Groot LJ (2015).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250–쪽. ISBN 978-0-323-32195-2.
- ↑ McGrath M, Ma C, Raines DE (February 2018). 《Dimethoxy-etomidate: A Nonhypnotic Etomidate Analog that Potently Inhibits Steroidogenesis》.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64. 229–237쪽. doi:10.1124/jpet.117.245332. PMC 5783534. PMID 29203576.
- ↑ Dearon J. “Florida executes convicted killer Mark Asay using new drug”. 《Sun Sentinel》.
- ↑ Wagner RL, White PF, Kan PB, Rosenthal MH, Feldman D (May 1984). 《Inhibition of adrenal steroidogenesis by the anesthetic etomidat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0. 1415–1421쪽. doi:10.1056/NEJM198405313102202. PMID 6325910.
- ↑ 가 나 Archambault P, Dionne CE, Lortie G, LeBlanc F, Rioux A, Larouche G (September 2012). 《Adrenal inhibition following a single dose of etomidate in intubated traumatic brain injury victims》. 《CJEM》 14. 270–282쪽. doi:10.2310/8000.2012.110560. PMID 22967694.
- ↑ 가 나 Ledingham IM, Watt I (June 1983). 《Influence of sedation on mortality in critically ill multiple trauma patients》. 《Lancet》 1. 1270쪽. doi:10.1016/S0140-6736(83)92712-5. PMID 6134053. S2CID 305277.
- ↑ Morris C, McAllister C (August 2005). 《Etomidate for emergency anaesthesia; mad, bad and dangerous to know?》. 《Anaesthesia》 60. 737–740쪽. doi:10.1111/j.1365-2044.2005.04325.x. PMID 16029220. S2CID 27825801.
- ↑ Jackson WL (March 2005). 《Should we use etomidate as an induction agent for endotracheal intubation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a critical appraisal》. 《Chest》 127. 1031–1038쪽. doi:10.1378/chest.127.3.1031. PMID 15764790.
- ↑ 가 나 Bloomfield R, Noble DW (June 2006). 《Exploring the role of etomidate in septic shock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ritical Care Medicine》 34. 1858; author reply 1858–1858; author reply 1859쪽. doi:10.1097/01.ccm.0000220048.38438.40. PMID 16715011.
- ↑ Cuthbertson BH, Sprung CL, Annane D, Chevret S, Garfield M, Goodman S 외 (November 2009). 《The effects of etomidate on adrenal responsiveness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Intensive Care Medicine》 35. 1868–1876쪽. doi:10.1007/s00134-009-1603-4. PMID 19652948. S2CID 24371957.
- ↑ Murray H, Marik PE (March 2005). 《Etomidate for endotracheal intubation in sepsis: acknowledging the good while accepting the bad》. 《Chest》 127. 707–709쪽. doi:10.1378/chest.127.3.707. PMID 15764747.
- ↑ Jabre P, Combes X, Lapostolle F, Dhaouadi M, Ricard-Hibon A, Vivien B 외 (July 2009). 《Etomidate versus ketamine for rapid sequence intubation in acutely ill patients: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374. 293–300쪽. doi:10.1016/S0140-6736(09)60949-1. PMID 19573904. S2CID 52230993.
- ↑ den Brinker M, Joosten KF, Liem O, de Jong FH, Hop WC, Hazelzet JA 외 (September 2005). 《Adrenal insufficiency in meningococcal sepsis: bioavailable cortisol levels and impact of interleukin-6 levels and intubation with etomidate on adrenal function and mortalit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0. 5110–5117쪽. doi:10.1210/jc.2005-1107. PMID 15985474.
- ↑ Schulz-Stübner S (November 2005). 《Seda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avoid etomidate》. 《Critical Care Medicine》 33. 2723; author reply 2723쪽. doi:10.1097/01.ccm.0000187093.71107.a8. PMID 16276231.
- ↑ 가 나 Stuttmann R, Allolio B, Becker A, Doehn M, Winkelmann W (September 1988). 《[Etomidate versus etomidate and hydrocortisone for anesthesia induction in abdominal surgical interventions]》. 《Der Anaesthesist》 37. 576–582쪽. PMID 3056084.
- ↑ 가 나 Komatsu R, You J, Mascha EJ, Sessler DI, Kasuya Y, Turan A (December 2013). 《Anesthetic induction with etomidate, rather than propofo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30-day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morbidity after noncardiac surgery》. 《Anesthesia and Analgesia》 117. 1329–1337쪽. doi:10.1213/ANE.0b013e318299a516. PMID 24257383. S2CID 23165849.
- ↑ Daniell H (November 2008). 《Opioid and benzodiazepine contributions to etomidate-associated adrenal insufficiency》. 《Intensive Care Medicine》 34. 2117–8쪽. doi:10.1007/s00134-008-1264-8. PMID 18795258. S2CID 36288054.
- ↑ Daniell HW (December 2008). 《Opioid contribution to decreased cortisol levels in critical care patients》. 《Archives of Surgery》 143. 1147–1148쪽. doi:10.1001/archsurg.143.12.1147. PMID 19075164.
- ↑ Kosarek L, et al. Increase in Ven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tomidate Use During a Propofol Shortage: An Example of Clinically Important Adverse Effects Related to Drug Substitution. The Ochsner Journal. 2011;11:143-146.
- ↑ Kim JJ, Gharpure A, Teng J, Zhuang Y, Howard RJ, Zhu S 외 (September 2020). 《Shared structural mechanisms of general anaesthetics and benzodiazepines》. 《Nature》 585. 303–308쪽. doi:10.1038/s41586-020-2654-5. PMC 7486282. PMID 32879488.
- ↑ Drexler B, Jurd R, Rudolph U, Antkowiak B (September 2009). 《Distinct actions of etomidate and propofol at beta3-containing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s》. 《Neuropharmacology》 57. 446–455쪽. doi:10.1016/j.neuropharm.2009.06.014. PMID 19555700. S2CID 26796180.
- ↑ Vanlersberghe C, Camu F (2008). 〈Etomidate and other non-barbiturates〉. 《Modern Anesthetics》.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82. Springer. 267–282쪽. doi:10.1007/978-3-540-74806-9_13. ISBN 978-3-540-72813-9. PMID 18175096.
- ↑ Chiara DC, Dostalova Z, Jayakar SS, Zhou X, Miller KW, Cohen JB (January 2012). 《Mapping general anesthetic binding site(s) in human α1β3 γ-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s with [³H]TDBzl-etomidate, a photoreactive etomidate analogue》. 《Biochemistry》 51. 836–847쪽. doi:10.1021/bi201772m. PMC 3274767. PMID 22243422.
- ↑ “Wayback Machine” (PDF). 《www.who.int》.
- ↑ Servin FS, Sear JW (2011). 〈Chapter 27. Pharmacokinetics of intravenous anesthetics〉 2판. Evers AS, Maze M, Kharasch ED (편집). 《Anesthetic Pharmacology: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Tomlin SL, Jenkins A, Lieb WR, Franks NP (March 1998). 《Stereoselective effects of etomidate optical isomers on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receptors and animals》. 《Anesthesiology》 88. 708–717쪽. doi:10.1097/00000542-199803000-00022. PMID 9523815. S2CID 11665790.
- ↑ 가 나 “Narcotics Division, Security Bureau - Space Oil Drug” (영어). 홍콩 보안국 마약부.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Deterrence for Use of Kpods or Vape Juices Mixed with Etomidate”. 싱가포르 보건부. 2025년 1월 8일.
- ↑ Ratcliffe R (2025년 8월 29일). “Singapore is worried about a rise in drug-laced vaping. What is happening, and what is the drug etomidate?”. 《더 가디언》.
- ↑ 가 나 “LCQ7: Combating vaping of "space oil"” (보도 자료).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2024년 10월 23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Customs seizes suspected space oil, and illicit cigarettes at West Kowloon Station” (영어). 《더 스탠더드》. 2025년 1월 6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Wang W, Lam E (2025년 1월 14일). “'Space oil' to be classed as a controlled drug from February 14”. 《더 스탠더드》.
- ↑ 가 나 “Kpods: Caning and fines for those caught in Singapore drug vape crackdown”. 《www.bbc.com》. 2025년 8월 28일.
- ↑ “Higher fines for vape users, caning for Kpod suppliers among harsher penalties to kick in from September” (영어). 《CNA》. 2025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Clampdown on vaping and Kpods: What changes to expect come Sep 1” (영어). 《CNA》. 2025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Caning for Kpod suppliers, rehab for vape abusers in S’pore among stiffer measures from Sept 1” (영어). 《더 스트레이츠 타임즈》. 2025년 8월 28일. ISSN 0585-3923. 2025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무분별 처방 논란에 ‘에토미데이트’ 결국 마약류로 지정”. 동아일보. 2024년 12월 30일. 202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정책과 (2025년 2월 28일).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령(안) 입법예고(식품의약품안전처공고 제2025-99)”.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년 9월 24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Cotton BA, Guillamondegui OD, Fleming SB, Carpenter RO, Patel SH, Morris JA, Arbogast PG (January 2008). 《Increased risk of adrenal insufficiency following etomidate exposure in critically injured patients》. 《Archives of Surgery》 143. 62–7; discussion 67쪽. doi:10.1001/archsurg.143.1.62. PMID 18209154.; discussion 67.
- den Brinker M, Hokken-Koelega AC, Hazelzet JA, de Jong FH, Hop WC, Joosten KF (January 2008). 《One single dose of etomidate negatively influences adrenocortical performance for at least 24h in children with meningococcal sepsis》. 《Intensive Care Medicine》 34. 163–168쪽. doi:10.1007/s00134-007-0836-3. PMC 2668631. PMID 17710382.
- Marik PE, Pastores SM, Annane D, Meduri GU, Sprung CL, Arlt W 외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edicine) (June 2008). 《Recommendation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rticosteroid insufficiency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consensus statements from an international task force by the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edicine》. 《Critical Care Medicine》 36. 1937–1949쪽. doi:10.1097/CCM.0b013e31817603ba. PMID 18496365. S2CID 7861625.
- Mullins ME, Theodoro DL (August 2008). 《Lack of evidence for adrenal insufficiency after single-dose etomidate》. 《Archives of Surgery》 143. 808–9; author reply 809쪽. doi:10.1001/archsurg.143.8.808-c. PMID 18711047.; author reply 809.
- Sacchetti A (July 2008). 《Etomidate: not worth the risk in septic patient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52. 14–16쪽. doi:10.1016/j.annemergmed.2008.01.001. PMID 18565379.
- Sprung CL, Annane D, Keh D, Moreno R, Singer M, Freivogel K 외 (January 2008). 《Hydrocortisone therapy for patients with septic shock》.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 111–124쪽. doi:10.1056/NEJMoa071366. hdl:2078.1/200895. PMID 18184957.
- Tekwani KL, Watts HF, Chan CW, Nanini S, Rzechula KH, Kulstad EB (November 2008). 《The effect of single-bolus etomidate on septic patient mortality: a retrospective review》. 《The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9. 195–200쪽. PMC 2672284. PMID 19561744.
- Tekwani KL, Watts HF, Rzechula KH, Sweis RT, Kulstad EB (January 2009).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the effect of etomidate on septic patient mortality and length of stay》.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6. 11–14쪽. doi:10.1111/j.1553-2712.2008.00299.x. PMID 19055676.
- Vinclair M, Broux C, Faure P, Brun J, Genty C, Jacquot C 외 (April 2008). 《Duration of adrenal inhibition following a single dose of etomidate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tensive Care Medicine》 34. 714–719쪽. doi:10.1007/s00134-007-0970-y. PMID 18092151. S2CID 23538535.